┣아이돌-보이그룹
인피니트 프롤로그
그룹명 | INFINITE / IFNT 인피니트 |
유닛 |
인피니트H (장동우, 호야) 인피니트F (이성열, 엘, 이성종) |
前 멤버 | 호야 ( 이호원 [李浩沅] / 91 / 2017년 8월 30일 탈퇴 ) |
멤버 | L 김성규 ( 金聖圭 / 89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A ) 장동우 ( 張東雨 / 90 / 경기도 구리시 / A ) 남우현 ( 南優賢 / 91 / 서울특별시 / B ) 이성열 ( 李成烈 / 91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 B ) 엘 ( 김명수 [金明洙] / 92 / 서울특별시 / O ) 이성종 ( 李成種 / 93 / 서울특별시 / A ) |
데뷔 | 2010년 6월 9일 미니 앨범 [First Invasion] |
활동기간 | 2010년 6월 9일 ~ |
소속사 | 울림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메탈 골드 |
팬덤 | INSPIRIT (인스피릿) |
인피니트(INFINITE)라는 그룹명은 소속사 사장인 이중엽 대표가 지었으며 뜻은 본래의 뜻 그대로 '무한한, 한계가 없는'이다.
인피니티와는 다르다 인피니티와는 제발! '틀에 갇혀 있지 않고 항상 발전하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채워나가는' 정도로 좋게 해석하면 된다.
그 이름에 걸맞게 앨범아트 등에선 렘니스케이트 사인(∞)을 활용하고, 무대에서도 멤버들이 ∞ 진형으로 서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다른 그룹명 후보로 아이팝, G7, 아이콘즈, 블랙베리, 북두칠성, 슈퍼소닉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런데 2014년에 G7, 2015년에 아이콘즈라는 이름과 거의 비슷한 이름의 그룹이 실제로 데뷔했다
멤버마다 목소리가 각기 특색이 뚜렷하여, 외모가 헷갈릴지언정 목소리로는 헷갈릴 일이 없는 그룹.
개성있는 보컬들의 밸런스 또한 잘 맞고, 특히 서로 보이스컬러도 창법도 완연히 다른 두 명의 걸출한 메인보컬 이 다채롭고 매력적인 목소리를 들려주면서 여기에 기타리스트, 베이시스트 등 세션맨들과 함께 노래를 녹음한, 뛰어난 가창력과 질적으로 좋은 곡들과 군무로 무장한 그룹이다.
별명으로 '무한돌', '군무돌', '뉴 타입 아이돌', '집착돌' 등 그룹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별명들이 있는데 이 중 '집착돌'은 노래의 대부분이 집착 돋기 때문이다.
확실히 수록곡 중 집착이 아닌 노래들은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적다... 덕분에 얀데레 문서에 거의 모든 노래가 다 얀데레라고 떡하니 적혀있다.
얀데레돌 다만 정규 2집 "Season 2"부터는 오히려 집착을 싫어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Back에서 다시 얀데레로 돌아왔다. 집착의 열풍은 2018년 첫 타이틀 Tell Me까지 이어졌다.
2012년 5월 23일부터 3개월간 엠넷의 깨알 플레이어의 후속편? 인피니트 서열왕에 출연해서 인피니트 멤버들의 서열을 정한다는 주제로 '호감왕', '두뇌왕', '체력왕', ‘지식왕', '패션왕', '패기왕', '담력왕', '행운왕' 등 총 여덟 가지 주제에 따른 서열을 정리해왔다.
엠넷 시청률 1위로 시청률도 화제성도 잡은 대세 돌 인증프로그램. 추격자를 홍보하는 동시에,예전부터 쌓아왔던 멤버들의 캐릭터들을 맘껏 선보이며 각종 관계떡밥과 플짤거리를 투척했다.
추격자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이후에는 완전히 대세 그룹 반열에 올라서 성규는 우현에 이어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고, 엘과 호야는 연기활동으로 얼굴과 이름을 알리는 등 멤버 개인의 활동도 늘면서 개인 인지도도 많이 올랐다.
멤버들도 그동안 방송 요령과 레퍼토리가 늘어서 이제 예전 같은 병풍이 아니게 돼서 한두 명, 두세 명씩 지상파 방송 패널로 여기저기 섭외되기도 하고(강심장, 안녕하세요 등) 그 때마다 대박까지는 아니더라도 중 박 정도는 치고 있다.
그리고 인피니트 멤버 전원이 함께 출연한 케이블 예능 프로들의 경우에는 그 프로의 연말 결산에서 인피니트 출연분이 수차례 베스트 영상으로 선정될 정도로 물이 오른 예능 감을 선보이고 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현해서는 데뷔 때 그들을 눈여겨봤던 유희열을 흐뭇하게 만들기도.
제12회 한국대중음악상에 정규 2집 《Season 2》로 아이돌 그룹으로는 유일하게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수상 후보로 노미네이트되었다! 그리고 투표 결과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그룹에 선정되었다!
또한 데뷔한지 9년차에도 정기적으로 대규모 팬미팅인 무한대집회을 열고, 1년에 2~4회 체조경기장에서 콘서트를 열며 모두 매진시켜왔다.
년차가 많음에도 컴백때마다 음악방송 1위, 꾸준한 예능출연, 다양한 유닛•솔로활동을 보여준다.
이렇듯 오직 음악만으로 차곡차곡 쌓아올린 활동들로 인해 인피니트는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2019년에 들어 데뷔 10년차 아이돌에 접어들었다.
2017년에는 멤버 탈퇴와 이례적으로 긴 재계약 기간으로 1년 4개월이라는 긴 공백기를 갖게되었지만, 오랜만에 낸 정규앨범으로 한 주의 모든 음악방송 1위를 차지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튼튼한 팬덤과 인기를 가진 그룹임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2019년 8월, 군복무 중인 멤버들을 제외한 남우현, 엘이 재재계약 시기를 맞았다.
우현은 이미 해외 솔로 콘서트 포스터, 소리바다 어워즈 수상 소감 등을 통해 재계약을 한 것으로 보이며 엘은 8월 19일에 울림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 계약이 만료되어 홀로서기를 하게되었다고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자필 편지로 밝혔다.
소속사 측에선 멤버들의 그룹 활동 의지가 확고하므로 팀 탈퇴, 해체는 없으나 군복무 중인 멤버들이 있으므로 차후에 그룹 활동에 대해 상의해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엘은 2019년 10월 7일, 포털사이트 프로필 소속사란에 '매니지먼트 이상'이 추가되면서 전속 계약을 한 것이 밝혀졌다.
여담
- 자기들끼리 놀 때는 누구 못지않게 정신없다. 새로 이사한 (방음 좋기로 유명한) 숙소에서는 이웃 주민으로부터 너무 시끄럽다는 민원을 받아, 인원을 반 씩 나눠 다른 층으로 이사해야 했다. 오죽하면 비글들의 통제가 가능한 사람은 성규밖에 없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다. 방송 이외에도 자기들끼리 자주 주변에서 뛰어다니며 노는 모습을 목격한 사람이 꽤 많다고.
그러나 음악방송이나 연말 시상식 등지에서 가수들이 다 같이 나올 때 다른 가수들은 앞에 나와서 춤도 추고 원샷도 받는데 인피니트는 백이면 백 저 구석에 있거나 아니면 뒤에 가려서 보이지도 않고 자기들끼리 박수나 치고 있다. 파라다이스로 지상파 첫 1위를 할 때도 무대 저 편에 박혀 있다가 놀라면서 걸어 나왔고, 아이돌 선수권 대회에서도 타 가수들과 친목질을 하는 광경을 보기가 힘들다. 자기네들끼리 잘들 논다(...). 구석에서 자신들끼리 모여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고 팬들이 ~잉피세상~이라고 말했을 정도. 성규는 아이돌 선수권 대회에서 무기력 아이돌로 유명하다.
- 밑바닥부터 함께하며 하도 고생을 많이 해서 그런지 멤버들 간의 우애가 유난히 돈독하다. 서로 간의 비밀이 아예 없다고 한다. 시시콜콜한 이야기부터 가정사까지 다 알고 있다고. 쉴 때도 멤버들끼리 종종 어울리며, 휴가를 같이 가기도 한다. 같이 살고, 매일을 보는 사이인데도 단체 톡을 활발히 하는 듯하다. 가끔 단체톡 캡처본이 올라오기도 한다. 절반 이상이 군복무 중이지만 시간이 나면 자주 만난다고 V LIVE나 인스타 라이브에서 언급한다.
- 비교적 뚜렷한 나이차에 비해 의외로 민주적으로 굴러가는 팀이라고 한다. 샤워 순서나 청소 같은 것들도 가위 바위 보로 정할 때가 대부분이라고. 덕분에 맏형인 리더 성규가 이에 대해 자신이 항상 마지막이 된다며 불만을 제기했지만, 가위 바위 보로 정하는 방식을 가장 먼저 생각해낸 사람은 사실 성규였다.
- 멤버 전원이 SNS를 하며 모두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을 사용한다. 하지만 그 계정들은 모두 홍보봇 or 셀카봇이다.(...) 거의 모든 멘션들은 멤버들끼리 주고받고 트윗들은 팬들한테 하는 말이나 새 앨범 홍보, 다른 멤버의 생일 축하 트윗이고 대부분이며 올라오는 사진은 거의 다 자신들의 셀카나 조공, 1위 트로피 인증사진이다. 심지어 성규는 다른 멤버 5명을 제외하고는 팔로우하지 않았다. 사실 이런 면을 제외하고 봐도 SNS를 꽤 신중하게 사용하는 편이다. 인명과 관련된 사고(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레이디스 코드 교통사고)가 터졌을 때엔 멤버들의 생일이라 할지라도 트윗을 하지 않는다던지.. 가끔씩 성규가 멤버들의 사진을 올린다거나,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을 공개한다거나 개드립을 치기는 한다.
- 개인기가 정말 없다. 꾸준히 넬 김종완의 모창을 하다 뜬금없이 압력밥솥 성대모사를 밀다가 반응이 없자 조용히 사라진 멤버와 5년 동안 비트박스만 미는 멤버, 역시 5년째 하동균의 나비야 모창만 미는 멤버와 꼬부기와 파이리를 선배님이라고 부르면서 성대모사를 하는 멤버, 심지어 같은 멤버 성대모사를 하는 멤버와 그나마 다양했던 걸그룹 댄스를 췄었던 멤버등..
그래도 요샌 다들 삼행시 실력이 일취월장했다 (눈물)
- 비를 부르는 아이돌 기믹이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인비니트, 비피니트, 비부돌로 불린다. 분명히 날씨예보는 맑음이었는데 인피니트가 일본에 뜨자 갑자기 비가 온다거나...
이따위 소나기제주도로 뮤직비디오 촬영을 갔는데 공항에 도착할 때부터 뮤비를 찍을 때도 비가 주룩주룩... 비 한 번 안 오고 무더운 여름 날씨였는데 신곡 음원 공개 및 음반 발매 날부터 장마가 시작된다거나...심지어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은 이름마저 "비 백"이다2015년에는 인피니트가 생방송을 시작하자마자 내린 비 때문에 방송을 30분 일찍 종료하기도 했다. 심지어 〈Bad〉로 활동할 때에는 1위를 한 날엔 전국 어느 한 곳이라도 꼭 비가 내리다가 2위를 한 날에는 전국이 맑아졌다. 또한 같은 해 7월 열린 롯데 러블리영 콘서트에서는 하도 많이 내리는 비 때문에 김성규가 넘어지기까지 했었고 남우현이 직접 '인비니트'를 언급하며 관객들에게 설명해주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영상 19초부터) 심지어 월드투어 《INFINITE EFFECT》 첫콘에는 쨍쨍하던 날씨가 갑자기 먹구름으로 뒤바뀌어 약 30분 동안 강한 폭우가 쏟아졌다. 콘서트 날인데도 비 때문에 지나가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인피니트는 이때 리허설 중이었다. 누군가는 이것을 보고 애들이 얼마나 기가 세면 이러냐고... 그리고 2015년 광복 70주년 한강 신바람 페스티벌에서도 대기 타는데 갑자기 전투적으로 비가 왔다.명불허전 인비니트심지어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쇼타임 인피니트》에서도 첫 화부터 비가 오며 인비니트를 다시 한번 인증했다.
- '소피니트'라는 별명이 있다. 2011년에 소처럼 일한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 빨간 옷을 입으면 1위를 하는 징크스가 있다. 내꺼하자로 데뷔 후 첫 1위를 할 때도 빨간 의상을 입고 있었고, 그 후로, 파라다이스, 추격자와 데스티니, Back, Bad 때도 레드 계열의 의상을 입은 날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9월 30일 태풍으로 컴백한 후 첫 지상파 1위를 할 때 입었던 의상 역시 레드.
인피니트+빨간옷+비=1위
- 대단한 유닛·솔로 부자다. 유닛만 해도 3개(인피니트H, 인피니트F, 투하트)고, 솔로 데뷔를 4명(김성규, 남우현, 장동우, 엘)이나 했다. 솔로나 유닛의 신보가 나올 때마다 멤버 각각의 프로필 사진이 바뀌기 때문에 〈Bad〉 활동 전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서로 다른 그룹 멤버들 모아놓은 게 아니라 모두 같은 그룹 맞으니까 착각 말자.
- 더 지니어스:블랙 가넷과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에 출연하는 일반인 참가자 오현민이 인피니트의 팬인 것으로 유명하다. 자신의 트위터에서 대놓고 덕후 인증을 하기도. 하지만 정작 성규는 그 두 시즌에만 출연하지 않았다..
역시 덕후는 계 따윈 못 탄다
- 활동기에 유난히 옆머리를 자주 밀고 활동했다. 그렇다고 팬들이 이런 헤어스타일을 좋아하는 분위기는 전혀 아닌데도 꾸준히 옆머리를 밀렸다
는 무슨 밀린다가 옳다. 덕분에 팬들은 어디 어디에 인피니트가 떴다고 사진이 올라오면 일단 옆머리부터 확인했을 정도. 이러한 무차별적인 옆머리 밀기의 대표적인 피해자는 장동우이다. 설사 뮤직비디오에서 옆머리가 멀쩡했다 해도 안심할 수 없는 것이 뮤직비디오에선 흑발 생머리였다가 컴백무대 당일 날 옆머리를 밀고 백금발로 탈색까지 하고 나타난 멤버도 있었다. 이러한 옆머리 밀기는 처음엔 활동 기에 한두 명 정도로 시작하다가 점점 밀리는 멤버의 수가 늘어나더니 기어코 Back 활동 때에는 그 당시 드라마 촬영 중이었던 남우현, 이성열을 제외한 5명의 멤버가 모두 옆머리를 밀고 나타났다. 그리고 이때의 헤어스타일에 충격을 받았던 어느 팬은 멤버들에게 이런 약속을 받아냈다.하지만 성규랑 우현이는 또 밀리고 말았지2016년 쯤 헤어 샵이 바뀐 뒤로는 옆머리에 대한 얘기가 적은 편이다.
- 신비감을 추구하기보다는 친근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대신 누구나 일상적으로 하는 간단한 수준의 어휘 실수가 잦은 편이다. 우현의 경우 '피처링'을 '퓨처링'으로 실수한 적이 있다. 동우의 경우 '자라보고 놀란 가슴'이라는 속담을 인용하려다 '솥뚜껑 보고 자란 가슴'이라고 표현하기도 했고,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대신 '아들 이기는 자식 없다.'라고 말하다가 성규에게 '넌 옛말 인용하지 말라'라는 충고를 들었다. 성종 역시 '아우라가 느껴져요'라는 말 대신 '오로라가 느껴져요'라는 말을 한 바가 있다.(또한 밥을 한 입 먹고 '아, 난 청각을 잃었나?' 라고 한 일화도 꽤나 유명하다. 한 라디오에서 성규가 성종의 말실수 일화를 이야기하자 당황한 성종이 '그때 귀를 열었으면 닫았어요'라고
아마 잘못 들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대답하자 동우가 '뇌도 같이 닫았군요'라며 웃음을 준 일화도 있다. 한 콘서트에서 성종이 '파라다이스'를 '파라다이어트'라고 잘못 언급하기도 했었다.파라다이스 당시 '이상향'이 어디냐는 기자의 질문에 '아 제 이상형은...'이라며 이상형을 소개하기도멤버 성종이 한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를 '돌체 앤 바나나'라고 잘못 언급하기도 했다하지만 이러한 말실수들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만한 말실수가 아닌, 단순히 멘트를 버벅거려서 나타낸 실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귀여운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흔한_말바보_.st
- 2014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참석하기 위해 12월 2일 홍콩으로 출국을 했는데 심심했는지 대기실에서 이런 영상을 찍었다. 호야가 놀란 표정으로 누군가를 연상시키며 마시던 물을 흘리는 장면이 압권. 무려 편집 우현, 미술 감독 우현, 캐스팅 우현, 감독 우현, 각본 성열, 의상 디자인·제작 인피니트라는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2탄은 언제 나올지 미지수. 후에 우현이 밝힌 바로는 2탄이 있었지만 영상이 날아갔다고 한다.
안돼
- 멤버별로 이목구비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이 있다. 성규 - (ˋ▽ˊ), (` ヮ´), 동우 - (~.~), 우현 - (´▽`), 성열 - (⊙▽⊙), (ㅇㅅㅇ), 엘 - (ㅡ.ㅡ), 성종 - (>▽<), (≥∀≤). 엘은 이를 이용해 멤버들을 그리기도 했다.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7월마다 Rphabet과 함께 작업한 곡이 나오고 있다. 〈Destiny〉 - 〈Back〉 - 〈Bad〉 순. 2016년에는 두 달 뒤인 9월에 Rphabet과 작업한 곡이 나왔고, 정작 7월에는 오랜만에 스윗튠과 작업한 곡이 발매됐다.
- 2015년 12월 10일, 드디어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생겼다.보러가기
- 사실 성규, 동우, 우현은 인피니트 내에서는 나이순으로 첫째, 둘째, 셋째에 해당하지만, 본래 집에서는 모두 막내이다. 반면 인피니트 내에서 나이가 어린 멤버들인 성열, 엘, 성종은 원래 가족 내에서는 세 명 모두 남동생을 둔 형이자 집안의 장남이다. 엘이나 성종이 경우에 따라서 오히려 가장 형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은 아마도 이런 점이 작용했을 것이다.
- 2016년 3월 자로 숙소 계약기간 만료로 멤버들의 숙소 생활이 끝났다. 워낙 숙소에 대한 일화도 많고 추억이 많은 그룹인지라 팬들은 대부분 시원섭섭하다는 반응.
- 전 멤버가 콧대가 높아서 콧대니트, 혹은 코피니트라는 별명이 있다. 특히 엘과 우현이 조각 같은 코를 지녔으며 성열은 코 모양이 굉장히 예쁜 편.
- 형과 동생 사이의 경계가 몹시 애매하다. 흔히들 '개족보'라고 부르거나 '족보 브레이커'라고 부르는데, 맏형인 성규와 막내인 성종은 확실히 구분 지어 부르는 모습이 보이는 반면에 사이에 낀 4명의 멤버들은 반말을 쓰거나 별명을 부르는 모습이 많이 보여 한 때 주간 아이돌에서 족보 정리를 시도했었을 정도이다. 현재는 다들 가족과 다름없는 사이가 되어버려 호칭은 별개로 반말로 편하게 지내는 듯.
- 멤버들 모두 여동생이 없다. 이에 기반하여 나온 프로그램이 바로 인피니트! 당신은 나의 오빠. 그리고 여기서 인피니트 멤버들의 막내 여동생으로 나온 인물이 훗날 인피니트의 소속사 식구가 되는 유지애다.
- 참고로 데뷔 때부터 무명 시절의 고생 때문인지 멤버들 전체가 눈물이 많은 편으로 보인다. 그나마 맏형인 김성규는 방송에선 눈물을 잘 보이지 않는다.
- 2018년 리더 김성규가 가장 먼저 군 입대를 하게 되었다. 2019년에는 이성열의 입대를 시작으로, 장동우, 이성종, 남우현이 연달아 입대, 성종과 우현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다. 2021년에는 멤버 중 마지막으로 엘이 해병대에 입대해 복무 중이다. 2022년 8월에 엘이 전역하면 모든 멤버들이 군필자가 된다. 가장 먼저 입대한 성규가 2020년 1월 8일 전역했다. 두 번째로 성열이 2020년 10월 27일 전역, 세 번째로 동우가 2020년 11월 15일에 전역했다. 네 번째로 성종이 2021년 5월 8일에 소집해제 했다.
- 2019년 8월, 군복무 중인 멤버들을 제외한 남우현, 엘이 재재계약 시기를 맞았다. 우현은 이미 해외 솔로 콘서트 포스터, 소리바다 어워즈 수상 소감 등을 통해 재계약을 한 것으로 보이며 엘은 8월 19일에 울림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 계약이 만료되어 홀로서기를 하게되었다고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자필 편지로 밝혔다. 소속사 측에선 멤버들의 그룹 활동 의지가 확고하므로 팀 탈퇴, 해체는 없으나 군복무 중인 멤버들이 있으므로 차후에 그룹 활동에 대해 상의해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엘은 2019년 10월 7일, 포털사이트 프로필 소속사란에 '매니지먼트 이상'이 추가되면서 전속 계약을 한 것이 밝혀졌다.
2021년 2월 22일, 리더 김성규의 계약 기간이 2021년 3월에 만료된다는 기사가 떴다.# 그리고 2월 28일, V LIVE를 통해 3월 6일자로 계약이 만료되며 재재계약은 하지 않으나 그룹 소속은 유지한다고 밝혔으며, 3월 29일 싱글 〈Won't Forget You〉을 발매하면서 울림과 공식적인 활동을 마무리했다. 동우와 성열은 2021년 3월 31일에 계약이 만료, 성규와 같이 재재계약은 없으나 그룹 소속은 유지한다.#
- SuperStar WOOLLIM에서 보스곡 담당 그룹으로, 2020년 12월 기준 게임 내 난이도 TOP5 중 4곡이 인피니트이다. 성규는 Bad 하드버전을 도전하다가
울림 파란대문 직원의핸드폰을 던지며 포기했다. #
- 인피니트의 모든 멤버들이 MBTI 검사 결과를 공개했으며 정확히 6명 중 3명이 E(외향형)이고 3명이 I(내향형)이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Over the Top | 내꺼하자 | 2011년 7월 21일 |
1집 리패키지 | Paradise (파라다이스) | 파라다이스 (Paradise) | 2011년 9월 26일 |
2 | Season 2 | Last Romeo | 2014년 5월 21일 |
2집 리패키지 | Be Back | Back | 2014년 7월 22일 |
3 | TOP SEED | Tell Me | 2018년 1월 8일 |
싱글 앨범 / 미니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미니 1집 | First Invasion | 다시 돌아와 | 2010년 6월 9일 |
미니 2집 | Evolution | BTD (Before The Dawn) | 2011년 1월 6일 |
싱글 1집 | Inspirit | Nothing's Over | 2011년 3월 17일 |
디지털 싱글 | 하얀 고백 | 하얀 고백 | 2011년 12월 6일 |
미니 3집 | INFINITIZE | 추격자 | 2012년 5월 15일 |
미니 4집 | New Challenge | Man In Love (남자가 사랑할때) | 2013년 3월 21일 |
싱글 2집 | Destiny | Destiny | 2013년 7월 16일 |
미니 5집 | Reality | Bad | 2015년 7월 13일 |
디지털 싱글 |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 2016년 7월 8일 |
미니 6집 | INFINITE ONLY | 태풍 | 2016년 9월 19일 |
디지털 싱글 | CLOCK | CLOCK | 2019년 2월 13일 |
비스트 프롤로그
" So Beast! 안녕하세요, 비스트입니다. "
그룹명 | B2ST / BEAST 비스트 (Boys 2 Search for Top) |
前 멤버 |
장현승 ( 張賢勝 / 89 / 전라남도 순천시 / B ) |
멤버 | L 윤두준 ( 尹斗俊 / 89 / 경기도 고양시 / A ) 용준형 ( 龍俊亨 / 89 / 서울특별시 은평구 / O ) 양요섭 ( 梁耀燮 / 90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 B ) 이기광 ( 李起光 / 90 / 광주광역시 광산구 / A ) 손동운 ( 孫東雲 / 91 / 서울특별시 강동구 / A ) |
데뷔 | 2009년 10월 14일 미니 앨범 <BEAST Is The B2ST> |
활동기간 | 2009년 10월 16일 ~ 2017년 2월 23일 |
소속사 | 큐브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다크 그레이 |
팬덤 | B2UTY (뷰티) |
비스트(B2ST, BEAST)는 2009년 10월 16일에 데뷔한 아이돌 보이그룹이다.
남자다운 비주얼과 가창력, 준수한 퀼리티의 활동곡으로 2010년대 중반까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대중적인 대표곡으로 「비가 오는 날엔」, 「Fiction」, 「Good luck」,「12시 30분」,「Beautiful」,「Shock」, 「숨」 등이 있다.
이름에서 들리는 느낌은 심히 짐승스럽지만 실상 무대를 보면 그렇지 않다.
2PM이 짐승계라면 비스트는 오히려 미소년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샤이니와 2PM을 절충하여 버무려 놓은 듯한 이례적인 케이스가 데뷔 초 비스트의 모습이었다.
2009년과 2010년은 남성적인 면을 강조한 음악과 스타일링이 주였으나(미니 4집 Beautiful 제외) 2011년은 비오날과 Fiction으로 대표되는 서정성을 내세워 활동했다.
곡 자체도 그렇지만 안무도 훨씬 간소화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1년 만에 컨셉뿐만 아니라 음악도 그전의 비스트가 하던 음악과는 백팔십도 다른 모습으로 컴백한다.
세간에서는 서정성이 돋보이는 Midnight을 타이틀로 밀었어야 했다, 는 말도 나왔으나 다같이 즐길 있는 노래 <아름다운 밤이야>을 얻은 건 큰 수확이라 볼 수 있다.
13년도부터는 용준형이 프로듀싱을 본격적으로 맡으며 아티스트로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발라드 선공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유의 서정적인 곡은 앨범에 꼭 들어간다.
7년 간 6인조 활동을 이어 갔지만, 2016년 4월 19일에 장현승이 탈퇴하면서 5인조 그룹이 되었다.
이후 2016년 10월 15일 소속사였던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나와 12월 16일 독자 기획사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새로운 시작을 예고했으나, 비스트는 큐브엔터테인먼트에 상표권이 있어서 비스트의 이름으로 더 이상 활동하지 못하게 됐다.
2017년 초 큐브에서는 비스트에서 탈퇴한 장현승을 포함한 새로운 구성원과 함께 3인조 그룹으로 컴백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지만 그 계획은 접은 것으로 보인다.
비스트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 영화 300의 무사들처럼 되라는 의미의 '300' , 여섯 개의 아이콘이라는 의미의 ‘식스콘’, 아시아를 정벌하라는 의미의 ‘징기스칸’, 올림픽 기간을 맞아.. ‘금은동 독수리’ 등 다양한 팀명이 거론됐다고 한다.
그리고 7년이 지나 다시 조명받게 되는데 재계약을 안 해 앞으로 비스트라는 이름을 쓰기 힘들 가능성을 고려, 팬들이 예전 이름 후보를 관심있게 보는 중이다.
큐브가 비스트라는 상호명을 2016년 1월5일에 등록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기 때문.(앞으로 10년간 비스트라는 이름의 상표권은 큐브에게 있다. 10년이 지난후에는 그 상표권을 연장할 권리 또한 큐브에게 있다.)
비스트가 홍콩서 새로운 소속사 만들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리자마자 BEAST도 10월에 등록해버렸다.
이에 따라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로 둥지를 옮긴 이전 멤버 5인은 비스트가 아닌 '하이라이트'라는 새로운 그룹으로 컴백했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Fiction And Fact | Fiction | 2011년 5월 17일 |
2 | Hard to love, How to love | Shadow (그림자) | 2013년 7월 23일 |
3 | HIGHLIGHT | 리본 (Ribbon) | 2016년 7월 4일 |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Beast Is The B2ST | Bad girl Mystery |
2009년 10월 14일 |
2 | SHOCK OF THE NEW ERA | Shock | 2010년 3월 1일 |
3 | Mastermind | 숨 | 2010년 9월 30일 |
4 | Lights Go On Again | Beautiful | 2010년 11월 9일 |
5 | Midnight Sun | 아름다운 밤이야 | 2012년 7월 22일 |
6 | Good Luck | Good Luck | 2014년 6월 16일 |
7 | Time | 12시 30분 | 2014년 10월 20일 |
8 | Ordinary | 예이(YeY) | 2015년 7월 27일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곡명 | 발매일 |
Digital Single | Easy | Easy (Sincere Ver.) | 2010년 4월 29일 |
Single | 주먹을 꽉 쥐고 | 주먹을 꽉 쥐고 | 2010년 9월 17일 |
EP | My Story | 문이 닫히면 (윤두준&손동운) Thanks To (용준형&양요섭) Let it Snow (장현승&이기광) |
2010년 12월 21일 |
Single | 무지개 (虹 / Niji) (후쿠야마 마사하루 리메이크) | 무지개 (虹 / Niji) (후쿠야마 마사하루 리메이크) | 2011년 3월 14일 |
Digital Single | 비가 오는 날엔 | 비가 오는 날엔 | 2011년 5월 12일 |
Digital Single | 이럴 줄 알았어 | 이럴 줄 알았어 | 2012년 1월 26일 |
'┣아이돌-보이그룹 > 하이라이트 | 비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라이트 프롤로그 (0) | 2020.06.03 |
---|
샤이니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빛나는 샤이니입니다! "
그룹명 | SHINee 샤이니 |
前 멤버 | 故 종현 ( 김종현 [金鐘鉉] / 90~17 / 서울특별시 종로구 / AB ) |
멤버 | L 온유 ( 이진기 [李珍基] / 89 / 경기도 광명시 / O ) Key ( 김기범 [金起範] / 91 / 대구광역시 동구 / B ) 민호 ( 최민호 [崔珉豪] / 91 / 인천직할시 남구 / B ) 태민 ( 이태민 [李泰民] / 93 / 서울특별시 도봉구 / B ) |
데뷔 | 2008년 5월 25일 미니 앨범 <누난 너무 예뻐> |
활동기간 | 2008년 5월 25일 ~ 현재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아쿠아 그린 |
팬덤 | SHINee WORLD (샤이니월드) |
SM엔터테인먼트의 4인조 아이돌 보이그룹. SHINee라 쓰고 샤이니라 읽는다. 어리고 귀여운 이미지와 그룹 이름 탓에 '빛돌이'라 불리기도 했으며(현재도 종종 불리는 별명), 데뷔 이전엔 SM 내에서 샤이니란 이름 대신 애기팀으로 불렸다고 한다.
2008년 데뷔 당시부터 큰 인기를 끌었으며 2009년부터 일본 진출을 계획, 2010년 말에는 일본에서 열린 샤이니의 첫 단독콘서트와 EMI Music Japan과의 계약을 잇따라 성공시키며 2011년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SM의 탈SM 프로젝트로 탄생하였으며, 기존에 찾기 힘든 그들만의 음악세계를 보여준다.
SM 특유의 음악인 SMP가 아닌, 네오SMP로 불리운다.
가요계의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그들만의 음악세계를 확립하고, SM에 대한 "아이돌을 너무 SM 스타일로 개조해놓는다" 등의 비판을 피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 SM과는 약간 다른 노선의 그룹으로 탄생되었다.
샤이니가 발표한 앨범들은 평론가들의 칭찬을 잇달아 받아 '평론가의 아이돌'이라는 칭호도 얻었다.
2012년 발표한 미니앨범 '셜록'에는 평론가들이 '샤이니는 한 번도 기대에 못 미치는 노래를 한 적이 없다', '아이돌 댄스곡들 중 가장 풍성하고 짜릿한 결과물이다' 등의 호평을 했다.
대중문화 평론가 이문원은 '샤이니는 기존 가수들과 다른 음악적 행보를 걷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 안티 트렌드다. 이번 앨범은 지금 당장 유럽 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으며 샤이니의 매력을 충분히 보여줬다.'고 평했다.
과거의 누나바라기 동생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고난도의 댄스를 라이브와 함께 무리없이 소화하는 실력있는 그룹의 이미지를 구축한 상태이다.
과거에는 스키니로 남성들의 비호감 이미지가 있었지만 현재는 호감과 관심이 높아졌을 정도로 다양한 관심층을 넓히고 있다. 샤이니만의 세계를 확립해가는 단계에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는 그룹이다.
2013년의 다채로운 활동으로 3세대 아이돌로의 세대교체 바람 속에서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자리를 지킨 그룹이다.
올해 활동으로 좋은 평가와 실적을 거두었으며 많은 연차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아이돌계를 이끌어갈 주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평소 입지가 불안하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2014년 활동을 기점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당대 최고는 아니지만 퀄리티 있는 노래로 오래 갈 것이다가 업계의 평이다.
2013년의 각 평론가들이 뽑은 최고의 앨범들 대부분에 샤이니의 이름이 올랐으며, 조용필과 함께 최고의 가수라고 생각하는 가수라는 설문에서 대중들과 평론가들 모두 인정하는 가수로 선정되었다(평론가가 인정하는 가수와 대중이 인정하는 가수 목록은 차이가 크다).
엄청난 대세를 불러모으거나 팬들이 미친듯이 늘어난 수순은 밟지 않은 그룹인데, 그것이 장점이 되어 자신들만의 위치에서 묵묵히 진화해 나가고 있으며 SM에서는 보기 드문 경로라고 알려진다 .
자회사 선후배 남자아이돌들이 대상을 타기 시작하면 폭주기관차처럼 타는 것에 비하면, 느리지만 계속해서 가열되며 탄탄해지고 있다는 평이다.
2014년 3월에 열린 단독 콘서트의 기자회견에서, 샤이니는 물리적인 문제가 있지 않은 한 5명이서 샤이니를 계속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발언을 하여 샤이니가 5명으로 계속 유지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또 내후년까지가 샤이니에게 아주 중요한 시기일 것이라는 말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샤이니 멤버들 자체도 실력이 계속 늘고 있으며, 세간의 평가가 좋은 가운데에 상당히 독특한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2017년 12월 18일에 종현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이 전해지게되었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The SHINee World | 산소같은 너 (Love Like Oxygen) | 2008년 8월 28일 |
2 | LUCIFER | Lucifer | 2010년 7월 19일 |
3 Chapter I | Dream Girl - The Misconceptions of You | Dream Girl | 2013년 2월 19일 |
3 Chapter II | Why So Serious? - The Misconceptions of Me | Why So Serious? | 2013년 4월 29일 |
4 | Odd | View | 2015년 5월 18일 |
5 | 1 of 1 | 1 of 1 | 2016년 10월 5일 |
6 | The Story of Light EP.1 | 데리러 가(Good Evening) | 2018년 5월 28일 |
The Story of Light EP.2 | I Want You | 2018년 6월 11일 | |
The Story of Light EP.3 | 네가 남겨둔 말 (Our Page) | 2018년 6월 25일 |
정규 앨범 리패키지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Amigo | 아.미.고 (Amigo) | 2008년 10월 24일 |
정규 2집 리패키지 | Hello | Hello | 2010년 9월 30일 |
정규 3집 합본 | The Misconception of Us | 너와 나의 거리(Selene 6.23) | 2013년 8월 9일 |
정규 4집 리패키지 | Married To The Music | Married To The Music | 2015년 8월 3일 |
정규 5집 리패키지 | 1 and 1 | Tell Me What To Do | 2016년 11월 15일 |
정규 6집 합본 | The Story of Light Epilogue | 셀 수 없는 (Countless) | 2018년 9월 10일 |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누난 너무 예뻐 | 누난 너무 예뻐 (Replay) | 2008년 5월 25일 |
2 | Romeo | 줄리엣 (Juliette) | 2009년 5월 18일 |
3 | 2009, Year Of Us | Ring Ding Dong | 2009년 10월 14일 |
4 | Sherlock | Sherlock.셜록 (Clue+Note) | 2012년 3월 19일 |
5 | Everybody | Everybody | 2013년 10월 14일 |
빅뱅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빅! 뱅! "
그룹명 | BIGBANG 빅뱅 |
유닛 | GD&TOP (지디&탑) GD X TAEYANG (지디x태양) |
前 멤버 | 승리 ( 이승현 [李升炫] / 90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 A ) (2006년 8월 19일 ~ 2019년 3월 11일) |
멤버 | T.O.P ( 최승현 [崔勝鉉] / 87 / 서울특별시 송파구 / B ) 태양 ( 동영배 [董永培] / 88 / 경기도 의정부시 / AB ) L G-DRAGON ( 권지용 [權志龍] / 88 / 서울특별시 용산구 / A ) 대성 ( 강대성 [姜大聲] / 89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 O ) |
데뷔 | 2006년 8월 19일 싱글 앨범 [Bigbang] |
활동기간 | 2006년 8월 19일 ~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유니버스 블루 |
팬덤 | VIP |
빅뱅은 2006년에 데뷔한 YG엔터테인먼트 소속의 4인조 보이그룹이다.
2000년대 중후반부터 현재까지 젊은 층의 패션 트렌드와 이후 쏟아져나온 아이돌 그룹 및 대한민국 가요계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그룹이며 지금의 YG를 세운 장본인이며 음악성과 영향력, 트렌드세팅의 측면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고, 오랫동안 활동하며 최정상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아이돌인지라 아이돌계에선 끝판왕 대우를 받고 있었다.
멤버 전원의 특출난 재능과 세련된 음악, 트렌디한 스타일, 각종 예능 및 방송에서의 활약, 세계적인 브랜드들의 러브콜과 협업, 글로벌한 인기 등 여러 요인들이 종합되어 빅뱅의 인기를 만들어왔었다.
빅뱅은 기존의 아이돌들과 차별화되는 면을 많이 가지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재능이 아닌 외모 등으로 가수라는 직업을 갖게 된 무수한 아이돌 속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데뷔, 독보적인 음악성을 가졌다는 점을 꼽을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대중형 아이돌, 탈아이돌로 불리기도 했었다.
또한 남성 그룹은 남자 팬이 많이 없다는 가요계 불변의 명제에 대한 거의 유일한 반례로, 수차례 언급했듯이 출중한 음악인으로서의 면모 때문에 성별을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랑을 받는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으로 들어가서는 멤버들의 지속된 사건사고로 인해 과거의 찬란했던 명성에 흠집이 가고 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음악성
음악성, 대중성이 뛰어난 그룹 중 하나이다. G-DRAGON, TEDDY는 BIGBANG의 거의 전곡에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다른 멤버들도 작사, 작곡에 참여를 하고 있다. Electronic POP, Alternative R&B, Dance POP, Folk/Blues, Future Bass(퓨처 베이스)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스타일을 보여주는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선보이고 있다. 음악성은 이미 10년 동안의 음반으로 확인이 되었고 음반 발매 후 타이틀 곡부터 수록곡까지 모든 곡을 줄세우기를 하는 몇 없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또한 음악에 있어서 BIGBANG은 멤버들 간의 실력적 균형과 조화가 매우 뛰어나고 각자의 색깔이 잘 묻어나는 그룹이다. 대부분의 그룹들은 기교보다는 담백하고 Fresh한 한국식 창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BIGBANG의 목소리와 창법은 전반적으로 R&B 색깔이 강하며 진하고 세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한국식 창법을 구사하는 멤버가 한 명도 없다는 것이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흑인 음악의 Soul과 R&B 보컬을 갖춘 TAEYANG이 노래의 축을 잡으면 록 성향이 강한 DAESUNG의 보컬이 치고 나가는 형태이다. 래퍼 라인인 G-DRAGON은 가늘지만 힙하고 섹시한 목소리로 감칠맛 나는 랩을 하고 T.O.P은 무게감 있고 깊은 목소리로 중후한 랩을 선보인다. 이런 색깔들이 모여 BIGBANG의 음악은 주로 G-DRAGON, TAEYANG을 주축으로 하는 Hip Hop, Electronic, POP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지만 느린 Tempo의 음악은 DAESUNG, TAEYANG의 상반되는 보컬 색깔을 강조하는 쪽으로 파트 분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BIGBANG의 깊고 강하며 진한 음악적 성향은 YG 엔터테인먼트 음악의 핵심이다.)
대중성
보이그룹은 주요 소비층인 여자들에게 호감을 받지만 BIGBANG은 남자들에게도 호감을 받고 있다. BIGBANG 콘서트는 Boy Band이지만 남자들이 많다. 가족 단위로 오기도 한다.
링크, (2014년) 경제 잡지 Forbes(포브스) 선정 Korea's Power Celebrity 40 Rank 2위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을 의미한다.
실력과 관련하여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가요계의 흐름을 바꿨다고 할 수 있는 그야말로 메가 히트곡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다. 또한 BIGBANG의 곡들은 내로라 하는 가수들부터 후배 가수들에게 커버가 되고 있다. 특히 서바이벌 경연프로그램 복면가왕에서는 BIGBANG의 곡이 무려 20번이나 선곡되었다.
그룹 활동 뿐만 아니라 각자 멤버들의 솔로 활동도 대중적 인기와 음악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G-DRAGON과 TAEYANG은 발표한 모든 솔로 앨범들이 한국대중음악상(Korean Music Awards)에서 수상을 하거나 노미네이트가 된 적이 있다. TAEYANG의 EP Hot은 음악전문 웹진 백비트와 소리바다에서 공동 선정한 2000년대 100대 명반 중 79위에 랭크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G-DRAGON은 Heartbreaker, 삐딱하게 (Crooked), TAEYANG은 눈, 코, 입 곡으로 그룹 멤버로서는 드물게 대상을 수상한 가수 중 하나이다.
음원 성적은 과거 2007년부터 활동을 하면 음원 연간 순위 10권 안에 항상 들었다. 거짓말 곡 싸이월드 뮤직 연간 순위 1위, 멜론 연간 순위 15위, 하루 하루 곡은 싸이월드 뮤직 연간 1위, 멜론 연간 2위를 했다. 그 외에 모든 수록곡을 100위 안에 진입시켰다. 과거 2008년까지는 싸이월드 뮤직이 가장 이용자가 많은 음원서비스였었다. 2015년에는 5월부터 2018년 3월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지붕킥을 했었다. 2015년에 A 싱글 1번 트랙 수록곡 뱅뱅뱅 (BANG BANG BANG) 곡은 가온과 멜론 등 모든 음원 사이트 연간 순위 1위, M 싱글 더블 타이틀 곡인 LOSER 곡은 가온 연간 순위 2위, 멜론 순위 6위를 했었고 2015년에 발표한 모든 곡들이 연간 순위 100권 안에 다 진입했다. 심지어 이걸로도 모자라서 2009년 8월 18일에 발표한 G-DRAGON의 정규 1집 앨범 Heartbreaker 앨범의 타이틀 곡인 Heartbreaker 곡은 그 해 멜론 연간 순위 4위를 기록하며 같은 해에 활동한 남자 아이돌 중 최고의 음원 성적을 보여줬고 2014년 6월 3일 0시에 발매했던 태양의 정규 2집 RISE 앨범의 타이틀 곡인 눈, 코, 입 곡으로 멜론 연간차트 3위, 가온 연간차트 2위를 기록하여 같은 해에 활동한 남자 아이돌 중에서는 최고의 음원 성적을 보여줬다. 대한민국 Boy Band(보이그룹)에서는 최초로 연간 순위 1위를 기록한 그룹이다. 과거 2007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 순위 1위를 기록을 했었고 2015년에 멜론 및 가온차트 연간 순위 1위를 다시 기록했었다.
사고 및 논란
상당히 많은 사건사고로 안티가 꽤나 있었다.
연예면이 아니라 사회면에서 더 많이 보이는 아이돌이라고 조롱도 당했던 적이 있었다.
2007년 거짓말 활동 이후, 무개념 팬덤으로 여러 팬덤과 갈등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대중들 사이에서도 안티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2009년에 절정을 이루는데, G-DRAGON의 표절 사건과 성적 공연 문제 등으로 안티들이 대거 양성되고, 뉴스 기사 댓글에는 늘 팬덤과 안티들의 싸움이 계속되었다.
거기에 더해 2011년에 대성이 교통사고를 내고 지디는 대마초 흡입으로 기소유예까지 받으면서 안티들이 순식간에 늘어났던 적이 있었다.
2012년 초 위의 물의를 일으킨 지드래곤과 대성이 SBS <힐링캠프>에 출연하며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두 사건 모두 고의가 아님을 해명하였고 얼마 뒤 ALIVE를 발매하여 당시 거의 모든 음원차트를 휩쓸었고 동시에 위기의 순간에서 다시금 원탑으로 올라섰으며 이후 여러 TV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활동 종료 후 3년간 각자 솔로활동을 하며 대성은 해외에서 솔로로 활동했고, 승리는 국외를 넘나들며 여러 방송에 출연했으며 태양은 정규 1집 발매, 지드래곤은 정규 2집 발매, 탑은 <타짜 2> 등의 작품으로 개인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이어진 2015년의 MADE 활동으로 믿고 듣는 아이돌이라는 타이틀이 붙으면서 호감도가 빠르게 상승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6년까지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갔었다.
2017년 6월 T.O.P이 한서희와 대마초를 흡연한 사실이 밝혀지자, 과거에 있었던 멤버들의 여러 사건들과 더불어 안티들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일부 팬들이 안티로 돌아서서 활동을 하기 때문에 다음 활동은 불분명해진 상태이다.
게다가 멤버들의 사생활이 좋지는 않아서 안티가 많이 늘어났지만, 완전체 활동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3월 13일에 완전체 곡인 꽃길이 공개됐다. 빅뱅의 마지막 정규 앨범인 ‘MADE’ 앨범 작업 당시 빅뱅 멤버들의 군 입대를 염두에 두고 만든 곡이다.
3월 12일 태양에 이어 13일 대성이 군 입대하는 날짜에 공개됐다.
하지만 이 곡 역시 음원차트 올킬과 2주 가량 1위로 롱런, 멜론 역대 아이돌 진입 이용자수 1위를 기록하며 빅뱅의 논란의 역사와 성적은 그다지 상관관계가 없다는 특이점이 또 다시 입증되었다. (이 곡은 데뷔 멤버로 구성된 5인 체제의 마지막 완전체 곡이기도 하다.)
이후 혼자서 군 입대를 하지 않고 있던 전 멤버였었던 승리가 TV 예능에서 유능한 사업가로 스스로 자신을 이미지 메이킹하여 '위대한 승츠비'이라는 별명을 탄생시키며 그룹의 이미지를 어느 정도 회복하고 T.O.P의 대마초 논란도 어느 정도 잠잠해지는 듯 했지만, 2018년 11월 말 승리가 운영하는 사업과 관련된 추악한 초유의 사건들이 연이어 드러났다.
전 멤버였었던 승리는 범죄 영화에나 나올 법한 뒷세계의 온갖 추악한 범죄들과 엮였었다.
결국 전 멤버였었던 승리는 본인의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3월 11일 연예계 은퇴를 선언했었다.
대성도 2019년 7월에 불법 유흥업소 운영 방조 논란이 나서 대중들의 반감이 더 커지게 된 적이 있었다.
여담
- YG 엔터테인먼트를 현재의 자리까지 올라오게 하는데에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
- 팬들이 BIGBANG에 팬심으로 스펠링을 따서 붙여준 의미가 있다. BEST IDOL GROUP BELIEVE AND NEVER GOODBYE으로 최고의 아이돌 그룹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절대 끝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 과거 2011년 4월 8일에 발매한 EP BIGBANG MINI 4의 리패키지 개념인 EP BIGBANG Special Edition 1번 Title Track LOVE SONG 유튜브 뮤직비디오를 업로드를 했었는데 헬리캠(Helicam)을 이용해서 롱테이크(Long take)로 촬영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후부터 롱테이크로 촬영한 뮤직비디오가 늘었다.
- 2011년 11월 13일 방영된 (개최일은 2011년 11월 7일이다.) MTV 유럽 뮤직 어워드(Europe Music Awards, EMA)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석하여 Worldwide Act 상을 수상하였다. 그전까지 숱한 사고로 침체된 팬덤이 다시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과도한 BIGBANG 팬덤의 투표가 지적되었다. 다름 아닌 투표를 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되어있음에도 불구, 쿠키를 삭제해 투표 제한을 풀고 무제한으로 투표를 했기 때문에 상당히 욕을 들은 적이 있다. 이 일로 인하여 외국의 브리트니 스피어스 팬들과 마찰이 생겼다.
- 2012년 2월 29일 발매한 BIGBANG의 ALIVE 앨범이 한국어 앨범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Billboard(빌보드) 메인 차트 진입에 성공하였다. Billboard 200 150위에 랭크되었다. 외국 그룹들이 비교적 더 높은 성적을 기록하는 Billboard의 각종 Billboard Chart에서 강세를 보이는 Boy Band(보이그룹)이다.
- 2012년 5월 5일 MTV 이탈리아 TRL 어워드에서 아시아 가수 최초로 외국 아티스트 부분에서 베스트 팬 상을 수상하였다. Avril Lavigne, One Direction 영국-아일랜드 보이그룹 등 아티스트들을 제치고 수상하였다.
- Fashion(패션) 브랜드들에게 굉장히 인기가 많다. Chrome Hearts, Thom Browne, SAINT LAURENT, MCM, Louis Vuitton 등이다. 심지어 CHANEL까지 물건을 보내준다. 특히 패션에 관심이 많고 영향력이 많은 G-DRAGON이 주 대상이다. (더 자세한 것은 패션지 관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볼 수 있다.)
- 각 아이돌 그룹의 솔로, 유닛 활동을 본격적으로 활성화시킨 그룹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전에 그룹 멤버 솔로 활동은 2003년 신화의 이민우를 시작으로 신혜성, 김동완, 전진, 앤디였었고 유닛 활동의 경우 슈퍼주니어가 2007년에 슈퍼주니어-T 유닛 활동을 먼저 했었다. 과거에 솔로, 유닛 활동은 그룹 해체 후에 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었으나 BIGBANG의 경우에는 2008년 5월 22일 발매했었던 TAEYANG의 EP Hot 솔로 활동을 시작으로 나머지 모두가 솔로, 유닛 활동을 병행해가며 그룹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게다가 개별적인 활동이 모두 어느 정도 성공적인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솔로, 유닛 활동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이들의 대표적인 솔로 인기곡인 TAEYANG의 눈, 코, 입 곡, G-DRAGON의 삐딱하게 (Crooked) 곡은 웬만한 Boy Band(보이그룹)의 인기곡이 아니면 대적하기가 힘든 편이다. 그룹 활동과 솔로 활동을 병행하면서 양쪽에서 대상급 상을 받아본 대한민국 가수는 G-DRAGON과 TAEYANG 밖에 없다.
- BIGBANG은 포지션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음악 활동에서는 모호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공식 포지션은 'G-DRAGON : 리더, 메인래퍼, 서브보컬 / TAEYANG : 메인보컬, 메인댄서 / T.O.P : 리드래퍼 / DAESUNG : 리드보컬'이다. 래퍼라인인 G-DRAGON과 T.O.P은 노래도 꽤 잘하는 편이여서 IF YOU 곡이나 BAD BOY 곡과 같은 서정적인 노래에서는 보컬로 참여하기도 하고 TAEYANG은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래퍼로 참여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DAESUNG이 BIGBANG 음악의 고음 부분을 주로 담당했다면 이제는 노래의 중심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오히려 기교는 TAEYANG이 부린다. 대체적으로 G-DRAGON이나 T.O.P이 랩으로 곡을 시작하면 DAESUNG이 안정된 가창력으로 곡의 흐름을 단단하게 잡아주고 TAEYANG이 소울풀한 기교를 더하는 식으로 대부분 BIGBANG의 노래가 진행된다.
- 과거 2016년 7월 11일 경제 잡지 Forbes(포브스)에서 선정한 유명인 연간 수입 순위에서 그룹 전체로 54위에 올랐다. (링크) 집계된 연간 수입은 약 520억 원 정도였다. 맴버들 수입을 합친 것이긴 했지만 닥터 드레(Dr. Dre)보다 순위가 높았고 (63위) 1위는 거의 2000억 원에 가까운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였다.
- 멤버가 병역을 모두 이행했다. 2019년 7월 6일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이행중이었던 T.O.P이 소집해제, 2019년 10월 26일 G-DRAGON이 육군 현역 복무 만기제대, 2019년 11월 10일 TAEYANG, DAESUNG이 육군 현역 복무 만기제대를 했다.
- YouTube Creator Awards에서 BIGBANG은 2018년 9월 10일 오전 10시 기준 Diamond Creator Award(Diamond Play Button)를 받았다. (2018년 9월 10일 오전 10시 기준 1000만 명 돌파)
- 무대 위와 아래의 갭 차이가 매우 크다. 사실 BIGBANG은 2006년 데뷔로 현재 아이돌들 중에서는 단연 대선배이지만 대체적으로 어린 나이에 데뷔했기 때문에 나이는 과거 2008년~2010년 시절에 데뷔한 아이돌과 비슷하다. 하지만 이에 불구하고 무대 위에서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압도적 퍼포먼스와 선배미를 보여주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은 무대 아래에서도 강하고 카리스마 넘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BIGBANG은 무대 아래에서는 굉장히 비글미가 넘치고 애교도 많은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멤버들끼리 엄청나게 꽁냥거리는 걸 볼 수 있다. 게다가 멤버들 말투도 나긋나긋하고 선배든 후배든 가리지 않고 90도로 폴더 인사를 하기 때문에 자칫 거만해 보일 수 있는 무대 위 모습과는 달리 미담도 굉장히 많다. 게다가 멤버들이 굉장히 똘끼가 넘치는데 특히 T.O.P가 가장 제정신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G-DRAGON도 전자에 가려져서 그렇지 가끔 허당끼가 있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태양(빅뱅) 또한 조곤조곤 말하지만 할 말을 다 하는 스타일이라 예능에서도 자주 터진다.
- 2020년 이후 기준 TAEYANG을 제외한 BIGBANG 멤버들은 다 서울시 출신이다. G-DRAGON, T.O.P, DAESUNG은 서울시 출신이고 TAEYANG은 경기도 의정부 출신이다. 다만 T.O.P은 중학교, 고등학교를 용인시나 성남시 분당 쪽에서 다녔다.
- 콘서트에 가서 라이브로 보고 음원을 들으면 정말로 심심하다. 라이브를 할 때마다 멤버들이 애드리브(Ad libitum)를 되게 많이 하기 때문이다. 콘서트 라이브 동영상들을 보고 음원이랑 달라서 충격을 먹은 팬들도 존재한다. 게다가 모든 곡을 밴드 버전으로 연주, 리믹스(Remix) 한 것도 한 몫 한다.
- BIGBANG이 YG엔터테인먼트와 3번째 재계약을 했다. 재계약은 지난 2011년과 2015년에 이어 세 번째다. 기획사와 20년 이상 함께 하는 일은 흔치 않은 사례다.
정규 앨범 / 미니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1집 | BIGBANG Vol. 1 | Dirty Cash | 2006년 12월 21일 |
미니 1집 | ALWAYS | 거짓말 | 2007년 8월 16일 |
미니 2집 | HOT ISSUE | 마지막 인사 | 2007년 11월 22일 |
미니 3집 | STAND UP | 하루하루 | 2008년 8월 8일 |
정규 2집 | Remember | 붉은 노을 | 2008년 11월 5일 |
미니 4집 | BIGBANG MINI 4 | TONIGHT | 2011년 2월 24일 |
미니 4집 리패키지 | 빅뱅 스페셜 에디션 | LOVE SONG | 2011년 4월 8일 |
미니 5집 | ALIVE | BLUE BAD BOY FANTASTIC BABY |
2012년 2월 29일 |
미니 5집 리패키지 | STILL ALIVE | MONSTER | 2012년 6월 3일 |
정규 3집 | MADE | 에라 모르겠다 LAST DANCE |
2016년 12월 12일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 BIGBANG | We Belong Together | 2006년 8월 29일 |
싱글 | BIGBANG is VIP | La La La | 2006년 9월 28일 |
싱글 | BIGBANG 03 | Forever With U | 2006년 11월 22일 |
싱글 | M | LOSER BAE BAE |
2015년 5월 1일 |
싱글 | A | 뱅뱅뱅 (BANG BANG BANG) WE LIKE 2 PARTY |
2015년 6월 1일 |
싱글 | D | IF YOU 맨정신 |
2015년 7월 1일 |
싱글 | E | 쩔어 (GD & T.O.P)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 |
2015년 8월 5일 |
디지털 싱글 | 꽃 길 | 꽃 길 | 2018년 3월 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