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인피니트 프롤로그2020.05.21
-
제국의 아이들 프롤로그2020.05.21
-
걸스데이 프롤로그2020.05.20
-
미스에이 프롤로그2020.05.20
-
비스트 프롤로그2020.05.19
-
엠블랙 프롤로그2020.05.19
-
오렌지 캬라멜 프롤로그2020.05.18
-
2PM 투피엠 프롤로그2020.05.17
인피니트 프롤로그
그룹명 | INFINITE / IFNT 인피니트 |
유닛 |
인피니트H (장동우, 호야) 인피니트F (이성열, 엘, 이성종) |
前 멤버 | 호야 ( 이호원 [李浩沅] / 91 / 2017년 8월 30일 탈퇴 ) |
멤버 | L 김성규 ( 金聖圭 / 89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A ) 장동우 ( 張東雨 / 90 / 경기도 구리시 / A ) 남우현 ( 南優賢 / 91 / 서울특별시 / B ) 이성열 ( 李成烈 / 91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 B ) 엘 ( 김명수 [金明洙] / 92 / 서울특별시 / O ) 이성종 ( 李成種 / 93 / 서울특별시 / A ) |
데뷔 | 2010년 6월 9일 미니 앨범 [First Invasion] |
활동기간 | 2010년 6월 9일 ~ |
소속사 | 울림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메탈 골드 |
팬덤 | INSPIRIT (인스피릿) |
인피니트(INFINITE)라는 그룹명은 소속사 사장인 이중엽 대표가 지었으며 뜻은 본래의 뜻 그대로 '무한한, 한계가 없는'이다.
인피니티와는 다르다 인피니티와는 제발! '틀에 갇혀 있지 않고 항상 발전하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채워나가는' 정도로 좋게 해석하면 된다.
그 이름에 걸맞게 앨범아트 등에선 렘니스케이트 사인(∞)을 활용하고, 무대에서도 멤버들이 ∞ 진형으로 서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다른 그룹명 후보로 아이팝, G7, 아이콘즈, 블랙베리, 북두칠성, 슈퍼소닉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런데 2014년에 G7, 2015년에 아이콘즈라는 이름과 거의 비슷한 이름의 그룹이 실제로 데뷔했다
멤버마다 목소리가 각기 특색이 뚜렷하여, 외모가 헷갈릴지언정 목소리로는 헷갈릴 일이 없는 그룹.
개성있는 보컬들의 밸런스 또한 잘 맞고, 특히 서로 보이스컬러도 창법도 완연히 다른 두 명의 걸출한 메인보컬 이 다채롭고 매력적인 목소리를 들려주면서 여기에 기타리스트, 베이시스트 등 세션맨들과 함께 노래를 녹음한, 뛰어난 가창력과 질적으로 좋은 곡들과 군무로 무장한 그룹이다.
별명으로 '무한돌', '군무돌', '뉴 타입 아이돌', '집착돌' 등 그룹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별명들이 있는데 이 중 '집착돌'은 노래의 대부분이 집착 돋기 때문이다.
확실히 수록곡 중 집착이 아닌 노래들은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적다... 덕분에 얀데레 문서에 거의 모든 노래가 다 얀데레라고 떡하니 적혀있다.
얀데레돌 다만 정규 2집 "Season 2"부터는 오히려 집착을 싫어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Back에서 다시 얀데레로 돌아왔다. 집착의 열풍은 2018년 첫 타이틀 Tell Me까지 이어졌다.
2012년 5월 23일부터 3개월간 엠넷의 깨알 플레이어의 후속편? 인피니트 서열왕에 출연해서 인피니트 멤버들의 서열을 정한다는 주제로 '호감왕', '두뇌왕', '체력왕', ‘지식왕', '패션왕', '패기왕', '담력왕', '행운왕' 등 총 여덟 가지 주제에 따른 서열을 정리해왔다.
엠넷 시청률 1위로 시청률도 화제성도 잡은 대세 돌 인증프로그램. 추격자를 홍보하는 동시에,예전부터 쌓아왔던 멤버들의 캐릭터들을 맘껏 선보이며 각종 관계떡밥과 플짤거리를 투척했다.
추격자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이후에는 완전히 대세 그룹 반열에 올라서 성규는 우현에 이어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고, 엘과 호야는 연기활동으로 얼굴과 이름을 알리는 등 멤버 개인의 활동도 늘면서 개인 인지도도 많이 올랐다.
멤버들도 그동안 방송 요령과 레퍼토리가 늘어서 이제 예전 같은 병풍이 아니게 돼서 한두 명, 두세 명씩 지상파 방송 패널로 여기저기 섭외되기도 하고(강심장, 안녕하세요 등) 그 때마다 대박까지는 아니더라도 중 박 정도는 치고 있다.
그리고 인피니트 멤버 전원이 함께 출연한 케이블 예능 프로들의 경우에는 그 프로의 연말 결산에서 인피니트 출연분이 수차례 베스트 영상으로 선정될 정도로 물이 오른 예능 감을 선보이고 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현해서는 데뷔 때 그들을 눈여겨봤던 유희열을 흐뭇하게 만들기도.
제12회 한국대중음악상에 정규 2집 《Season 2》로 아이돌 그룹으로는 유일하게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수상 후보로 노미네이트되었다! 그리고 투표 결과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그룹에 선정되었다!
또한 데뷔한지 9년차에도 정기적으로 대규모 팬미팅인 무한대집회을 열고, 1년에 2~4회 체조경기장에서 콘서트를 열며 모두 매진시켜왔다.
년차가 많음에도 컴백때마다 음악방송 1위, 꾸준한 예능출연, 다양한 유닛•솔로활동을 보여준다.
이렇듯 오직 음악만으로 차곡차곡 쌓아올린 활동들로 인해 인피니트는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2019년에 들어 데뷔 10년차 아이돌에 접어들었다.
2017년에는 멤버 탈퇴와 이례적으로 긴 재계약 기간으로 1년 4개월이라는 긴 공백기를 갖게되었지만, 오랜만에 낸 정규앨범으로 한 주의 모든 음악방송 1위를 차지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튼튼한 팬덤과 인기를 가진 그룹임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2019년 8월, 군복무 중인 멤버들을 제외한 남우현, 엘이 재재계약 시기를 맞았다.
우현은 이미 해외 솔로 콘서트 포스터, 소리바다 어워즈 수상 소감 등을 통해 재계약을 한 것으로 보이며 엘은 8월 19일에 울림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 계약이 만료되어 홀로서기를 하게되었다고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자필 편지로 밝혔다.
소속사 측에선 멤버들의 그룹 활동 의지가 확고하므로 팀 탈퇴, 해체는 없으나 군복무 중인 멤버들이 있으므로 차후에 그룹 활동에 대해 상의해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엘은 2019년 10월 7일, 포털사이트 프로필 소속사란에 '매니지먼트 이상'이 추가되면서 전속 계약을 한 것이 밝혀졌다.
여담
- 자기들끼리 놀 때는 누구 못지않게 정신없다. 새로 이사한 (방음 좋기로 유명한) 숙소에서는 이웃 주민으로부터 너무 시끄럽다는 민원을 받아, 인원을 반 씩 나눠 다른 층으로 이사해야 했다. 오죽하면 비글들의 통제가 가능한 사람은 성규밖에 없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다. 방송 이외에도 자기들끼리 자주 주변에서 뛰어다니며 노는 모습을 목격한 사람이 꽤 많다고.
그러나 음악방송이나 연말 시상식 등지에서 가수들이 다 같이 나올 때 다른 가수들은 앞에 나와서 춤도 추고 원샷도 받는데 인피니트는 백이면 백 저 구석에 있거나 아니면 뒤에 가려서 보이지도 않고 자기들끼리 박수나 치고 있다. 파라다이스로 지상파 첫 1위를 할 때도 무대 저 편에 박혀 있다가 놀라면서 걸어 나왔고, 아이돌 선수권 대회에서도 타 가수들과 친목질을 하는 광경을 보기가 힘들다. 자기네들끼리 잘들 논다(...). 구석에서 자신들끼리 모여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고 팬들이 ~잉피세상~이라고 말했을 정도. 성규는 아이돌 선수권 대회에서 무기력 아이돌로 유명하다.
- 밑바닥부터 함께하며 하도 고생을 많이 해서 그런지 멤버들 간의 우애가 유난히 돈독하다. 서로 간의 비밀이 아예 없다고 한다. 시시콜콜한 이야기부터 가정사까지 다 알고 있다고. 쉴 때도 멤버들끼리 종종 어울리며, 휴가를 같이 가기도 한다. 같이 살고, 매일을 보는 사이인데도 단체 톡을 활발히 하는 듯하다. 가끔 단체톡 캡처본이 올라오기도 한다. 절반 이상이 군복무 중이지만 시간이 나면 자주 만난다고 V LIVE나 인스타 라이브에서 언급한다.
- 비교적 뚜렷한 나이차에 비해 의외로 민주적으로 굴러가는 팀이라고 한다. 샤워 순서나 청소 같은 것들도 가위 바위 보로 정할 때가 대부분이라고. 덕분에 맏형인 리더 성규가 이에 대해 자신이 항상 마지막이 된다며 불만을 제기했지만, 가위 바위 보로 정하는 방식을 가장 먼저 생각해낸 사람은 사실 성규였다.
- 멤버 전원이 SNS를 하며 모두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을 사용한다. 하지만 그 계정들은 모두 홍보봇 or 셀카봇이다.(...) 거의 모든 멘션들은 멤버들끼리 주고받고 트윗들은 팬들한테 하는 말이나 새 앨범 홍보, 다른 멤버의 생일 축하 트윗이고 대부분이며 올라오는 사진은 거의 다 자신들의 셀카나 조공, 1위 트로피 인증사진이다. 심지어 성규는 다른 멤버 5명을 제외하고는 팔로우하지 않았다. 사실 이런 면을 제외하고 봐도 SNS를 꽤 신중하게 사용하는 편이다. 인명과 관련된 사고(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레이디스 코드 교통사고)가 터졌을 때엔 멤버들의 생일이라 할지라도 트윗을 하지 않는다던지.. 가끔씩 성규가 멤버들의 사진을 올린다거나,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을 공개한다거나 개드립을 치기는 한다.
- 개인기가 정말 없다. 꾸준히 넬 김종완의 모창을 하다 뜬금없이 압력밥솥 성대모사를 밀다가 반응이 없자 조용히 사라진 멤버와 5년 동안 비트박스만 미는 멤버, 역시 5년째 하동균의 나비야 모창만 미는 멤버와 꼬부기와 파이리를 선배님이라고 부르면서 성대모사를 하는 멤버, 심지어 같은 멤버 성대모사를 하는 멤버와 그나마 다양했던 걸그룹 댄스를 췄었던 멤버등..
그래도 요샌 다들 삼행시 실력이 일취월장했다 (눈물)
- 비를 부르는 아이돌 기믹이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인비니트, 비피니트, 비부돌로 불린다. 분명히 날씨예보는 맑음이었는데 인피니트가 일본에 뜨자 갑자기 비가 온다거나...
이따위 소나기제주도로 뮤직비디오 촬영을 갔는데 공항에 도착할 때부터 뮤비를 찍을 때도 비가 주룩주룩... 비 한 번 안 오고 무더운 여름 날씨였는데 신곡 음원 공개 및 음반 발매 날부터 장마가 시작된다거나...심지어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은 이름마저 "비 백"이다2015년에는 인피니트가 생방송을 시작하자마자 내린 비 때문에 방송을 30분 일찍 종료하기도 했다. 심지어 〈Bad〉로 활동할 때에는 1위를 한 날엔 전국 어느 한 곳이라도 꼭 비가 내리다가 2위를 한 날에는 전국이 맑아졌다. 또한 같은 해 7월 열린 롯데 러블리영 콘서트에서는 하도 많이 내리는 비 때문에 김성규가 넘어지기까지 했었고 남우현이 직접 '인비니트'를 언급하며 관객들에게 설명해주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영상 19초부터) 심지어 월드투어 《INFINITE EFFECT》 첫콘에는 쨍쨍하던 날씨가 갑자기 먹구름으로 뒤바뀌어 약 30분 동안 강한 폭우가 쏟아졌다. 콘서트 날인데도 비 때문에 지나가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인피니트는 이때 리허설 중이었다. 누군가는 이것을 보고 애들이 얼마나 기가 세면 이러냐고... 그리고 2015년 광복 70주년 한강 신바람 페스티벌에서도 대기 타는데 갑자기 전투적으로 비가 왔다.명불허전 인비니트심지어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쇼타임 인피니트》에서도 첫 화부터 비가 오며 인비니트를 다시 한번 인증했다.
- '소피니트'라는 별명이 있다. 2011년에 소처럼 일한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 빨간 옷을 입으면 1위를 하는 징크스가 있다. 내꺼하자로 데뷔 후 첫 1위를 할 때도 빨간 의상을 입고 있었고, 그 후로, 파라다이스, 추격자와 데스티니, Back, Bad 때도 레드 계열의 의상을 입은 날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9월 30일 태풍으로 컴백한 후 첫 지상파 1위를 할 때 입었던 의상 역시 레드.
인피니트+빨간옷+비=1위
- 대단한 유닛·솔로 부자다. 유닛만 해도 3개(인피니트H, 인피니트F, 투하트)고, 솔로 데뷔를 4명(김성규, 남우현, 장동우, 엘)이나 했다. 솔로나 유닛의 신보가 나올 때마다 멤버 각각의 프로필 사진이 바뀌기 때문에 〈Bad〉 활동 전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서로 다른 그룹 멤버들 모아놓은 게 아니라 모두 같은 그룹 맞으니까 착각 말자.
- 더 지니어스:블랙 가넷과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에 출연하는 일반인 참가자 오현민이 인피니트의 팬인 것으로 유명하다. 자신의 트위터에서 대놓고 덕후 인증을 하기도. 하지만 정작 성규는 그 두 시즌에만 출연하지 않았다..
역시 덕후는 계 따윈 못 탄다
- 활동기에 유난히 옆머리를 자주 밀고 활동했다. 그렇다고 팬들이 이런 헤어스타일을 좋아하는 분위기는 전혀 아닌데도 꾸준히 옆머리를 밀렸다
는 무슨 밀린다가 옳다. 덕분에 팬들은 어디 어디에 인피니트가 떴다고 사진이 올라오면 일단 옆머리부터 확인했을 정도. 이러한 무차별적인 옆머리 밀기의 대표적인 피해자는 장동우이다. 설사 뮤직비디오에서 옆머리가 멀쩡했다 해도 안심할 수 없는 것이 뮤직비디오에선 흑발 생머리였다가 컴백무대 당일 날 옆머리를 밀고 백금발로 탈색까지 하고 나타난 멤버도 있었다. 이러한 옆머리 밀기는 처음엔 활동 기에 한두 명 정도로 시작하다가 점점 밀리는 멤버의 수가 늘어나더니 기어코 Back 활동 때에는 그 당시 드라마 촬영 중이었던 남우현, 이성열을 제외한 5명의 멤버가 모두 옆머리를 밀고 나타났다. 그리고 이때의 헤어스타일에 충격을 받았던 어느 팬은 멤버들에게 이런 약속을 받아냈다.하지만 성규랑 우현이는 또 밀리고 말았지2016년 쯤 헤어 샵이 바뀐 뒤로는 옆머리에 대한 얘기가 적은 편이다.
- 신비감을 추구하기보다는 친근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대신 누구나 일상적으로 하는 간단한 수준의 어휘 실수가 잦은 편이다. 우현의 경우 '피처링'을 '퓨처링'으로 실수한 적이 있다. 동우의 경우 '자라보고 놀란 가슴'이라는 속담을 인용하려다 '솥뚜껑 보고 자란 가슴'이라고 표현하기도 했고,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대신 '아들 이기는 자식 없다.'라고 말하다가 성규에게 '넌 옛말 인용하지 말라'라는 충고를 들었다. 성종 역시 '아우라가 느껴져요'라는 말 대신 '오로라가 느껴져요'라는 말을 한 바가 있다.(또한 밥을 한 입 먹고 '아, 난 청각을 잃었나?' 라고 한 일화도 꽤나 유명하다. 한 라디오에서 성규가 성종의 말실수 일화를 이야기하자 당황한 성종이 '그때 귀를 열었으면 닫았어요'라고
아마 잘못 들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대답하자 동우가 '뇌도 같이 닫았군요'라며 웃음을 준 일화도 있다. 한 콘서트에서 성종이 '파라다이스'를 '파라다이어트'라고 잘못 언급하기도 했었다.파라다이스 당시 '이상향'이 어디냐는 기자의 질문에 '아 제 이상형은...'이라며 이상형을 소개하기도멤버 성종이 한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를 '돌체 앤 바나나'라고 잘못 언급하기도 했다하지만 이러한 말실수들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만한 말실수가 아닌, 단순히 멘트를 버벅거려서 나타낸 실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귀여운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흔한_말바보_.st
- 2014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참석하기 위해 12월 2일 홍콩으로 출국을 했는데 심심했는지 대기실에서 이런 영상을 찍었다. 호야가 놀란 표정으로 누군가를 연상시키며 마시던 물을 흘리는 장면이 압권. 무려 편집 우현, 미술 감독 우현, 캐스팅 우현, 감독 우현, 각본 성열, 의상 디자인·제작 인피니트라는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2탄은 언제 나올지 미지수. 후에 우현이 밝힌 바로는 2탄이 있었지만 영상이 날아갔다고 한다.
안돼
- 멤버별로 이목구비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이 있다. 성규 - (ˋ▽ˊ), (` ヮ´), 동우 - (~.~), 우현 - (´▽`), 성열 - (⊙▽⊙), (ㅇㅅㅇ), 엘 - (ㅡ.ㅡ), 성종 - (>▽<), (≥∀≤). 엘은 이를 이용해 멤버들을 그리기도 했다.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7월마다 Rphabet과 함께 작업한 곡이 나오고 있다. 〈Destiny〉 - 〈Back〉 - 〈Bad〉 순. 2016년에는 두 달 뒤인 9월에 Rphabet과 작업한 곡이 나왔고, 정작 7월에는 오랜만에 스윗튠과 작업한 곡이 발매됐다.
- 2015년 12월 10일, 드디어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생겼다.보러가기
- 사실 성규, 동우, 우현은 인피니트 내에서는 나이순으로 첫째, 둘째, 셋째에 해당하지만, 본래 집에서는 모두 막내이다. 반면 인피니트 내에서 나이가 어린 멤버들인 성열, 엘, 성종은 원래 가족 내에서는 세 명 모두 남동생을 둔 형이자 집안의 장남이다. 엘이나 성종이 경우에 따라서 오히려 가장 형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은 아마도 이런 점이 작용했을 것이다.
- 2016년 3월 자로 숙소 계약기간 만료로 멤버들의 숙소 생활이 끝났다. 워낙 숙소에 대한 일화도 많고 추억이 많은 그룹인지라 팬들은 대부분 시원섭섭하다는 반응.
- 전 멤버가 콧대가 높아서 콧대니트, 혹은 코피니트라는 별명이 있다. 특히 엘과 우현이 조각 같은 코를 지녔으며 성열은 코 모양이 굉장히 예쁜 편.
- 형과 동생 사이의 경계가 몹시 애매하다. 흔히들 '개족보'라고 부르거나 '족보 브레이커'라고 부르는데, 맏형인 성규와 막내인 성종은 확실히 구분 지어 부르는 모습이 보이는 반면에 사이에 낀 4명의 멤버들은 반말을 쓰거나 별명을 부르는 모습이 많이 보여 한 때 주간 아이돌에서 족보 정리를 시도했었을 정도이다. 현재는 다들 가족과 다름없는 사이가 되어버려 호칭은 별개로 반말로 편하게 지내는 듯.
- 멤버들 모두 여동생이 없다. 이에 기반하여 나온 프로그램이 바로 인피니트! 당신은 나의 오빠. 그리고 여기서 인피니트 멤버들의 막내 여동생으로 나온 인물이 훗날 인피니트의 소속사 식구가 되는 유지애다.
- 참고로 데뷔 때부터 무명 시절의 고생 때문인지 멤버들 전체가 눈물이 많은 편으로 보인다. 그나마 맏형인 김성규는 방송에선 눈물을 잘 보이지 않는다.
- 2018년 리더 김성규가 가장 먼저 군 입대를 하게 되었다. 2019년에는 이성열의 입대를 시작으로, 장동우, 이성종, 남우현이 연달아 입대, 성종과 우현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다. 2021년에는 멤버 중 마지막으로 엘이 해병대에 입대해 복무 중이다. 2022년 8월에 엘이 전역하면 모든 멤버들이 군필자가 된다. 가장 먼저 입대한 성규가 2020년 1월 8일 전역했다. 두 번째로 성열이 2020년 10월 27일 전역, 세 번째로 동우가 2020년 11월 15일에 전역했다. 네 번째로 성종이 2021년 5월 8일에 소집해제 했다.
- 2019년 8월, 군복무 중인 멤버들을 제외한 남우현, 엘이 재재계약 시기를 맞았다. 우현은 이미 해외 솔로 콘서트 포스터, 소리바다 어워즈 수상 소감 등을 통해 재계약을 한 것으로 보이며 엘은 8월 19일에 울림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 계약이 만료되어 홀로서기를 하게되었다고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자필 편지로 밝혔다. 소속사 측에선 멤버들의 그룹 활동 의지가 확고하므로 팀 탈퇴, 해체는 없으나 군복무 중인 멤버들이 있으므로 차후에 그룹 활동에 대해 상의해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엘은 2019년 10월 7일, 포털사이트 프로필 소속사란에 '매니지먼트 이상'이 추가되면서 전속 계약을 한 것이 밝혀졌다.
2021년 2월 22일, 리더 김성규의 계약 기간이 2021년 3월에 만료된다는 기사가 떴다.# 그리고 2월 28일, V LIVE를 통해 3월 6일자로 계약이 만료되며 재재계약은 하지 않으나 그룹 소속은 유지한다고 밝혔으며, 3월 29일 싱글 〈Won't Forget You〉을 발매하면서 울림과 공식적인 활동을 마무리했다. 동우와 성열은 2021년 3월 31일에 계약이 만료, 성규와 같이 재재계약은 없으나 그룹 소속은 유지한다.#
- SuperStar WOOLLIM에서 보스곡 담당 그룹으로, 2020년 12월 기준 게임 내 난이도 TOP5 중 4곡이 인피니트이다. 성규는 Bad 하드버전을 도전하다가
울림 파란대문 직원의핸드폰을 던지며 포기했다. #
- 인피니트의 모든 멤버들이 MBTI 검사 결과를 공개했으며 정확히 6명 중 3명이 E(외향형)이고 3명이 I(내향형)이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Over the Top | 내꺼하자 | 2011년 7월 21일 |
1집 리패키지 | Paradise (파라다이스) | 파라다이스 (Paradise) | 2011년 9월 26일 |
2 | Season 2 | Last Romeo | 2014년 5월 21일 |
2집 리패키지 | Be Back | Back | 2014년 7월 22일 |
3 | TOP SEED | Tell Me | 2018년 1월 8일 |
싱글 앨범 / 미니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미니 1집 | First Invasion | 다시 돌아와 | 2010년 6월 9일 |
미니 2집 | Evolution | BTD (Before The Dawn) | 2011년 1월 6일 |
싱글 1집 | Inspirit | Nothing's Over | 2011년 3월 17일 |
디지털 싱글 | 하얀 고백 | 하얀 고백 | 2011년 12월 6일 |
미니 3집 | INFINITIZE | 추격자 | 2012년 5월 15일 |
미니 4집 | New Challenge | Man In Love (남자가 사랑할때) | 2013년 3월 21일 |
싱글 2집 | Destiny | Destiny | 2013년 7월 16일 |
미니 5집 | Reality | Bad | 2015년 7월 13일 |
디지털 싱글 |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 2016년 7월 8일 |
미니 6집 | INFINITE ONLY | 태풍 | 2016년 9월 19일 |
디지털 싱글 | CLOCK | CLOCK | 2019년 2월 13일 |
제국의 아이들 프롤로그
그룹명 | 제국의 아이들 ZE:A |
멤버 |
Kevin ( 김지엽 [金智燁] / 88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A ) ( 黃光熙 / 88 / 경기도 파주군 / A ) ( 任時完 / 88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 B ) ( 文俊英 / 89 / 서울특별시 도봉구 / A )
( 金泰憲 / 89 / 광주광역시 / A )
( 鄭熹哲 / 89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B ) ( 河旼佑 / 90 / 경상남도 양산시 / B ) ( 朴炯植 / 91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 AB ) 김동준 ( 金桐俊 / 92 / 부산광역시 동래구 / B ) |
데뷔 | 2010년 1월 7일 싱글 앨범 <Nativity> |
활동기간 | 2010년 1월 13일 ~ 2017년 4월 12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스타제국 |
공식색 | 립타이드 |
팬덤 | ZE:A's (제아스) |
쥬얼리와 V.O.S를 배출해낸 스타제국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아이돌.
2009년 4월~7월에 쥬얼리와 V.O.S로 나름대로 잘나가던 스타제국을 취재한 엠넷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는데, 그 제목이 바로 '오피스 리얼리티-제국의 아이들'이었다.
스타'제국'의 가수, 연습생, 스태프, 임원진 모두의 생활을 보여 준다는 의미.
이 프로그램에서 연습생 신분 준비과정으로 먼저 대중에 소개되었으며, 그 인지도를 이어가고자 프로그램 이름을 그대로 그룹 이름으로 정하게 되었다.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나인뮤지스의 준비 과정 역시 찾아볼 수 있다.
데뷔 이후 임시완, 박형식, 김동준은 연기활동으로, 황광희는 예능활동으로 더 유명해졌다.
임시완은 2012년 MBC에서 방영한 해품달에서 허염의 아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력으로 인지도가 대폭 상승했고 2년 후에는 tvN의 미생에서 주인공 장그래역을 맡으며 본격적인 연기돌 대열에 합류했다.
박형식 또한 가족끼리 왜 이래에서 차달봉역을 안정감있게 소화해냈고 1년 후에는 사극드라마 화랑에서 주연자리까지 꿰차는 등 나름대로 입지를 굳혀나갔다.
김동준 역시 KBS 일일극 빛나라 은수에서 남주인공 역할을 맡으며 재능을 인정받았다. 황광희는 무한도전을 비롯해 최고의 요리비결 등의 프로그램에 고정출연하면서 예능인으로서 자리를 굳혔다.
2016년 말 멤버들의 전속 계약이 마무리되었고, 황광희가 먼저 본부 ENT로 이적하였다.
2017년 3월 임시완이 플럼액터스로, 4월에 박형식이 UAA로 이적하였다.
이어 6월엔 김동준이 골드문(현 메이저9)으로 이적, 하민우가 KMG로 이적.
김동준+하민우 기사 직후엔 정희철이 스타제국과 재계약을 하지않고 6월 22일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다.
9월 19일에는 김태헌(9월 6일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과 문준영이 스타제국과 결별, 이후로 케빈이 스타제국과 결별하며 호주로 귀국했다.
소속사가 달라도 그룹으로서의 활동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체라고 보기에는 애매하다고 하지만, 프로젝트 그룹이라면 몰라도 원더걸스와 카라의 예에서 나타나듯이 멤버들의 소속사가 나뉜 상태에서 그룹 활동을 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게다가 문준영은 스타제국과 결별한 후 공연기획업에 주력하고 있어서, 가수 복귀는 요원해 보인다.
황광희는 여전히 예능에서 자주 활동하고 임시완, 박형식도 역시 드라마로, 김동준도 드라마와 예능에서 간간히 활동을 하고있다.
2020년 4월 멤버들끼리 여전히 자주 만나며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 Nativity | Mazeltov | 2010년 1월 7일 |
싱글 | Leap for Detonation | 하루종일 | 2010년 3월 25일 |
싱글 | Level Up | 이별드립 | 2010년 7월 8일 |
정규 1집 | Lovability | Here I Am | 2011년 3월 17일 |
싱글 | Exciting | Watch Out!!, Heart For 2 | 2011년 7월 8일 |
정규 2집 | SPECTACULAR | 후유증 | 2012년 7월 4일 |
싱글 | PHOENIX | PHOENIX | 2012년 8월 27일 |
미니 1집 | illusion | 바람의 유령 | 2013년 8월 9일 |
미니 2집 | FIRST HOMME | 숨소리 | 2014년 6월 2일 |
'┗옛 보이그룹 > 엠블랙 | 제국의 아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블랙 프롤로그 (0) | 2020.05.19 |
---|
걸스데이 프롤로그
" Everyday, Girl's Day! 안녕하세요, 걸스데이입니다! "
그룹명 | GIRL'S DAY 걸스데이 |
前 멤버 |
지선 ( 황지선 / 89 / 2010년 9월 13일 탈퇴 ) 지인 ( 이지인 / 89 / 2010년 9월 13일 탈퇴 ) 지해 ( 우지해 [禹智海] / 89 / 2012년 10월 17일 탈퇴 ) |
멤버 | L 소진 ( 박소진 [朴素珍] / 86 / 대구광역시 / AB ) 유라 ( 김아영 [金亞瑩] / 92 / 울산광역시 북구 / O ) (2010년 9월 16일 영입) 민아 ( 방민아 [方珉雅] / 93 / 인천광역시 계양구 / O ) 혜리 ( 이혜리 - 李惠利 / 94 / 경기도 광주 / AB ) (2010년 9월 16일 영입) |
데뷔 | 2010년 7월 9일 싱글 앨범 <Girl's Day Party> |
활동기간 | 2010년 7월 9일 ~ 2019년 2월 28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드림티엔터테인먼트 |
팬덤 | DAI5Y (데이지) |
박선주의 보컬 아카데미 '모래공장'에서 출발한 기획사인 드림티엔터테인먼트 소속.
2010년 7월 9일에 싱글 《Girl's Day Party #1》으로 데뷔했다.
'걸스데이'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소녀의 날'이란 뜻으로, '매일매일 소녀들이 파티하는 기분으로 즐겁게 지내자'는 의미라고 한다.
영어로는 Girl's Day라고 쓴다. 어느 그룹과는 달리 Girls'가 아니라 Girl's이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원년 멤버는 소진, 지선, 지해, 지인, 민아였는데 지선과 지인이 탈퇴하고 싱글 2집《Girl's Day Party #2》부터 유라와 혜리가 새로 들어왔다.
싱글 5집《Girl's Day Party #5》때 지해가 탈퇴하여 현재 소진, 유라, 민아, 혜리의 4인조 체제를 완성했다.
데뷔곡은 <갸우뚱>으로 2010년 7월 9일에 뮤직뱅크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는데 파격적인 춤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반응은 충공깽 그 자체였다.
이렇듯 데뷔 당시에는 기상천외한 컨셉과 가창력 논란으로 인해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잘해줘봐야>를 통해 반전 매력과 뛰어난 가창력을 증명하여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반짝반짝>, <한번만 안아줘>, <너, 한눈 팔지마!>, <Oh! MY God>, <나를 잊지마요>을 연속으로 발표하면서 걸스데이의 확실한 색깔을 드러내 팬들의 사랑을 받게 된다.
2013년 발표한 <기대해>로 난생 처음 1위 후보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던 걸스데이는 후속곡 <여자 대통령>으로 7월 8일 인기가요에서 데뷔 후 최초로 1위를 거머쥐게 된다. 정확히 만3년 만에 얻은 성과.
2014년 연초부터 대히트한 <Something>과 동년 여름에 발표한 <Darling>으로 음악방송 1위를 섭렵하면서 단숨에 메이저 걸그룹 대열에 합류하였다.
2019년 2월 리더 소진을 시작으로 멤버들의 계약이 만료되고 각자 새 소속사를 선택하여 9년여 간의 드림티에서의 활동이 마무리 되었다.
걸스데이의 경력은 일반적으로 데뷔곡인 <갸우뚱>과 싱글2집 <잘해줘봐야>를 발표한 약 9개월간의 시기(1차 암흑기), <반짝반짝>의 슬리퍼히트(1차 중흥기), 이후 네곡을 연속으로 말아먹은 2012년 말까지의 시기(2차 암흑기)로 나뉜다.
이들을 합쳐 경력 전반부로 총칭하는 편이고 2013년 3월 발표한 <기대해> 이후를 2차 중흥기로 본다. 전반부와 2차 중흥기가 구분되는 시점은 큐티컨셉에서 섹시컨셉으로 갈아탄 시기와 일치한다.
문제는 경력 전반부에 해당하는 기간이 2년 6개월이나 지속됐다는 점이다.
이 기간 동안 발표한 곡수는 타이틀로만 따져도 8곡. 그 중 일반적인 기준에서 히트곡이라고 할만한 노래는 2011년 3월에 발표한 <반짝반짝> 단 한곡이다.
차트순위가 무너져내린 <Oh! My God>에서부터 원년멤버가 탈퇴한 <나를 잊지마요>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는 그야말로 팀의 존폐여부가 불확실하던 시절.
이 때 걸스데이의 이미지는 민아를 주축으로 멤버들 전원이 예능 불판에 뛰어들어 오늘 내일하는 팀을 살리기 위해 몸부림치는 생계형 아이돌에 가까웠다.
자리잡기까지가 이렇게 오래 걸린 이유로는 두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소속사 규모. 드림티엔터테인먼트의 회사연혁은 걸스데이의 경력과 거의 같다.
걸스데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회사인 것. 드림티의 수장 이종석 대표 역시 다른 기획사 출신이 아닌, 일반사업 컨설턴트 출신의 연예계 초짜였다.
이렇다보니 데뷔 초반 회사의 기획능력이나 소속가수를 밀어줄 수 있는 매니지먼트 능력이 상당히 부족했던 것이다.
둘째 이유로는 회사 사정이 이렇다보니 충분한 연습생기간을 가지지 못했던 점을 들 수 있다.
회사입장에서는 당장 수입을 발생시켜야 했던 것. 오디션을 통해 멤버를 모집하고 걸스데이로 데뷔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단 6개월이다.
2~3년씩 연습생 생활을 하는 경우가 허다한 동네에서 6개월이라는 시간은 사실상 데뷔곡 하나 연습하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심지어 중간에 들어온 유라와 혜리는 연습생 기간이 아예 없다! 그러니까 걸스데이가 데뷔할 당시에는 멤버들의 연예인으로서의 완성도가 충분치 않았다고 할 수 있겠다.
완성도가 물이 오른 2014년의 모습과 데뷔 초의 모습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충분한 수련을 통해 거의 최종 형태로 데뷔하는 대형기획사의 아이돌과 비교하면 몹시 불리했던 부분이다.
데뷔 당시의 상황에 대한 드림티 이종석 대표의 변명 아닌 변명을 직접 들어보자.
걸그룹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2009년 이후 3세대 걸그룹의 면모를 보면, 걸스데이 정도로 바닥까지 떨어진 경력을 2014년 현재의 위치까지 끌어올린 경우는 전무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슷한 예로 시크릿이나 나인뮤지스를 들 수 있지만 전자는 암흑기가 2년 6개월이 아니고 후자는 치고 올라간 최고점이 조금 다르다.
전세대의 카라 전성기 만큼 성공했다고 볼 수는 없겠으나, 걸스데이는 한번 올라갔다가 주저앉았는데 거기서 다시 치고 올라갔다는 점에서 카라와는 또 다른 종류의 근성을 보여주고 있다.
단 한번의 활동으로 경력을 역전한 EXID와 비교하면 걸스데이는 매 활동마다 그야말로 한 계단씩 경력을 끌어올렸다는 것이 차이점.
5인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Girl's Day Party #1 | 갸우뚱 | 2010년 7월 9일 |
디지털 싱글 | 나 어때 | 나 어때 | 2010년 7월 22일 |
싱글 2집 | Girl's Day Party #2 | 잘해줘봐야 (Nothing Lasts Up) | 2010년 10월 29일 |
싱글 3집 | Girl's Day Party #3 | 반짝반짝 | 2011년 3월 18일 |
미니 1집 | Everyday | 한번만 안아줘 | 2011년 7월 7일 |
싱글 4집 | Girl's Day Party #4 | 너, 한눈 팔지마! | 2011년 9월 2일 |
미니 2집 | Everyday Ⅱ | Oh! My God | 2012년 4월 18일 |
4인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5집 | Girl's Day Party #5 | 나를 잊지 마요 | 2012년 10월 26일 |
정규 1집 | 기대 (Expectation) | 기대해 | 2013년 3월 14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여자 대통령 | 여자 대통령 | 2013년 6월 24일 |
싱글 6집 | Girl's Day Party #6 | 말해줘요 | 2013년 7월 30일 |
디지털 싱글 | Let's Go | Let's Go | 2013년 10월 15일 |
미니 3집 | Everyday Ⅲ | Something | 2014년 1월 3일 |
미니 4집 | Everyday IV | Darling | 2014년 7월 14일 |
디지털 싱글 | 보고싶어 | 보고싶어 | 2014년 10월 15일 |
정규 2집 | LOVE | 링마벨 (Ring My Bell) | 2015년 7월 7일 |
미니 5집 | Everyday #5 | I'll be yours | 2017년 3월 27일 |
미스에이 프롤로그
그룹명 | miss A 미스에이 |
멤버 | 페이 ( 王霏霏 [Wáng Fēi fēi] / 87 / 하이난 성 단저우 시 / B ) 지아 ( 孟佳 [Mèng Jiā] / 89 / 후난 성 뤄디 시 / O ) 민 ( 이민영 [李玟暎] / 91 / 서울특별시 / A ) 수지 ( 배수지 [裵秀智] / 94 /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 AB ) |
데뷔 | 2010년 7월 1일 싱글 앨범 <BAD BUT GOOD> |
활동기간 | 2010년 7월 1일 ~ 2017년 12월 27일 |
소속사 | JYP엔터테인먼트 |
팬덤 | Say A |
JYP 소속으로 활동했던 다국적 걸그룹. 2010년 7월에 <Bad Girl Good Girl>로 데뷔했다.
멤버는 페이, 수지, 민, 지아 4명이었다. 이 중 페이와 지아는 중국인이다.
처음부터 아시아 전체를 염두에 두고 계획되었고 중국 활동도 활발하게 했다.
그룹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당당하고 시크한 도시녀다.
<Breathe>와 <Touch>를 제외하고는 타이틀곡들이 그런 메세지를 담고 있다.
멤버들이 춤을 잘 춰서 그런지 무용수 컨셉이 가장 잘 어울린다는 평이 많다.
데뷔곡 <Bad Girl Good Girl>로 데뷔 21일 만에 공중파 인기순위 1위를 차지했으며 멜론 차트 1위 석권, 그 해 연간1위와 가수 최단기간에 대상을 받으며 역대급 임팩트를 남긴 걸그룹이다.
데뷔곡이 초대박을 처서 그런지 평가절하를 당하지만, 사실 타이틀 전곡이 연간 순위에 들었다.
음원 성적 외에도 퍼포먼스와 댄스 부문에서는 어느 걸그룹도 따라올 수 없는 실력들을 가지고 있는데, 6년 동안 미국과 대한민국을 오가며 댄스만 주구장창 트레이닝받은 민, 중국에서 무용과 출신에 체조까지 잘하는 페이와 지아, 그리고 어릴 때부터 댄스동아리에서 춤의 끼와 소질을 보여준 막내 수지까지 합쳐져서 평균적인 춤 실력이 매우 뛰어나다.
여기에 메인보컬은 따로 없지만 4명 모두 준수한 라이브 실력으로 싱글 2집 Brethe 프로모션 당시엔 물구나무서기 안무를 소화하면서 라이브로 무대를 진행해 다들 놀라기도 했다.
해외에서 가장 패러디가 많이된 퍼포먼스는 2011년 MAMA 무대인데, 여기서 민은 몸이 좋지 않던 상황이라 댄스실력을 제대로 뽐내지 못했지만, 지아와 페이, 그리고 수지의 멋진 퍼포먼스가 일품이라는 평을 받는다.
전체적인 그룹 인기도 높았지만 특히 막내 수지가 '국민 첫사랑'이라는 타이틀을 얻을만큼 가수 겸 배우로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기 때문에 어느 시점 이후로는 원래 그룹인 miss A의 존재감보다 훨씬 더 커져 버렸다.
이때문에 왕따설을 포함, 그룹의 앞날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2016년 지아가 떠난 데 이어 2017년에 계약이 만료된 민마저 떠나면서 슬슬 해체 관련 떡밥이 돌았고, 2017년 12월 27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하면서 걸그룹 역사상 역대급의 임팩트를 남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해체 수순
JYP내의 타 아티스트들이 속속 컴백 소식이 들려오는 와중에 미쓰에이의 컴백 소식만 없던 차에 결국 2016년 5월 21일, 멤버 중 지아의 탈퇴 소식이 발표되었다.
계약 만료로 페이는 재계약을 했지만, 지아는 재계약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결국 미쓰에이도 7년의 벽을 넘지 못하는 걸그룹이 되고 말았다.
일단 이 시점에 소속사인 JYP 측은 미쓰에이의 해체는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2017년에도 활동 소식이 없다가 2017년 11월 9일 민이 JYP와 재계약을 안 하고 떠났다는 기사가 떴다.
중국에서 굉장히 큰 연예기획사인 바나나컬쳐와 계약을 한 지아와는 달리 민은 소속사가 없는 상태에서 재계약이 불발되었다. JYP측은 미쓰에이의 향후 활동은 아직 결정이 없다고 말했고, 몇몇 기사에서는 해체라는 표현을 썼다.
이후 2017년 12월 27일 이미 재계약한 수지, 페이만 JYP에 남게 되면서 공식 해체를 선언했다.
JYP 측 "미쓰에이 공식 해체..페이X수지만 재계약" 그리고 2019년 4월1일부로 수지가 매니지먼트 숲으로 이적하면서 JYP에 남은 미쓰에이 멤버는 페이밖에 없게 되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 Bad But Good | Bad Girl Good Girl | 2010년 7월 1일 |
싱글 | Step Up | Breathe | 2010년 9월 29일 |
정규 1집 | A Class | Good-Bye Baby | 2011년 7월 18일 |
미니 1집 | Touch | Touch | 2012년 2월 20일 |
미니 2집 | Independent Women Part Ⅲ | 남자 없이 잘 살아 | 2012년 10월 15일 |
정규 2집 | Hush | Hush | 2013년 11월 6일 |
미니 3집 | Colors | 다른 남자 말고 너 | 2015년 3월 30일 |
비스트 프롤로그
" So Beast! 안녕하세요, 비스트입니다. "
그룹명 | B2ST / BEAST 비스트 (Boys 2 Search for Top) |
前 멤버 |
장현승 ( 張賢勝 / 89 / 전라남도 순천시 / B ) |
멤버 | L 윤두준 ( 尹斗俊 / 89 / 경기도 고양시 / A ) 용준형 ( 龍俊亨 / 89 / 서울특별시 은평구 / O ) 양요섭 ( 梁耀燮 / 90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 B ) 이기광 ( 李起光 / 90 / 광주광역시 광산구 / A ) 손동운 ( 孫東雲 / 91 / 서울특별시 강동구 / A ) |
데뷔 | 2009년 10월 14일 미니 앨범 <BEAST Is The B2ST> |
활동기간 | 2009년 10월 16일 ~ 2017년 2월 23일 |
소속사 | 큐브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다크 그레이 |
팬덤 | B2UTY (뷰티) |
비스트(B2ST, BEAST)는 2009년 10월 16일에 데뷔한 아이돌 보이그룹이다.
남자다운 비주얼과 가창력, 준수한 퀼리티의 활동곡으로 2010년대 중반까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대중적인 대표곡으로 「비가 오는 날엔」, 「Fiction」, 「Good luck」,「12시 30분」,「Beautiful」,「Shock」, 「숨」 등이 있다.
이름에서 들리는 느낌은 심히 짐승스럽지만 실상 무대를 보면 그렇지 않다.
2PM이 짐승계라면 비스트는 오히려 미소년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샤이니와 2PM을 절충하여 버무려 놓은 듯한 이례적인 케이스가 데뷔 초 비스트의 모습이었다.
2009년과 2010년은 남성적인 면을 강조한 음악과 스타일링이 주였으나(미니 4집 Beautiful 제외) 2011년은 비오날과 Fiction으로 대표되는 서정성을 내세워 활동했다.
곡 자체도 그렇지만 안무도 훨씬 간소화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1년 만에 컨셉뿐만 아니라 음악도 그전의 비스트가 하던 음악과는 백팔십도 다른 모습으로 컴백한다.
세간에서는 서정성이 돋보이는 Midnight을 타이틀로 밀었어야 했다, 는 말도 나왔으나 다같이 즐길 있는 노래 <아름다운 밤이야>을 얻은 건 큰 수확이라 볼 수 있다.
13년도부터는 용준형이 프로듀싱을 본격적으로 맡으며 아티스트로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발라드 선공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유의 서정적인 곡은 앨범에 꼭 들어간다.
7년 간 6인조 활동을 이어 갔지만, 2016년 4월 19일에 장현승이 탈퇴하면서 5인조 그룹이 되었다.
이후 2016년 10월 15일 소속사였던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나와 12월 16일 독자 기획사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새로운 시작을 예고했으나, 비스트는 큐브엔터테인먼트에 상표권이 있어서 비스트의 이름으로 더 이상 활동하지 못하게 됐다.
2017년 초 큐브에서는 비스트에서 탈퇴한 장현승을 포함한 새로운 구성원과 함께 3인조 그룹으로 컴백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지만 그 계획은 접은 것으로 보인다.
비스트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 영화 300의 무사들처럼 되라는 의미의 '300' , 여섯 개의 아이콘이라는 의미의 ‘식스콘’, 아시아를 정벌하라는 의미의 ‘징기스칸’, 올림픽 기간을 맞아.. ‘금은동 독수리’ 등 다양한 팀명이 거론됐다고 한다.
그리고 7년이 지나 다시 조명받게 되는데 재계약을 안 해 앞으로 비스트라는 이름을 쓰기 힘들 가능성을 고려, 팬들이 예전 이름 후보를 관심있게 보는 중이다.
큐브가 비스트라는 상호명을 2016년 1월5일에 등록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기 때문.(앞으로 10년간 비스트라는 이름의 상표권은 큐브에게 있다. 10년이 지난후에는 그 상표권을 연장할 권리 또한 큐브에게 있다.)
비스트가 홍콩서 새로운 소속사 만들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리자마자 BEAST도 10월에 등록해버렸다.
이에 따라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로 둥지를 옮긴 이전 멤버 5인은 비스트가 아닌 '하이라이트'라는 새로운 그룹으로 컴백했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Fiction And Fact | Fiction | 2011년 5월 17일 |
2 | Hard to love, How to love | Shadow (그림자) | 2013년 7월 23일 |
3 | HIGHLIGHT | 리본 (Ribbon) | 2016년 7월 4일 |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Beast Is The B2ST | Bad girl Mystery |
2009년 10월 14일 |
2 | SHOCK OF THE NEW ERA | Shock | 2010년 3월 1일 |
3 | Mastermind | 숨 | 2010년 9월 30일 |
4 | Lights Go On Again | Beautiful | 2010년 11월 9일 |
5 | Midnight Sun | 아름다운 밤이야 | 2012년 7월 22일 |
6 | Good Luck | Good Luck | 2014년 6월 16일 |
7 | Time | 12시 30분 | 2014년 10월 20일 |
8 | Ordinary | 예이(YeY) | 2015년 7월 27일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곡명 | 발매일 |
Digital Single | Easy | Easy (Sincere Ver.) | 2010년 4월 29일 |
Single | 주먹을 꽉 쥐고 | 주먹을 꽉 쥐고 | 2010년 9월 17일 |
EP | My Story | 문이 닫히면 (윤두준&손동운) Thanks To (용준형&양요섭) Let it Snow (장현승&이기광) |
2010년 12월 21일 |
Single | 무지개 (虹 / Niji) (후쿠야마 마사하루 리메이크) | 무지개 (虹 / Niji) (후쿠야마 마사하루 리메이크) | 2011년 3월 14일 |
Digital Single | 비가 오는 날엔 | 비가 오는 날엔 | 2011년 5월 12일 |
Digital Single | 이럴 줄 알았어 | 이럴 줄 알았어 | 2012년 1월 26일 |
'┣아이돌-보이그룹 > 하이라이트 | 비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라이트 프롤로그 (0) | 2020.06.03 |
---|
엠블랙 프롤로그
그룹명 | MBLAQ 엠블랙 (Music Boys Live in Absolute Quality) |
前 멤버 | 이준 ( 이창선 [李昌宣] / 8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A ) (2014년 10월 13일 탈퇴) 천둥 ( 박상현 / 90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A ) (2014년 10월 13일 탈퇴) |
멤버 | L 승호 ( 양승호 [楊昇昊] / 87 / 경기도 안양시 / A ) 지오 ( 정병희 / 87 / 경상남도 창원시 / A ) 미르 ( 방철용 / 91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 A ) |
데뷔 | 2009년 10월 14일 미니 앨범 <JUST BLAQ> |
활동기간 | 2009년 10월 15일 ~ 2015년 6월 26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제이튠캠프 |
공식색 | 펄 초콜렛 |
팬덤 | A+ (에이플러스) |
2009년 10월 15일 데뷔한 한국의 남성 아이돌 그룹. MBLAQ이라고 쓴다.
팀명은 Music Boys Live in Absolute Quality의 약자로, '절대적 자질의 노래를 부르는 소년들'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미니앨범인 JUST BLAQ으로 2009년 10월 15일 데뷔하였으며 데뷔곡은 'Oh Yeah'이다.
이후 후속곡 'G.O.O.D Luv'로 활동했다.
가수 비 가 처음 으로 프로듀싱 을 해 화제 를 모았다.
2014년 10월 13일 멤버 이준이 제이튠캠프와 공식적으로 계약이 종료되어 팀을 탈퇴 후 연기자로 전업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그리고 얼마 안 있어 천둥 또한 팀을 탈퇴한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2015년 6월 9일 3인조로 처음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뮤직비디오 초반부의 양복 두 벌이 전 멤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약 2주 정도 음악방송에 나온 후 조용히 활동을 마쳤다. 이 때 지오가 후두염으로 립싱크로 활동하였다.
이후 지오와 미르가 공익으로 입대해 군 복무에 들어갔다.
그리고 소속사인 제이튠캠프는 2017년 초에 사실상 공중분해됐다.
2017년 4월에는 승호가 윌 엔터테인먼트와 계약했으며, 2017년 10월 16일에 현역으로 입대했다.
엠블랙에 남아 있는 멤버들 중 유일하게 현역으로 복무한다. 소속사가 사실상 없어진 상태이며, 2018년 2월에 소집해제된 지오는 바로 가수로 복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여러모로 참 안습하고 불운한 그룹이라 할 수 있는데 데뷔 초에는 비가 프로듀싱 했다는 사실과 산다라박의 동생이 소속됐다는 점 등으로 화제를 모으면서 주목받는 보이밴드였으나 소속사의 무능한 기획등으로 이렇다 할 히트곡이 나오지 않으면서 인기는 점점 떨어져갔으며 소속사였던 제이튠캠프까지 공중분해 되면서 멤버들도 콘서트 한 번 개최하지 못 하고 군대 등으로 뿔뿔이 흩어져버렸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미니 1집 | JUST BLAQ | Oh Yeah | 2009년 10월 14일 |
미니 2집 | Y | Y | 2010년 5월 17일 |
정규 1집 | BLAQ Style | Stay | 2011년 1월 10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BLAQ Style 3D Edition | 다시 | 2011년 2월 22일 |
미니 3집 | MONA LISA | 모나리자 | 2011년 7월 12일 |
미니 4집 | 100% Ver. | 전쟁이야 | 2012년 1월 10일 |
미니 4집 리패키지 | BLAQ% Ver. | 100% | 2012년 3월 21일 |
미니 5집 | SEXY BEAT | 스모키걸(Smoky Girl) | 2013년 6월 11일 |
미니 5집 리패키지 | Love Beat | No Love | 2013년 8월 12일 |
미니 6집 | Broken | 남자답게(Be a man) | 2014년 3월 24일 |
미니 7집 |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 봄 여름 가을 그리고... | 2014년 11월 25일 |
미니 8집 | Mirror | 거울 | 2015년 6월 9일 |
'┗옛 보이그룹 > 엠블랙 | 제국의 아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국의 아이들 프롤로그 (0) | 2020.05.21 |
---|
오렌지 캬라멜 프롤로그
그룹명 | Orange Caramel 오렌지 캬라멜 |
멤버 |
L 레이나 ( 오혜린 [吳惠麟] / 89 / 울산광역시 울주군 / B ) 나나 ( 임진아 [林珍兒] / 91 / 충청북도 청주시 / A ) 리지 ( 박수영 [朴修映] / 9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A ) |
데뷔 | 2010년 6월 17일 미니 앨범 <The First Mini Album> |
활동기간 | 2010년 6월 17일 ~ 2014년 8월 22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플레디스 |
팬덤 | Play Girlz |
레이나, 나나, 리지로 구성된 애프터스쿨의 3인조 글로벌 유닛. 영어로는 Orange Caramel.
본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오렌지 캐러멜이 맞다. 중국어로는 橙子焦糖. 橙子가 오렌지, 焦糖이 캐러멜이다.
유닛 활동과 그룹명은 가희가 먼저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식적으로는 한성수 대표가 "오렌지처럼 상큼하고, 캬라멜처럼 달콤하게 되어라"는 의미로 팀명을 지었다고 한다.
유닛 콘셉트가 귀여운 콘셉트이다 보니 당시 애프터스쿨의 막내였던 레이나, 나나, 리지로 멤버를 구성한 것.
이 셋은 연습생 기간도 비슷하고, 연습생 때도 같이 생활했다고 한다.
당시 기준으로 애프터스쿨에서 가장 나중에 합류한 멤버들로 구성되어 있다.
멤버들 중에는 리지만 이 컨셉트에 호의적이었고 다른 멤버들은 보자마자 경악했다고 하고, 처음 나왔을 때 반응도 후자 쪽에 가까웠다(...). 그렇지만 아이돌 가수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레이나를 필두로 한 가창력, 본체는 애프터스쿨이기에 가희에게 훈련받은 춤, 나나의 비주얼, 리지의 예능감까지.
다만 전체적인 콘셉트가 캔디 컬처라 과소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
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유닛이라고 한다.
데뷔 당시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는 제3국의 새 멤버를 영입시켜 해외 활동을 할 계획이었으나 무산되었다.
등자초당(橙子焦糖)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에서 활동할 예정.
2010년 8월에 대만에서 프로모션을 가졌으며, 《방콕시티》 발표와 함께 본격적으로 아시아 진출을 선언했다.
그리고 2012년에는 일본으로 진출. 중화권에서는 골든 타이푼이, 일본에서는 에이벡스 트랙스가 레이블을 맡고 있다.
그룹 이름이 오렌지 캬라멜이라서 팬들이 오렌지랑 캬라멜 새콤달콤만 선물해 준다고 했지만 팬미팅에 갔던 사람의 증언에 의하면 소속사에서 팬들에게 시킨 거라고 한다.
오렌지캬라멜만 화면에 나올 때나 애프터스쿨 멤버들이 다 같이 나올 때는 체감이 잘 안되지만, 멤버들이 대부분의 다른 걸그룹 멤버들보다 키가 크다.
그래서 무대 의상을 입고 다른 걸그룹들 옆에 있으면 귀여움이 무서움(?)으로 변한다.
이 점은 리지가 MBC 시트콤 몽땅 내 사랑에 출연하면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타 출연진과 리지 사이의 신장 괴리가 너무나 큰 것.
2018년 4월 30일 리지가 계약 만료와 함께 애프터스쿨을 졸업하면서 이제는 유닛조차도 볼 수 없을 줄 알았는데 일단 소속사에서는 오렌지캬라멜은 공식 해체가 아니라고 못 박아놓았다. 과연 어떻게 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듯 하지만 결국 2019년 12월 27일 레이나가 계약 만료와 함께 애프터스쿨을 졸업을 했다. 오렌지캬라멜은 이제 나나만 남아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미니 1집 | The First Mini Album | 마법소녀(魔法少女) | 2010년 6월 17일 |
미니 2집 | 아잉♡ | 아잉♡ / 아직… | 2010년 11월 18일 |
싱글 | 방콕시티 (Bangkok City) | 방콕시티 (Bangkok City) | 2011년 3월 31일 |
싱글 | 샹하이 로맨스 (上海之戀) | 샹하이 로맨스 (上海之戀) | 2011년 10월 13일 |
싱글 | 조영수 All Star - 오렌지캬라멜 | Funny Hunny | 2011년 12월 16일 |
정규 1집 | 립스틱 (LIPSTICK) | 립스틱 (LIPSTICK) | 2012년 9월 12일 |
스페셜 앨범 | 흰눈 사이로 하이힐 타고 | 흰눈 사이로 하이힐 타고 | 2012년 12월 13일 |
싱글 | 까탈레나 (Catallena) | 까탈레나 (Catallena) | 2014년 3월 12일 |
싱글 | 나처럼 해봐요 | 나처럼 해봐요 | 2014년 8월 18일 |
'┣옛 걸그룹 > 애프터스쿨 | 오렌지 캬라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프터스쿨 프롤로그 (1) | 2020.05.09 |
---|
씨스타 프롤로그
" We the B.E.S.T SISTAR! 안녕하세요! 씨스타입니다! "
그룹명 | SISTAR 씨스타 |
유닛 | SISTAR19 (보라, 효린) |
멤버 | 보라 ( 윤보라 [尹甫羅] / 89 / 서울특별시 / O ) L 효린 ( 김효정 [金孝廷] / 90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B ) 소유 ( 강지현 [姜志賢] / 92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O ) 다솜 ( 김다솜 / 93 / 경기도 광주시 / A ) |
데뷔 | 2010년 6월 3일 싱글 앨범 <Push Push> |
활동기간 | 2010년 6월 3일 ~ 2017년 6월 4일 |
소속사 | 스타쉽엔터테인먼트 |
팬덤 | STAR1 (스타일) |
대한민국의 4인조 걸그룹. 2010년 6월 4일에 데뷔했다. 상업적,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걸그룹 중 하나이자, 멤버 각각의 인지도도 높아 개인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는 그룹이다.
유닛인 '씨스타19'도 걸그룹과 보이그룹의 유닛 중에서 가장 성공했다라는 평을 듣고 있으며 탄탄한 가창력과 섹시미로 여름을 공략해 'Loving U', 'Touch My Body', 'I Swear', 'Shake It' 등을 모두 연속해 성공시켜 서머퀸이라는 칭호를 처음 얻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여름은 씨스타라는 공식이 있을만큼 굉장한 대중성이 있는 그룹이다.
한국 갤럽 선정 올해의 가수로 2012년 6위(20대 4위, 30대 4위), 2013년 7위(20대 1위, 30대 4위), 2014년 3위(20대 2위, 30대 3위, 40대 5위), 2015년 5위(20대 4위, 30대 4위), 2016년 12위를 하였을 정도로 대중적인 가수 선호도가 높다.
노래 또한 대중적 선호도가 좋아서 한국 갤럽 올해의 가요로 2011년 <So Cool>이 5위, 2012년 <나혼자>가 2위, 2015년 <Shake It>이 9위를 하였다.
2017년 6월 7일 ‘SHOW CHAMPION’를 마지막 무대 '론리' 로 음반 활동을 종료하면서, 데뷔한 지 정확히 7년이 되는 날에 대한민국 걸그룹 역사의 한 줄로 남게 되었다.
팬덤명은 ‘스타일(STAR1)’. ‘씨스타는 최고’라는 뜻과 ‘우리는 하나’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여름에 나왔거나 섹시콘셉트을 내세우는 걸그룹들의 롤모델로 꼽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소속 가수가 K.WILL이 전부였던, 소형 중의 소형 소속사에서 데뷔했다.
보통 내리사랑이나 인지도 측면에서 남자 아이돌을 먼저 데뷔시키고 여자 아이돌을 데뷔시키는 방법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그러한 시스템으로 가는데, 스타쉽에서는 여자 아이돌 그룹인 씨스타가 먼저 데뷔했다.
이 당시 대형 기획사 아이돌들을 위주로 대우하였고 그들이 대세였기에 소,중형 기획사 아이돌이 뜨기가 쉽지 않았는데, 씨스타는 데뷔곡 Push Push부터 멜론 연간 50위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한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씨스타를 중소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대형 기획사의 지원 안에서 완벽한 콘셉트트를 만들고 데뷔 자체로 주목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씨스타는 인지도를 알리기 위해 각종 예능에서 열심히 활동했고, 점점 더 성장했다.
그야말로 스타쉽의 소녀가장. 데뷔한 지 어느덧 6년차가 넘은 2016년에 케이윌과 정기고는 스타쉽의 기둥은 씨스타라고 했다. 현재 씨스타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말.매드클라운도 씨스타 하나 보고 스타쉽에 들어온 거면 말 다한거지 뭐.
1년에 1번 이상은 꼭 컴백을 하는 그룹이다.
활동 기간동안 단 한 번도 멤버 간 불화설도 없었고, 탈퇴 멤버나 변경 멤버도 없으며, 스캔들도 기사화된 적이 없다.
털털하고 내숭없는 성격에 직설적으로 말하는 편이지만, 기분 나쁘기보단 유쾌하고 사이다라는 반응이 많은 편이다.
큰 구설수나 사건사고도 없는 편이며, SNS 사건, 사고도 없다.
이런 식으로 자기 관리를 무척 잘 하고 있는 걸그룹도 많지 않으며, 해체까지 어떠한 문제도 없었던 대단한 그룹.
2013년까지는 숙소에서 모두 같이 살았으나, 2014년 이후로는 개인 스케줄들까지 있어서 바빠지다 보니 각자 독립해서 살고 있다고 한다.
데뷔곡부터 해체곡까지 모두 멜론 연간차트에 들어간 걸그룹인 동시에, 2세대 걸그룹중에서 유일하게 해체곡까지 연간차트에 올린 걸그룹이다.
데뷔 이후로 낸 타이틀곡들 중 한 곡도 망한 적이 없다. 그저 '망하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데뷔 년도인 2010년 이후부터 낸 타이틀곡들은 기본 멜론 연간 10위권 안, 못해도 20위 안에는 들며 지금까지 멜론 연간차트 TOP10에 씨스타유닛 포함 총 5곡을 올려놓았다.
또한 '소름끼칠 정도의 음원화력을 보유해서' 웬만한 음원강자 소리를 듣는 가수가 아니면 이 씨스타를 감당하기 불가능한 수준이다.
걸그룹계에선 몇 안 되게 소속사 측에서 전혀 밀지 않는 수록곡들조차도 멜론 연간중위권에 들어간 적이 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성숙한 건강미라는 팀의 확고한 콘셉트을 가지고 있고 그 분야에서 가히 상징적인 위치에 있을 정도로 한국 대중가요계에 큰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굿바이 싱글인 <Lonely>까지도 발표 다음날 6시부터 줄곧 멜론 1위를 점령하고 있다.
경쟁자들을 생각하면 이게 해체하는 그룹 성적인지 기가 막힐 노릇.
또한 씨스타 멤버인 소유의 OST나 듀엣, 효린의 OST, 정규 1집, 듀엣도 좋은 성적을 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Push Push | Push Push (푸시푸시) | 2010년 6월 3일 |
싱글 2집 | 가식걸 | 가식걸 | 2010년 8월 25일 |
싱글 3집 | 니까짓게 | 니까짓게 | 2010년 12월 3일 |
정규 1집 | So Cool | So Cool (쏘쿨) | 2011년 8월 9일 |
미니 1집 | ALONE | 나혼자 (Alone) | 2012년 4월 12일 |
스페셜 앨범 | Loving U | Loving U (러빙유) | 2012년 6월 28일 |
정규 2집 | Give It To Me | Give It To Me | 2013년 6월 11일 |
미니 2집 | TOUCH N MOVE | Touch My Body | 2014년 7월 21일 |
스페셜 앨범 | SWEET & SOUR | I Swear | 2014년 8월 26일 |
미니 3집 | SHAKE IT | SHAKE IT | 2015년 6월 22일 |
미니 4집 | 沒我愛(몰아애) | I Like That | 2016년 6월 21일 |
디지털 싱글 | LONELY | LONELY | 2017년 5월 31일 |
2PM 투피엠 프롤로그
그룹명 | 2PM 투피엠 |
前 멤버 |
L 박재범 ( Jay Park [朴宰范] / 87 / 2009년 9월 8일 탈퇴 ) |
멤버 | 준케이 ( 김민준 [金閔俊] / 88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 A ) 닉쿤 ( นิชคุณ หรเวชกุล / 88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O ) 택연 ( 옥택연 [玉澤演] / 88 / 서울특별시 강남구 / AB ) 우영 ( 장우영 [張祐榮] / 89 / 부산광역시 동구 / B ) 준호 ( 이준호 [李俊昊] / 90 / 경기도 고양시 / A ) 찬성 ( 황찬성 [黃燦盛] / 90 / 서울특별시 성동구 / B ) |
데뷔 | 2008년 8월 29일 싱글 앨범 <Hottest Time Of The Day> |
활동기간 | 2008년 9월 4일 ~ 현재 |
소속사 | JYP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블랙 |
팬덤 | HOTTEST (핫티스트) |
2008년 9월 4일 데뷔한 JYP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아이돌 6인조 그룹이다.
데뷔 당시에는 7인조였으나 2010년 2월 25일 리더인 박재범의 영구탈퇴 이후 여섯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같은 소속사의 2AM과는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형제그룹이지만 스타일은 완전히 다르다.
박진영이 붙인 2PM이라는 그룹명은 "하루 중 가장 뜨거운 오후 두시에 듣기 좋은 음악을 한다"는 의미을 담고 있다.
SM엔터테인먼트의 아이돌 EXO-K, EXO-M의 하나이면서 둘인 활동 형태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습생을 함께 거쳤고 비슷한 나이대의 같은 소속사 그룹이다보니 사적인 자리에서는 형제와 같은 친분을 유지하는 듯.
데뷔 당시에는 SM엔터테인먼트가 아이돌 시장 패권을 장악하고 YG엔터테인먼트의 빅뱅이라는 그룹의 대성공으로 양강 체제가 굳어져 갔기에 원더걸스 원톱 형태로 돌아가던 JYP에서는 남자아이돌의 성공 여부가 불확실했다.
그러나 SM의 미소년형의 실력파 아이돌, 빅뱅의 개성 강하고 재능많은 악동 이미지 사이를 파고들어 SM 아이돌에게는 볼 수 없는 자유분방함과, YG 아이돌에게서 볼 수 없던 키와 몸매 및 아크로바틱 댄스 등을 선보이며 박진영 스타일을 함축해 놓은 싱글 '10점 만점에 10점'으로 시작과 동시에 도약하게 된다.
일명 '체고생' 이미지로, 이는 두번째 싱글의 발매와 더불어 짐승돌이라는 타이틀을 만들며 국내에서 새로운 입지를 선점하는데 성공한다.
10대들을 주 타겟으로 하는 아이돌이 하기에는 다소 과감한 혹은 솔직한 방송감과 퍼포먼스 등이 오히려 인기의 요소가 되었고, 이는 공중파보다는 다소 제약이 없는 케이블 TV의 예능 프로들을 통해 확고한 매력으로 자리잡는다.
또한 두번째 싱글 'Again & Again'의 성공으로 팬덤 또한 확고해지며 최정상급 아이돌의 하나로 올라선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온 박재범 마이스페이스 사건으로 인해 최정상의 자리를 그리 오래 지키지는 못하게 된다.
이후, 아이돌 시장의 엄청난 팽창으로 인하여 3대 기획사 출신이 아닌 아이돌들의 성공과, 오디션 프로그램의 활성화, 기존 음악 시장의 다양성 증대 등으로 아이돌 전체의 파워가 이들이 전성기인 시점보다 못해졌다.
따라서 현재는 그룹 전체로서의 인기에 연연하기보다는 자신들만의 활동영역을 만들어가는데 더 큰 힘을 쏟고 있는 듯 하다.
짐승돌이라는 독보적인 컨셉으로 구축된 건강한, 건실한 이미지와 대중적인 인지도, 호감도를 바탕으로 굉장히 드물게 광고계를 휩쓸며 좋은 대우를 받는 보이그룹이며, 광고효과도 좋아 재계약률 또한 높다.
TVCF 모델 랭킹에 그룹과 멤버 개개인이 모두 TOP10에 진입한 적도 있다.
코카콜라의 경우 북극곰을 제외한 전세계 모델 중 최초로 재계약을 달성했고, 아웃도어 브랜드인 NEPA와 안경점 브랜드인 룩옵티컬의 경우 2PM에게 절을 해야 할 정도이며, 카스맥주는 2PM이 광고할 때 하이트를 제치고 업계 1위를 달성했다가 계약이 끝난 뒤 다시 2위로 내려가는 진기한 상황까지 나왔었다.
캐리비안 베이는 여성 모델이 1년마다 바뀔 때 3년을 연속으로 광고모델 자리를 지켰다. 찍기도 많이 찍었지만 보면 전부 굵직한 브랜드들의 모델을 해왔고 하고 있다.
이러한 그룹의 힘과 멤버 개개인의 능력을 바탕으로 6명 멤버 전원의 개인활동 영역 또한 확고하게 자리잡혀 있다.
본격적인 병역 이행이 시작되었으며, 가장 처음으로 멤버 택연이 2017년 9월 4일에 입대하였다.
남은 멤버들은 각자 개인 활동을 하다 2018년 1월 31일, 군 복무중인 택연을 제외한 2PM 전 멤버들이 JYP엔터와 재계약을 하고 소속사 내 대외홍보이사자리로 선임되었다.
게다가 그 두번째 재계약은 JYP엔터테인먼트 역사상 2PM이 최초라고 한다.
2018년 7월 25일 택연이 재계약을 하지않고 JYP 엔터테인먼트를 떠나 피프티원케이와 새롭게 계약을 맺었다.
2PM을 탈퇴하는건 아니고 배우쪽 매니지먼트만 새로운 소속사에서 맡아 할 예정이며, 2PM 관련일은 여전히 JYP에서 한다고 한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1:59PM | HEARTBEAT | 2009년 11월 10일 |
2 | HANDS UP | HANDS UP | 2011년 6월 20일 |
3 | GROWN | 이 노래를 듣고 돌아와 하.니.뿐. |
2013년 5월 6일 |
3집 리패키지 | GROWN - GRAND EDITION | 내 이름을 불러줘 | 2013년 6월 19일 |
4 | 미친거 아니야? GO CRAZY! | 미친거 아니야? | 2014년 9월 15일 |
4집 리패키지 | 미친거 아니야? GO CRAZY! - GRAND EDITION | 2014년 9월 29일 | |
5 | NO.5 | 우리집 | 2015년 6월 15일 |
6 | GENTLEMEN'S GAME | Promise (I'll Be) | 2016년 9월 13일 |
싱글 앨범 / 미니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HOTTEST TIME OF THE DAY | 10점 만점에 10점 | 2008년 8월 29일 |
싱글 2집 | 2:00PM TIME FOR CHANGE | Again & Again | 2009년 4월 16일 |
싱글 3집 | DON'T STOP CAN'T STOP | Without U | 2010년 4월 19일 |
미니 1집 | Still 02:00pm | I'll Be Back | 2010년 10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