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god 지오디 프롤로그2020.05.09
-
신화 프롤로그2020.05.08
SS501 프롤로그
그룹명 | SS501 더블에스501 |
유닛 | Double S 301 (허영생, 김규종, 김형준) |
멤버 |
L 김현중 ( 金賢重 / 86 / 서울특별시 송파구 / B )
허영생 ( 許永生 / 86 / 경기도 광주시 / O )
김규종 ( 金圭鐘 / 87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 A ) 박정민 ( 朴政珉 / 87 / 서울특별시 강남구 / O )
김형준 ( 金亨俊 / 87 / 서울특별시 중구 / O ) |
데뷔 | 2005년 6월 23일 싱글 앨범 <1st SS501> |
활동기간 | 2005년 6월 8일 ~ 2010년 7월 11일 |
소속사 | DSP미디어 |
공식색 | 펄 라이트 그린 |
팬덤 | 트리플 S |
2005년 6월 8일 데뷔한 한국 아이돌 그룹.
공식색은 펄라이트그린, 공식 명칭은 '더블에스 오공일'로, Super Star 다섯(5) 명이 영(0)원히 하나(1)라는 뜻이다.
초기에는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않아 '에스에스 오공일' 이라 부르거나 군대에서는(특히 포병대에서는) '에스에스 오공하나'SS라 부르기도 했다.에스두개 오공일도 있었다
이는 H.O.T.와 함께 하나의 세대 구분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웹툰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 56화에서 관련 에피소드가 나왔는데 해당 화의 댓글에 얘네들 데뷔할때 "안녕하세요 에스에스오공일입니다" 라고 했어요 라는 증언이 쏟아졌다.
아시아 가수 최초로 오리콘 차트 TOP10에 선정되었다.
2014년에 터진 김현중의 여자친구 상습 폭행 혐의와 친자 논란으로 김현중의 이미지는 매우 나빠졌다.
2010년 6월 DSP미디어와의 계약이 만료로 리더인 김현중의 거취에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결국 김현중은 키이스트와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김현중의 타 기획사 이적 결정에 따라 김현중 개인 팬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트리플 내에서는 충격과 혼란이 큰 모양. 겉으로 보기에도 리더 김현중이 다른 멤버들을 버리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계약 만료 이전에는 라디오 스타 등의 방송에서 "몇 억을 주어도 이적하지 않겠다" 는 등의 발언을 하였고 배용준의 기획사와 접촉하였다는 소문을 단순한 루머로 일축시키며 오빠 믿지? 스킬을 시전하였으나 다 거짓이었다.
이후 아무런 입장 발표도 하지 않은 채 LA로 떠나버리고 귀국하여 처음 발표한 소식이 장난스런 키스 드라마 주인공 발탁. 이 덕분에 트리플은 오빠 믿어요vs내 5년 돌려줘 이렇게 두 가지 입장으로 공중분해 되었다.
사실 모 선배 그룹의 해체 과정 당시 있었던 난리 이후로 아이돌계에서 "우리 해체해요" 하고 공식 발표하는 인기 그룹은 거의 없다.
소속사 선배였던 핑클도 공식적으로는 해체되지 않았지만 멤버들이 뿔뿔히 흩어져서 해체로 인식되고 있는 걸 보면... 결론은 사실상의 해체인 셈이다... 김현중과 박정민이 군복무 중인 관계로 2016년에 유닛으로 먼저 컴백했으며, 추후 완전체로 컴백하겠다고 밝혔다.
키이스트에서는 "김현중은 그룹 활동을 계속 하고 싶어한다, 어떤 결정이 내려져도 김현중의 의사를 적극 존중할 생각이고 SS501 활동에도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 는 뜻을 밝혔지만 이후 김현중은 개인 인터뷰에서 "사실상 재결합은 무리" 라고 입장을 밝혔다.
다른 멤버들은 그룹 활동에 대해 섣불리 발언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팬들로부터 많은 원성을 샀다.
한편 박정민이 대만 소니 뮤직과 계약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이에 박정민 측은 제안은 있었지만 아무 곳도 계약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결국 10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CNR 미디어로 이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함으로써 4월 초 대만발 기사로 이미 발표된 차오즈핑과의 경영 계약설이 사실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후 김형준이 에스플러스엔터테인먼트로, 김규종과 허영생이 B2M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아무도 DSP와 재계약하지 않았다.
멤버 박정민과 김형준이 솔로로 컴백하여 활동하였고 허영생도 솔로 컴백했다.
멤버들도 "언젠가는 다시 뭉친다"고 강조하고 있다.
활동 중단 후에도 그룹 때와 마찬가지로 멤버들이 소속사로 인해 쉽게 국내에 컴백하지 못하고 해외를 돌고 있는데, 그 중 박정민의 고생이 유달리 심하다.
첫 개인 소속사에서 앨범을 안 내줘서 사비로 앨범을 발매했더니 수익은 전혀 받지 못했고, 소속사와의 소송으로 인해 여론이 안좋을 것을 우려해서 국내 컴백을 시도조차 못했다.
이후 옮긴 소속사는 자금 사정이 열악해 활동하지 못한 채 금방 나온 뒤에는 중화권과 일본에서 근근이 버텼다.
한국에서 앨범을 발매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일본에서라도 음악 활동을 지속했다고 밝혔다.
김규종은 올해 신경마비로 고생했다고 밝혔으며, 허영생은 데뷔 때부터 함께한 매니저 전 씨깨워줘서 고마워의 그 분 맞다에게 8000여만 원을 횡령당해 통수를 거하게 맞았다.
허영생이 의경 복무할 당시 주말마다 하던 공연에 김규종과 김형준이 함께한 적이 있다.
원래 비밀로 하기로 했으나, 공연일 직전 난데없는 김형준의 스포일러로 대문짝만하게 기사가 뜨더니 실시간 검색어 1위까지 찍는 등 일이 커졌다(...).
원래 사전 예약제라 이미 예약해둔 팬들이 있었으나 이 스포일러로 다 엎어져서 전날 밤부터 경찰청 앞에 입장줄이 세워졌다.
갑작스러운 소식에도 굉장히 많은 팬들이 몰렸는데, 해외팬도 많이 섞여있어 현장에 있던 한국 팬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당일 아침에 경찰청 앞에 늘어선 여자떼(…)에 기함한 경찰을 설득해 결국 명단이 세워졌다.
주말에 날아든 갑작스러운 공연 소식임에도 600명 가까이 입장했지만 자리 부족으로 발길을 돌린 팬들이 무척 많았다.
입장한 사람들도 좌석이 모자라 계단같은 곳까지 꽉꽉 채워 앉았다.
이 때는 입장 시간이 한 시간 가량 앞당겨 졌는데도 입장하느라 공연 시작 시간이 딜레이됐다.
여담으로 이 날 허영생은 실검 1위를 언급하며 아직 안 죽었다고 뿌듯해했다.
스포한 장본인은 일이 이렇게 될 줄 몰랐다고. 셋이 검은 옷을 맞춰 입기로 해놓고 허영생만 붉은 계열의 옷을 입었다. 박정민은 이 때 몸이 아파 함께하지 못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1st SS501 | 경고 | 2005년 6월 22일 |
싱글 2집 | 2nd SS501 | Snow Prince | 2005년 12월 5일 |
정규 1집 | S.T.01 Now | 4Chance | 2006년 11월 10일 |
싱글 3집 | DEJA VU | 데자뷰 | 2008년 3월 13일 |
미니 1집 | Find | Find | 2008년 7월 28일 |
스페셜앨범 | SS501 스페셜앨범 | U R Man | 2008년 11월 24일 |
DRAMA OST | 꽃보다 남자 OST | 내 머리가 나빠서 | 2009년 1월 8일 |
미니 2집 | REBIRTH | Love Like This (네게로) | 2009년 10월 22일 |
미니 3집 | DESTINATIO | Love Ya | 2010년 5월 24일 |
'┗옛 보이그룹 > SS501 | 슈퍼주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주니어 프롤로그 (1) | 2020.05.10 |
---|
2NE1 투애니원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What's up we're 2NE1! "
그룹명 | 2NE1 투애니원 21세기의 New Evolution |
멤버 |
박봄 ( 朴봄 / 84 / 서울특별시 / AB )
산다라박 ( 朴산다라 / 84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A )
L CL ( 이채린 [李彩麟] / 91 / 서울특별시 / A )
공민지 ( 孔旻智 / 94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 O ) |
데뷔 |
2009년 5월 6일 디지털 싱글 <Fire> |
활동기간 | 2009년 5월 17일 ~ 2016년 11월 25일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팬덤 | BLACK JACK (블랙잭) |
2009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YG엔터테인먼트 소속 여성 아이돌 힙합 걸그룹.
CL(리더, 래퍼, 리드보컬), 박봄(메인보컬), 박산다라(보컬, 랩), 공민지(보컬, 랩) 4인조로 활동을 하였다가 2016년 5월 4일 공민지가 탈퇴하여 잠시 3인조가 되었다.
하지만 3인조 활동은 해보지도 못한 채 박봄 탈퇴로 2인조가 된 상태에서 2016년 11월 25일 공식적으로 해체가 발표되었다. 마지막 앨범은 2017년 1월 21일 발매되었고 제목은 "안녕 "이다.
음원 강자 걸그룹 중 한 팀으로 유명했으며, 걸그룹 중 최초로 정규앨범의 모든 수록곡들을 음원 차트에서 줄 세우기한 기록까지 보유하고있다.
그런데 해체를 한지 약 3년만인 2019년 5월 17일에 멤버 완전체가 드디어 뭉쳤다!
재결합을 위해 뭉친 건 아니지만, 2NE1의 데뷔 10주년을 맞아서 뭉쳤고, 10주년 기념으로 4명이 함께 인스타그램 라이브도 하면서 팬덤인 블랙잭과 대중들에게 오랜만에 추억을 가져오며 동시에 "정말 2NE1 재결합을 했으면 좋겠다." 라는 바람도 가지게 했다.
가능성이 없지는 않는데, 멤버들 역시 재결합에 대한 의지가 누구보다 강한 편이다.
일찍 소속사를 옮긴 공민지는 뮤직웍스 측에서 데뷔앨범 이후 별다른 활동을 시켜주지 않아 분쟁소송에 들어갔다.
박봄은 디네이션으로 소속사를 옮겨 솔로 활동 중이고, CL은 YG와 계약이 만료된 후 1인 기획사를 설립하여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산다라박은 활발한 방송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YG와의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박봄과 산다라박이 2019년 들어 이런저런 콜라보를 진행했다.
고정 출연한 컴백전쟁: 퀸덤에서도 2NE1을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이며 재결합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데뷔
투애니원 데뷔 이전에 여자 연습생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YG의 차기 신인 그룹은 '여자 빅뱅'이라는 소문이 제시되었다.
2009년 4월 빅뱅과 함께 한 CYON 광고 및 광고 삽입곡인 롤리팝을 통해 실체를 드러내며 처음 대중에게 얼굴을 보였다.
그리고 롤리팝 음원 성적이 초대박을 쳐서 방송 활동을 일절 하지 않았는데도 각종 음원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화제가 되었고, 심지어는 CM송 최초로 뮤직뱅크에서 K-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한, CYON 홈페이지에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자 사이트가 먹통이 되었고, 나중에 뮤비 다운로드 링크를 다른 서버로 열었다.
2009년 5월 정식 데뷔곡인 디지털 싱글 'Fire'가 각 음원사이트에 공개되었다.
이례적으로 뮤직비디오가 'Space'와 'Street' 2가지 버전으로 나뉘어졌다.
'Street 버전'은 힙합 컨셉이며 'Space 버전'은 말 그대로 우주적인 이미지를 담은 컨셉이다.
하지만 물론 두 뮤비 모두에서 'Lollipop'에서 보여준 패션 센스는 여전했다.
5월 17일 SBS 인기가요를 통해 방송 무대에 데뷔하였다.
컨셉
데뷔 초기부터 “센 언니들”이 컨셉이었다. 그렇기에 여성 걸그룹으로서는 독특하게도 여성 팬과 남성 안티가 많다.
안티가 생긴 주요 원인은 이성에 대한 감정을 노린 기존의 걸그룹 컨셉과 다른 이질적인 스타일, 아이돌 걸그룹치고는 투박한 외모와 YG엔터테인먼트의 과도한 마케팅, 그리고 데뷔 초기 소수 팬들이 타 아이돌을 깎아내리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남초 사이트에서는 2NE1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I Don't Care 활동이 시작되고 나서부터 남성 팬들이 급속도로 늘어났다.
현재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남성들은 이제 2NE1을 까기보다는 높은 퀄리티의 싱글을 꾸준히 발표하는 실력파 넘사벽 여성 그룹으로 인식하고 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Fire | Fire | 2009년 5월 6일 |
미니 1집 | 2NE1 1st Mini Album | I Don't Care | 2009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날 따라 해봐요 | 날 따라 해봐요 | 2010년 2월 9일 |
정규 1집 | To Anyone |
Can't Nobody Go Away 박수쳐 |
2010년 9월 9일 |
디지털 싱글 | Lonely | Lonely | 2011년 5월 12일 |
디지털 싱글 | 내가 제일 잘 나가 | 내가 제일 잘 나가 | 2011년 6월 24일 |
미니 2집 | 2NE1 2nd Mini Album | Ugly | 2011년 7월 28일 |
디지털 싱글 | I Love You | I Love You | 2012년 7월 5일 |
디지털 싱글 | Falling In Love | Falling In Love | 2013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Do You Love Me | Do You Love Me | 2013년 8월 7일 |
디지털 싱글 | 그리워해요 | 그리워해요 | 2013년 11월 21일 |
정규 2집 | CRUSH | COME BACK HOME | 2014년 2월 26일 |
디지털 싱글 | 안녕 | 안녕 | 2017년 1월 21일 |
애프터스쿨 프롤로그
그룹명 |
AFTER SCHOOL |
유닛 |
오렌지캬라멜 (레이나, 나나, 리지) 애프터스쿨 레드 (가희, 정아, 유이, 나나) 애프터스쿨 블루 (주연, 레이나, 리지, 이영) |
퇴학생 |
유소영 (1기) ( 주소영 / 86 / 서울특별시 / AB ) |
졸업생 |
베카 (1~4기) ( 김레베카 / 89 / 미국 하와이 주 / AB )
1L 가희 (1~5기) ( 박지영 / 80 / 대구광역시 / O )
이주연 (1~5기) ( 李周姸 / 87 / 서울특별시 노원구 / AB )
2L 김정아 (1~5기) ( 金廷娥 / 83 /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 O )
유이 (2~5기) ( 김유진 [金幽珍] / 88 /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O )
레이나 (3~5기) ( 오혜린 [吳惠麟] / 89 / 울산광역시 울주군 / B )
리지 (3~5기) ( 박수영 [朴修映] / 9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A )
이영 (4~5기) ( 노이영 / 92 / 강원도 춘천시 / A )
가은 (5기) ( 이가은 [李佳恩] / 94 / 서울특별시 용산구 / AB ) |
멤버 |
나나 (3~5기) ( 임진아 [林珍兒] / 91 / 충청북도 청주시 / A ) |
데뷔 |
2009년 1월 15일 싱글 앨범 <New School Girl> |
활동기간 | 2009년 1월 15일 ~ |
소속사 | 플레디스 |
공식색 | 펄 페리윙클 |
팬덤 | Play Girlz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그룹명은 '방과 후'의 자유 분방함을 표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2009년 1월 15일에 싱글 1집 《New Schoolgirl》을 발매하며 데뷔하였다.
국내에서는 이례적으로 입학과 졸업 등 멤버 변동이 자유로운 시스템으로 화제와 대중성을 잡고 전혀 다른 컨셉의 유닛까지 성공했으나 2015년부터 활동을 멈춘 채 졸업 및 계약 만료 등 멤버들의 사정에 따라 현재는 나나만 남게 되었다.
'한국의 푸시캣 돌스'라는 수식어를 달고 데뷔했으며, 데뷔 전에는 손담비가 그룹에 멤버로 참여한다는 듯한 뉘앙스의 기사로 많은 이들을 낚기도 했다.
이 외에도 확인되는 수식어는 '퍼포먼스 그룹', '최장신 걸그룹', '섹시한 걸그룹', '3S' 등이 있다.
멤버 대부분이 춤을 잘 추고 몸매가 좋다 보니 색기담당이 가능한 점도 특징.
결성 비화를 보면 회사에 소속 연습생이 덜렁 가희와 손담비 두 명뿐인 상황에서 우선 손담비를 솔로 데뷔시킨 뒤 가희와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대표 한성수가 그룹 결성을 위해 멤버들을 모으러 다녔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데뷔 앨범 《New Schoolgirl》 당시 멤버들의 과거를 보면 얼짱 출신에, 엑스트라 연기자에, 다른 팀을 거쳤거나 등등 이래저래 고생을 많이 한 인물들이다.
손담비가 <미쳤어>로 성공하기 전에는, 실패한 솔로들이 종종 그러하듯 애프터스쿨에 영입해 실제 멤버로 활동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컨셉 관리의 실패와 멤버 졸업, 일본활동의 집중 등으로 'Bang!' 때의 전성기를 회복하지 못했다.
2013년 싱글 '첫사랑' 이후로 멤버들이 다수 탈퇴하고 솔로활동에 집중하였으며 유닛활동마저 오렌지 캬라멜이 2014년 '나처럼 해봐요' 이후로 활동을 중단하여 사실상 해체 상태이다.
과할 정도로 소속사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지만 이를 지적할 팬덤마저 남아있지 않은 상태.
플레디스는 이미 세븐틴과 PRISTIN으로 총력전을 옮긴 상황.
그나마 나름 연예계에서 자리를 잘 잡은 다른 멤버들에 비해 하락세인 'Flashback' 당시 졸업한 가희의 빈자리를 채우며 들어온 가은이 거의 5년 동안 컴백을 기다렸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가은이 프로듀스 48에 출연하며 밝힌 내용인데 애프터스쿨은 공식적으로 해체한 것은 아니지만 사장에게서 출연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팀이 사실상 해체라는 것이 밝혀졌다.
멀쩡한 연습생을 데뷔시킨 뒤에 컴백도 안 시켜주고 5년이나 계약으로 묶어놓은 플레디스에 대한 비난 여론이 상당하다.
솔로 활동은 유이가 2016년 MBC 연기대상 후보에 들만큼 결혼계약으로 성공적인 연기로 호평을 받았고, 나나는 굿와이프로 모두의 우려를 깨고 배우 연기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레이나는 산이와의 콜라보레이션 음원인 <달고나>, JTBC 예능 싱포유의 프로젝트 음원인 <징글징글징글벨> 등 음원을 발표하고 노래 대결 프로그램에 나와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리지는 뷰티 프로와 예능 프로에서 끼와 매력을 발산하였다.
이영은 정말 생존신고를 안 하기 때문에 감감무소식이다(...).
가은은 화려하고 능숙한 디제잉 솜씨로 DJ 활동을 하고 있으며 드라마에서 카메오로 캐스팅되었다.
멤버들의 평균신장이 상당히 높다. 거의 170cm 언저리에 가 있으며 이정도로 장신 걸그룹은 나인뮤지스, 여자친구, 소나무, 베이비복스 정도에 불과하다. 핑클의 경우는 이효리 혼자 평균신장을 많이 깎아서 이 걸그룹 대열에 합류하지는 못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New School Girl | AH | 2009년 1월 15일 |
디지털 싱글 | Diva | Diva | 2009년 4월 9일 |
싱글 2집 | 너 때문에 | 너 때문에 | 2009년 11월 25일 |
싱글 3집 | Bang! | Bang! | 2010년 3월 25일 |
정규 1집 | Virgin | Shampoo | 2011년 4월 28일 |
싱글 4집 | RED | 밤 하늘에 | 2011년 7월 20일 |
BLUE | 원더보이 | ||
싱글 5집 | FLASHBACK | FLASHBACK | 2012년 6월 20일 |
싱글 6집 | 첫사랑 | 첫사랑 | 2013년 6월 13일 |
싱글 | 일주일 | 일주일 | 2014년 2월 21일 |
'┣옛 걸그룹 > 애프터스쿨 | 오렌지 캬라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 캬라멜 프롤로그 (0) | 2020.05.18 |
---|
동방신기 프롤로그
그룹명 | TVXQ! 동방신기 東方神起 |
前 멤버 |
영웅재중 ( 김재중 [金在中] / 86 / 충청남도 공주시 / O )
믹키유천 ( 박유천 [朴裕仟] / 86 / 서울특별시 강동구 / O )
시아준수 ( 김준수 [金俊秀] / 86 / 경기도 고양군 지도면 / B ) |
멤버 |
L 유노윤호 ( 정윤호 [鄭允浩] / 86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 A )
최강창민 ( 심창민 [沈昌珉] / 8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O ) |
데뷔 | 2004년 1월 14일 싱글 앨범 <Hug> |
활동기간 | 2003년 12월 26일 ~ 2010년 3월 (5인) 2010년 8월 ~ 현재 (2인)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레드 |
팬덤 | Cassiopeia (카시오페아) |
2003년 12월 26일에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2인조 보이그룹이다.
남자 아이돌 그룹. 신화가 아이돌 그룹의 생명 연장에 이바지하고,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원더걸스가 2세대 아이돌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동방신기는 2세대 아이돌의 시초라 할 수 있다.
YG와 JYP 등지에서 2세대 아이돌 그룹들이 등장하기 전까지 SG워너비와 조영수를 필두로 가요계 트렌드를 R&B 소울 발라드가 잠식시킨 시기에 사실상 비교적 대중적 트렌드를 유지하며 활동한 당대 유일한 댄스 아이돌이었다고 볼 수 있다.
작명 당시에 거창하게 여겨졌던 팀명은 '동방에서 신이 일어나다'는 의미다.
이를 통해 이 그룹 자체가 아시아 음악 시장 제패를 목표로 계획된 프로젝트임을 짐작케 한다.
특히 멤버들의 예명을 4글자로 맞춘 것은 중국 시장을 노리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보아의 성공적인 일본 메이저 시장 진출을 기반으로 기존의 중국 음악시장을 타겟으로 삼고자 했지만 일본 위주의 활동을 펼치게 되어 본래의 기획 의도와는 조금 다른 활동 노선을 걷게 된다.
캐치프레이즈는 We Are T!. 2인조 재편 이후이자 데뷔 9년차에 접어들 쯤에 고안된 인사법으로 팬들과 함께 진행하는 인사법이다.
동방신기의 멤버들이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의 재치 발랄한 캐치프레이즈가 부러워 TONE 투어에서 제안했다.
2015년 12월 19일 기준으로 총 14,143,519장의 누적 판매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대한민국 아이돌 (가수) 그룹으로서는 처음으로 앨범 판매량 총 1000만 장의 위업을 달성했다.
2016년부터 동방신기 멤버 두 명의 평균 연령이 30대가 되었다.
5인 시절
1990년대 중반 댄스 음악의 강세와 아이돌의 등장으로 인해 가요프로에서도 립싱크가 주를 이뤄 아이돌 그룹과 댄스 가수들의 가창력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붙게 되고 이는 자연스레 아이돌 그룹의 한계와 편견으로 굳어져 갔는 데 동방신기 역시 이러한 논란에서 마냥 자유로울 순 없었다.
'Hug' 활동 당시에는 멤버들의 앳된 목소리와 댄스곡이지만 강도가 세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커버가 되었지만 'The Way U Are'를 기점으로 전통 댄스곡 위주의 활동을 벌이게 되면서 가창력 논란은 점차 불거지기 시작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2004년 정규 1집 활동 당시 SBS와 케이블 채널에서는 후속곡을 'Tri-Angle'로 활동했던 반면 립싱크가 불가능했던 KBS와 MBC에서는 스페셜 캐롤 앨범 타이틀곡인 '마법의 성'으로 활동한 점과 2집 활동 당시 MBC 쇼 음악중심 출연 클립을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는 동방신기도 본래 H.O.T와 신화의 계보를 잇는 SMP의 적장자로서 기획된 팀이자 'Hug'를 데뷔곡으로 채택한 것은 동방신기의 자리매김을 위한 일시적인 전략이었음을 시사하는 바이기도 하다.
리드, 메인보컬 역할을 두고 각 개인팬들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영웅재중, 시아준수와 중저음도 매력적이지만 팀내 역할 분담에 의해 대부분 시원한 고음을 담당했던 최강창민, 그리고 탄탄한 중저음으로 동방신기 화음을 뒷받침하고 무대에서 시선강탈을 담당했던 리더 유노윤호, 호흡과 체력은 부족하지만 매력적인 보컬과 미국 출신으로 영어랩을 담당했던 믹키유천.
이렇게 다섯 멤버의 조화가 당시 아이돌 침체기에 이르렀던 가요계에 다시 아이돌붐을 일으키는 2세대 아이돌의 시작점이 되었었다.
5인조 동방신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Hug | Hug (포옹) | 2004년 1월 14일 |
싱글 2집 | The Way U Are | The Way U Are | 2004년 6월 24일 |
정규 1집 | TRI-ANGLE | 믿어요 Tri-Angle (Extended Ver.) (Feat. BoA & The Trax) |
2004년 10월 11일 |
스페셜 앨범 | The Christmas Gift from 東方神起 | 마법의 성 (Magic Castle) | 2004년 12월 6일 |
싱글 4집 | Hi Ya Ya 여름날 | Hi Ya Ya 여름날 | 2005년 6월 22일 |
정규 2집 | Rising Sun | Rising Sun (순수) | 2005년 9월 12일 |
스페셜 싱글 | Show Me Your Love | Show Me Your Love | 2005년 12월 16일 |
싱글 5집 | 동방의 투혼 | 동방의 투혼 | 2006년 6월 2일 |
정규 3집 | "O"-正.反.合. | "O"-正.反.合. | 2006년 9월 29일 |
정규 3집 리패키지 | "O"-정.반.합. | 풍선 (Balloons) (New Ver.) | 2006년 11월 10일 |
번안 싱글 | Purple Line | Purple Line (한국어 버전) | 2008년 1월 16일 |
정규 4집 | MIROTIC | 주문-MIROTIC Love In The Ice |
2008년 9월 25일 |
정규 4집 리패키지 | MIROTIC (SPECIAL EDITION) |
Wrong Number | 2008년 11월 12일 |
2인조 동방신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5집 | 왜 (Keep Your Head Down) | 왜 (Keep Your Head Down) MAXIMUM |
2011년 1월 5일 |
정규 5집 리패키지 | 왜 (Keep Your Head Down) (Repackage) |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 2011년 3월 14일 |
정규 6집 | Catch Me(동방신기) | Catch Me | 2012년 9월 26일 |
정규 6집 리패키지 | Humanoids | Humanoids | 2012년 11월 26일 |
정규 7집 | TENSE | Something | 2014년 1월 6일 |
정규 7집 리패키지 | 수리수리 (Spellbound) | 수리수리 (Spellbound) | 2014년 2월 27일 |
스페셜 앨범 | RISE AS GOD | 샴페인 (Champagne) (Sung By U-Know) Rise As One (Sung By Max) |
2015년 7월 20일 |
정규 8집 | New Chapter #1: The Chance of Love | 운명 (The Chance of Love) 평행선 (Love Line) |
2018년 3월 28일 |
스페셜 앨범 | New Chapter #2: The Truth of Love | Truth | 2018년 12월 26일 |
'┗옛 보이그룹 > god | 동방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d 지오디 프롤로그 (0) | 2020.05.09 |
---|
god 지오디 프롤로그
그룹명 |
god (groove over dose) |
멤버 |
L 박준형 ( 朴俊炯 / 69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 B )
윤계상 ( 尹啓相 / 7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O )
데니 안 ( 안신원 [安信源] / 78 /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 O )
손호영 ( 孫昊永 / 80 / 미국 뉴저지 주 / O )
김태우 ( 金太優 / 81 / 경상북도 구미시 / B ) |
데뷔 |
1999년 1월 13일 정규 앨범 <Chapter 1> |
활동기간 |
1999년 1월 13일 ~ 2005년 10월 28일 2014년 7월 8일 ~ 현재 |
소속사 |
싸이더스HQ (1999년 ~ 2003년, 2014년 ~ 현재) JYP엔터테인먼트 (2004년 ~ 2005년) |
공식색 | 하늘색 |
팬덤 | fan god |
1999년 1월 13일에 싸이더스HQ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5인조 보이그룹이다.
6집부터 JYP 엔터테인먼트와 계약하게 된다.
2014년 5월 8일 완전체로 컴백하면서 첫 소속사인 싸이더스HQ 소속으로 컴백하게 되었다.
당시 신비주의 콘셉트가 난무하던 시절, 평범한 청년 컨셉으로 편안함으로 다가와 아이돌 최초의 국민그룹이라고 해도 이상할게 없을 정도로 기존 아이돌 주 소비층인 10대를 포함, 전연령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그룹이다.
2000년 3집 음반 184만장, 2001년 4집 음반 171만장 이상을 판매하고, 방송 3사 가요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민그룹으로 불리며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100일간의 휴먼 콘서트'라는 타이틀에 매일 다른 주제로 구성된 콘서트 100회를 전회 매진시키며 성공적으로 끝마쳐 공연계의 한 획을 긋기도 했다.
데뷔 당시 5인조였던 god는 2004년 윤계상의 탈퇴이후 나머지 네명이 4인조로 활동을 계속했으나 2005년 발매한 7집 ‘하늘 속으로’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잠정 중단하고 멤버들은 개인활동을 시작했다.
2014년 5월 탈퇴했던 윤계상을 포함하여 9년만에 5명으로 싱글 《미운오리새끼》를 발매했다.
5월 8일 음원 공개 직후 멜론, 엠넷닷컴, 올레뮤직, 네이버뮤직, 소리바다, 지니, 벅스, 싸이월드뮤직, 몽키3 등 9개 음원 차트 1위를 석권했다.
7월 1일, 3집 '하늘색 풍선'에 이은 또 다른 팬송 '하늘색 약속'을 발표하여, 각종 음원차트 1위에 올랐고, 7월 8일 공개한 정규 8집 수록곡들은 각종 음원차트에서 줄세우기에 성공했다.
팬클럽 이름은 fan god 약칭으로 팬지라고도 불린다.
상징색은 하늘색이고 공식물품은 하늘색 풍선과 파란색 야광봉이다.
다른 아이돌과는 달리 멤버 중 만 29세(30세가 되는해)로 데뷔를 하게된 박준형이 있었다.
갓 데뷔한 아이돌 치고는 꽤나 고령인 셈.
여담으로 멤버 전원이 집안의 막내며 누나가 있다. 손호영은 여태껏 프로필에 1남 1녀 중 둘째로 알려져왔으나 이복 여동생이 있으며, 아버지 쪽으로만 따지면 사실상 1남 2녀중 둘째다. 하지만 함께 같이 살지도 않았고, 손호영 본인도 언론에서 '1남 1녀중 막내'라고 했다.
그룹명의 이름인 god는 groove over dose를 줄인 것이다.
전성기에는 지상파, 케이블 안가르고 상을 쓸어 담다시피 했고, 2014년 8집 발매 후 멜론뮤직어워드에서 대상 중 하나인 베스트 앨범상 수상.
2000년에는 그 절정의 전성기를 달리던 조성모를 제치고 KBS 가요대상을 수상했고, 2001년에는 SBS, KBS, MBC 지상파 3사 대상을 한 해에 모두 수상하고 그에 더해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과 엠넷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에서도 대상에 해당하는 최고 인기 뮤직비디오상을 수상하며 크리플 크라운과 그랜드슬램을 동시에 달성하였다.
이때 유일하게 수상을 하지 못한 시상식은 서울가요대상 하나뿐이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활동곡 | 발매일 |
1 | Chapter 1 |
어머님께 관찰 |
1999년 1월 13일 |
2 | Chapter 2 |
사랑해 그리고 기억해 애수(哀愁) |
1999년 11월 25일 |
3 | Chapter 3 |
니가 필요해 거짓말 촛불하나 |
2000년 11월 3일 |
4 | Chapter 4 |
길 니가 있어야 할 곳 |
2001년 11월 15일 |
5 | Chapter 5 Letter |
편지 0% |
2002년 12월 17일 |
6 | 보통날 | 보통날 | 2004년 12월 9일 |
7 | 하늘속으로 |
하늘속으로 2♡ |
2005년 10월 20일 |
8 | Chapter 8 |
하늘색 약속 Saturday Night |
2014년 7월 8일 |
'┗옛 보이그룹 > god | 동방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방신기 프롤로그 (1) | 2020.05.09 |
---|
소녀시대 프롤로그
지금은 소녀시대, 앞으로도 소녀시대, 영원히 소녀시대!
그룹명 |
Girls' Generation / SNSD 少女時代 |
유닛 |
소녀시대 - 태티서 소녀시대 - Oh!GG |
前 멤버 |
제시카 ( 정수연 [鄭秀姸] / 89 / 2014년 9월 30일 탈퇴 ) |
멤버 |
L 태연 ( 김태연 [金太軟] / 89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A ) ( 이순규 [李純揆] / 89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B ) ( 황미영 [黃美永] / 89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O ) ( 김효연 [金孝淵] / 89 / 인천광역시 남동구 / AB )
( 권유리 [權俞利] / 89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AB )
( 최수영 [崔秀榮] / 9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 O ) ( 임윤아 [林潤妸] / 9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 / B ) ( 서주현 [徐朱玄] / 91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 A ) |
데뷔 |
2007년 8월 3일 싱글 앨범 <다시 만난 세계> |
활동기간 |
2007년 8월 5일 ~ 2017년 10월 9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파스텔 로즈 |
팬덤 | S♡NE (소원) |
‘소녀시대’라는 이름은 ‘소녀들이 평정할 시대가 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데뷔 전에는 멤버들 모두 세련되고 멋진 이름을 예상했었는데, 당시에는 다소 촌스러워 보이는 한국어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울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SM에서 소녀시대를 만들 때 세운 목표가 국내에서는 모든 연령대에게 관심을 끌 수 있고 이를 넘어 해외까지 공략할 수 있는, 일명 ‘범아시아적 그룹’이었기 때문에 SM 입장에서는 매우 고심해서 지은 것이었다고.
현재는 멤버들도 영어나 라틴어 이름이 대다수인 아이돌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한국어 팀명이란 것을 장점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름에 대한 자부심도 크게 느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그룹명을 줄여서 흔히 ‘소시’라고 부르기도 하고, 한 음절로 ‘솟’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솟’은 다소 어감이 좋지 않아 잘 불리지 않지만, ‘소시’는 언론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자주 사용될 정도로 대중들에게 익숙한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공식 영어명은 ‘Girls' Generation’으로, 외국 언론에 소개될 때에는 이 이름으로 소개되지만 실제 해외팬들은 인터넷상에서 소녀시대의 첫 자음을 딴 이니셜 ‘SNSD’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한다.
당장 유튜브 같은 곳에서도 ‘SNSD’가 표준에 가까울 정도.
일본에서는 ‘少女時代’라 쓰고 '쇼죠지다이(しょうじょじだい)'로 읽는 것이 공식적인 표현이지만, 국내 발음을 따라서 ‘소뇨시데(ソニョシデ)’라고 읽거나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사람도 많다.
중국에서도 중국어 발음으로 ‘샤오뉘스따이’라 발음하지만, 팬들은 한국어로 ‘소녀시대’쏘뇨쒸대라 불러주는 경향이 있다.
한자 문화권을 포함한 해외팬들도 원래 그룹명의 발음이 ‘So Nyeo Shi Dae’인 것을 잘 아는데다, 특히 영문명인 ‘Girls' Generation’은 살짝 번역어 느낌이 나서 어색해한다고 한다.
인기
아시아에서 K-POP 열풍을 이끈 2세대 걸그룹 끝판왕이며, 그만큼 많은 후배 걸그룹들의 롤모델로 꼽히고 있다.
특히 ‘국민 걸그룹’이라는 칭호에 걸맞는 압도적인 대중성과 인지도, 보이그룹 팬덤과 비견될 만한 대형 팬덤까지 고루 갖추며 최고의 걸그룹 이미지를 공고히 했다.
이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멤버들의 캐릭터도 확고하고 서로 간의 관계도 잘 어울려 팬질하기가 좋은 조합이라고. 듀나는 “소녀시대가 군대나 태릉선수촌이 아닌 기숙학원 판타지로 비춰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 때문인지 데뷔 초 코어팬 중엔 2D 관련 서브컬쳐 팬질 유경험자들이 많았으며, 특히 일본 아이돌 팬질 하다가 소녀시대 팬으로 전업한 케이스들이 매우 많았다.
인지도 역시 전설이라 소위 '삼촌팬'의 개념을 만든 대표적인 걸그룹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팬덤 문화의 주를 이루는 여성팬들도 굉장히 많다. 군통령의 대표적인 걸그룹이기도 했다.
<Oh!> 티저 영상을 네이버에서 단독 공개하자, 포털사이트에 접속자가 너무 몰려 네이버 서버가 터진 적도 있다.
이에 '소녀시대는 하나의 그룹 그 이상의 이미지'라는 평가를 받기도. 대한민국 브랜드 위원회에서도 유재석, 김연아, 소녀시대를 한국 브랜드 가치 TOP 3로 두기도 했다.
또한 시사저널에서 2년 연속 연예계 1위, 5년 연속 랭크인을 했는데, 25년 정도 된 시사저널에 소녀시대를 제외한 아이돌이 순위권에 들어간 것은 예전에 딱 한 번 1세대 아이돌인 god, 그것도 10위 정도다.
2016년을 기준으로, 한국갤럽 10년 연속 올해의 가수 TOP 5 안에 들기도 했다. 또한 류현진과 공동으로 한국관광공사의 대한민국 홍보대사에 위촉되거나, 소치 폐막식 때 전 세계로 송출되는 평창 올림픽 홍보 영상에 한류 대표로 아이돌 중에서는 유일하게 등장하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이돌로 흔하게 인식되었다.
일본에서는 카라와 함께 K-POP 아이돌 열풍을 일으켰으며, <GENIE>에서의 각선미 비주얼로 ‘미각 그룹’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본 활동을 통해 오리콘 차트 1위, ‘뮤직 스테이션’ 및 ‘NHK 홍백가합전’ 출연, 6개 도시 투어로 전 세계 걸그룹 역대 투어 매출 4위, K-POP 걸그룹 최초 앨범 판매량 밀리언셀러 등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어모았고, 특히 2014년에는 단독 콘서트로 평일임에도 불구 도쿄 돔 매진을 이루어내며 높은 대중성과 팬덤 화력을 입증시켰다.
완전체 공백기가 이어지는 현재에도 라인에서 진행한 ‘일본인 62만명이 가장 좋아하는 여자 아이돌’ 순위 중 종합 8위를 차지하는 등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미국에서 쌓은 인기와 성과 또한 상당하다. 2011년에는 K-POP 가수 최초로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전속계약을 체결하고 미국에 진출해 유명 토크쇼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고, <The Boys>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2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는 유닛 그룹 소녀시대-태티서의 <Twinkle>이 2010년대 아이돌 최초로 빌보드 200 차트 110위에 올랐다.
2013년에는 <I GOT A BOY>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에 오름과 함께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노래에 랭크되었고, 2014년에는 <Mr.Mr.>가 타임지가 선정한 베스트 송 25 올랐다.
그 외에 <Lion Heart>, <Holiday Night>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
현재까지도 이와 관련된 성과로 빌보드에서 소녀시대에 대한 언급이 잦은 편이다.
해외팬 또한 굉장히 많다. 현재까지 유튜브 조회수 1억뷰를 돌파한 뮤직비디오가 2019년 기준으로 8개이며, <Oh!>가 5번째로 1억뷰를 기록하면서 2016년 12월 14일 기준 아이돌 최초로 5개의 1억뷰 뮤직비디오를 보유한 그룹이 되었다.
거기에 유닛 그룹 소녀시대-Oh!GG의 <몰랐니>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태연의 <I> 뮤직비디오도 1억 8000만뷰를 돌파했다.
소녀시대의 대표적인 해외 팬클럽인 소시파이드는 북미 지역에서 최초로 결성된 한국 가수 팬클럽으로, 소녀시대가 해외에서 K-POP 인기의 시작을 알렸다는 대표적 예시라고 볼 수 있다.
걸그룹은 보통 앨범 판매량은 바닥인 대신 음원이 잘 팔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 소녀시대는 발라드 시대 이후 앨범시장이 지나가고 음원시장에 돌입했던 2010년대 초반에도 연간 앨범 판매량으로 밀리언셀러가 되는 얼마 되지 않는 걸그룹들 중 하나다.
10여년간의 화력이 쌓인 만큼 누적된 기록 또한 엄청난데, 2018년 기준으로 국내외 앨범 누적 판매량이 약 570만장 이상이다.
이 정도 판매량은 역대 걸그룹 중 2위, 전체 아이돌을 통틀어서도 손꼽히는 수준이다. 음악 방송 1위 또한 총 100관왕, 유닛, 솔로 활동에서의 1위를 합치면 142관왕이라는 독보적인 기록을 자랑한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소녀시대 | 소녀시대 Kissing You |
2007년 11월 1일 |
1집 리패키지 | Baby Baby | Baby Baby | 2008년 3월 13일 |
2 | Oh! | Oh! | 2010년 1월 28일 |
2집 리패키지 | Run Devil Run | Run Devil Run | 2010년 3월 22일 |
3집 The Boys ver. | The Boys | The Boys | 2011년 10월 19일 |
3집 MR.TAXI ver. | MR.TAXI | Mr.Taxi The Boys(English ver.) |
2011년 12월 8일 |
4 | I GOT A BOY | I GOT A BOY Dancing Queen |
2013년 1월 1일 |
5 | Lion Heart | Lion Heart You Think Party |
2015년 8월 18일 |
6 | Holiday Night | All Night Holiday |
2017년 8월 4일 |
미니 앨범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다시 만난 세계 | 다시 만난 세계 | 2007년 8월 3일 |
미니 1집 | Gee | Gee 힘 내! |
2009년 1월 5일 |
미니 2집 | 소원을 말해봐 | 소원을 말해봐 Etude |
2009년 6월 25일 |
미니 3집 | 훗(Hoot) | 훗(Hoot) | 2010년 10월 25일 |
정규 4집 선행 싱글 | Dancing Queen | Dancing Queen | 2012년 12월 21일 |
미니 4집 | Mr.Mr. | Mr.Mr. | 2014년 2월 24일 |
번안 싱글 | Catch Me If You Can | Catch Me If You Can | 2015년 4월 10일 |
정규 5집 선행 싱글 | Party | Party | 2015년 7월 7일 |
9주년 기념 디지털 싱글 |
그 여름(0805) | 그 여름(0805) | 2016년 8월 5일 |
'┣옛 걸그룹 > 소녀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녀시대 일본 프롤로그 (0) | 2020.06.21 |
---|
카라 프롤로그
그룹명 | KARA 카라 |
前 멤버 |
김성희 ( 金成熙 / 89 / 1기 )
니콜 ( 정용주 [鄭龍珠] / 91 / 1~2기 )
강지영 ( 姜知英 / 94 / 2기 ) |
멤버 |
L 박규리 (1~3기) ( 朴奎俐 / 8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AB )
한승연 (1~3기) ( 韓昇延 / 88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A )
故 구하라 (2~3기) ( 具하라 / 91~19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 B )
허영지 (3기) ( 許齡智 / 94 / 경기도 고양시 / A ) |
데뷔 |
2007년 3월 29일 정규 앨범 <The First Bloooooming> |
활동기간 |
2007년 3월 29일 ~ 2016년 1월 15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DSP미디어 |
공식색 | 펄 피치 |
팬덤 | Kamilia (카밀리아) |
대한민국의 걸그룹. 2007년 3월 29일에 정식 데뷔했다.
그룹의 이름 '카라(KARA)'는 '달콤한 멜로디'를 뜻하며, 어원은 그리스어(헬라어) '즐거움(χαρα-Chara)'이다.
데뷔 시기가 같은 2007년에는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 순으로 데뷔했고, 저 두 걸그룹과 함께 2세대 걸그룹을 대표한다. 때문에 팬들은 세 걸그룹을 '원카소'로 묶어부른다.
팬클럽은 카밀리아. Kara에 Familia(가족)을 더해 만든 이름이다. 온라인에서는 카덕이라고 호칭하기도 한다.
아이돌 문서에서 아이돌로서 정말 별의 별 사태를 다 겪은 드문 그룹이라고 정의할 정도이다.
고생을 많이 한 그룹답게 팬들도 굉장한 충성심을 자랑한다.
팬들의 충성심이 정말 높고 팬덤의 아이덴티티가 강하기에 카덕 항목으로 분리되었다.
'Pretty Girl' 에서의 고무장갑 응원으로 유명해졌다.
2016년 1월 15일 공식적으로 박규리, 한승연, 구하라의 전속계약 종료와 소속사 이적을 발표했다.
허영지는 DSP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게 될 예정이다.
DSP 측에서는 해체는 아니며, 추가 영입 계획은 없다는 입장에 덧붙여 "최근 가요계에 재결합 열풍이 불고 있고, 카라도 먼 훗날 다시 모여 활동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에 공식자료에 '해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정작 카라 멤버들은 재결합하더라도 네놈새끼 휘하에서는 절대 안 해라는 입장이다.
반면 주류 언론에서는 공식 해체라고 보도하였다. 핑클의 예처럼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상태지만, 향후 DSP의 대응에 따라 상황은 급변할 수 있다.
1월 18일 구하라와 키이스트 간의 전속계약이 발표되었다.
1월 26일 한승연과 제이와이드컴퍼니 간의 전속계약이 발표되었다.
7월 20일 박규리과 모션미디어와 전속계약이 발표되었다.
2016년 2월 20일 이후 소속사 홈페이지 아티스트 란에서도 카라가 사라졌다.
멤버들이 이후에 여러 번 해체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허영지 영입 과정에서 팬덤이 분열되면서 사실상 카라가 다시 뭉칠 가능성은 사라졌다.
홀로 DSP에 남은 허영지는 2019년 초 계약이 만료되었다가 별도 공지 없이 재계약을 한 것으로 보이나 더 이상 카라라는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다 2019년 11월 24일, 구하라가 생을 마감하면서, 카라의 전성기였던 5인조 체제와 카라의 황혼기이자 허영지가 멤버로 합류한 시기였던 두번째 4인조 체제에서 완전체 재결합을 볼 가능성은 영원히 사라지게 되었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The First Bloooooming | Break It | 2007년 3월 29일 |
2 | Revolution |
미스터 Wanna |
2009년 7월 30일 |
3 | STEP | STEP | 2011년 9월 6일 |
4 | Full Bloom | 숙녀가 못 돼 | 2013년 9월 2일 |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1st Mini Album | Rock U | 2008년 7월 25일 |
2 | Pretty Girl | Pretty Girl | 2008년 12월 4일 |
2집 스페셜 에디션 |
2nd Mini Album Pretty Girl Special Edition | Honey | 2009년 2월 12일 |
3 | Lupin | Lupin | 2010년 2월 17일 |
4 | Jumping | 점핑 (Jumping) | 2010년 11월 17일 |
5 | PANDORA | Pandora | 2012년 8월 22일 |
6 | Day & Night | 맘마미아 | 2014년 8월 18일 |
7 | IN LOVE | CUPID | 2015년 5월 26일 |
원더걸스 프롤로그
그룹명 | WONDER GIRLS 원더걸스 |
前 멤버 | 현아 ( 김현아 [金泫雅] / 92 / 데뷔 ~ 2007년 7월 30일 ) L 선예 ( 민선예 [閔先藝] / 89 / 데뷔 ~ 2015년 7월 20일 ) 소희 ( 안소희 [安昭熙] / 92 / 데뷔 ~ 2015년 7월 20일 ) |
멤버 | 유빈 ( 김유빈 [金宥斌] / 88 / 광주광역시 광산구 / O ) (2007년 9월 합류) 예은 ( 박예은 [朴譽恩] / 89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AB ) 선미 ( 이선미 [李善美] / 92 / 전라북도 익산시 / AB ) (2010년 1월 탈퇴 2015년 6월 복귀) 혜림 ( 우혜림 [禹惠林] / 92 / 서울특별시 / O ) (2010년 2월 합류) |
데뷔 | 2007년 2월 13일 싱글 앨범 [The Wonder Begins] |
활동기간 | 2007년 2월 10일 ~ 2017년 2월 10일 |
소속사 | JYP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버건디 |
팬덤 | WonderFul (원더풀) |
개요
원더걸스는 2007년 2월 10일에 JYP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 걸그룹이다.
데뷔 이후 2007년 9월에 발매된 정규 1집 《The Wonder Years》의 타이틀곡 <Tell Me>가 범국민적으로 크게 히트하면서 2세대 아이돌 산업 시작을 알렸고, 이후 국내외에서 <So Hot>, <Nobody>까지 3연타로 대히트하면서 국민 걸그룹이자 원조 K-POP 넘버원 걸그룹으로 군림했다.
상세
초기의 원더걸스는 선예를 중심으로 현아, 소희, 선미의 4인조로 준비되었다가 데뷔를 얼마 앞두고 비공개 오디션을 통해 마지막 멤버 예은이 합류하며 5인조로 시작했다.
다만, 이 멤버가 계속 유지되었던 것은 아니고 데뷔 해 2007년 7월, 현아가 습관성 장염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로 그룹을 탈퇴하여 유빈이 투입되었고, 이후 2010년 1월 23일, 미국활동 중 선미가 활동 중단을 발표하여 새 멤버 혜림이 투입되었다.
추후 2015년 7월에는 새 앨범 발매 전, 결혼한 선예와 연기자 전향으로 소속사가 달라진 소희가 탈퇴함과 동시에 활동 중단 상태였던 선미가 재합류해 현재의 4인조가 되었다.
2007년 하반기부터 2008년까지 약 1년의 기간 동안 「Tell me」, 「So hot」, 「Nobody」의 3연속 히트곡 라인을 탄생시키며 발라드 위주의 가요계 흐름을 뒤엎고 '국민 걸그룹'으로서 압도적인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2009년 초 2세대 걸그룹 중 가장 먼저 국제 진출에 나섰는데,「Nobody」가 아시아 전역에서 대히트하여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지상파 TV 토크쇼에 출연하고, 빌보드 Hot 100 차트 진입에 성공하며 초반 K-POP 열풍의 선두에 섰다.
2016년, 걸그룹 세대교체의 흐름 속에서도 멤버 전원의 전곡 작사, 작곡, 악기 녹음으로 완성한「Why So Lonely」로 3분기 디지털 음원 종합 1위를 차지하고, 2세대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하게 각종 연말시상식의 여자그룹상 후보에 오르며 아이돌 걸그룹을 넘어 '셀프 프로듀싱 밴드'로서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하지만 데뷔 10년 만인 2017년 1월 전속 계약 만료로 예은과 선미가 JYP엔터테인먼트를 떠나고, 유빈과 혜림은 JYP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을 체결하며 데뷔 10주년인 2017년 2월 10일 굿바이 싱글 「그려줘」를 끝으로 그룹 해체를 공식화했다.
해체 이후에도 각 멤버들은 서로 친분을 유지한 채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는 중이며, 특히 지금까지도 대중들을 비롯한 많은 후배 아이돌들에게 레전드 걸그룹이자 롤모델로 회자되고 있다.
2020년 6월, 부러우면 지는거다 방송을 통해 소희, 선미, 유빈이 혜림의 결혼을 축하하는 브라이덜 샤워 현장에 함께하였다. 사정상 선예, 예은은 영상 통화로 함께했으나 결혼식 당일에는 현장서 축가를 불러주었다. JYP엔터테인먼트의 박진영 프로듀서까지 방송에 출연하며 여전히 끈끈한 인연을 자랑하는 모습에 팬덤을 넘어 대중들도 훈훈한 반응을 보였다.
콘셉트
이 그룹의 메인 콘셉트는 복고. 한국의 걸그룹들이 매 앨범마다 새로운 음악과 비쥬얼을 선보이는 것과 달리, 원더걸스는 60~80년대의 미국 팝을 기반으로 하는 모습들만 보여주었었다.
특히 원더걸스 사운드하면 레트로라고 알려질 정도로 레트로를 주로 하는 그룹인데 전성기를 함께한 Retro Trilogy(텔소노)를 비롯해 2DT까지 타이틀이 모두 레트로곡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 데뷔 곡인 '아이러니'나 '이 바보'를 보면 초기엔 복고콘셉트을 지향하지 않았으나 '텔소노'의 메가히트로 인해 아예 팀 컬러를 복고로 잡아버린 듯 한데, 상술했듯이 원더걸스란 이름이 박진영의 아이디어가 아닌 외부인의 아이디어였기에 초기 기획단계에서 '복고'는 의도치 않은 방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확실히 데뷔곡인 '아이러니'를 보면 복고의 모습보다는 소녀시대와 같이 군무를 주로 이용한 춤이 돋보였는데 그 당시 소녀시대의 콘셉트이 청순이었다면, 원더걸스는 요즘 말로 걸크러시가 메인 콘셉트였던 셈.
2007년도 당시만 해도 여자아이돌로서는 도전적인 콘셉트였다. 이후 복고 콘셉트로 변신에 성공해 3연속 메가히트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미국 진출 후에는 레트로팝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울과 업템포를 믹스하거나(Be My Baby), 덥스텝과 셔플리듬을 가지고 나오기도 하고(The DJ Is Mine), 일렉트로 힙합과(Like This) 일렉트로닉 사운드곡까지(Like Money)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기도 했다.
때문에 원더걸스의 이런 활동양상이 후배 아이돌들이 아이돌이라는 태생적 한계에 머무르지 않고 아티스트를 표방하며 다양한 장르와 콘셉트을 추구하게 되는 데에 있어 초석을 닦았던 것으로 평가를 받기도 한다.
2015년에 4인조로 개편하고 밴드와 댄스를 겸하는 그룹이 된 뒤에도 1980년대의 일렉트로 펑크(funk) 팝 혹은 프리스타일(freestyle), 레트로 팝과 슬로우 잼을 선보였고 박진영이 타이틀곡 제작에서 손을 뗀 2016년 싱글에서는 레게팝이나 70년대 밴드사운드 또 팝 록 장르의 곡도 수록하는 등 곡에 따라 복고라는 메인콘셉트을 유지하거나 또는 변신해가면서 다양한 장르를 현대적으로 소화해내는 그룹이 되었다.
비록 복고가 메인콘셉트으로 정해지긴 했으나 활동 곡 중 '아이러니', '이 바보', 'Like This'를 보면 미국의 어반 힙합 스타일이 주를 이루는데 프로듀서인 박진영의 음악 취향이 강하게 반영되는 그룹이었었다.
원더걸스의 데뷔 앨범부터 2015년 REBOOT 앨범까지의 타이틀곡을 다 박진영이 만들었던 것을 보면 이 그룹 자체에 박진영이 들인 노력을 알 수 있는 부분.
소속 가수였던 박지윤의 반전이미지메이킹에 성공해 프로듀서로서 역량을 인정받은 이후 데뷔와 동시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미쓰에이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까지, 부담없이 들을 수 있지만 음악성도 인정받는 박진영표 걸그룹 노래의 대표주자 격인 존재가 바로 원더걸스였던 것.
특징
삼촌팬이라는 기존 가요계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비층을 오랜만에 텔레비전 앞과 음반매장 안으로 다시 끌어낸 걸그룹이다. 10~20대를 비롯한 삼촌팬을 코어팬층으로 흡수했고 음악은 어린아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남녀노소 모두에게 폭넓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다. 팬층의 성별로 따지면 다른 걸그룹과 달리 주로 남성보다 여성 쪽에서 상당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전성기로 알려진 2007~8년에는 남녀 비율이 거의 4 : 6으로 여성이 조금 많은 편이긴 했지만, 지금은 여성 쪽의 비율이 더 늘어난 편.
요즘 보기 드물게 소속 멤버 모두가 작사, 작곡 능력을 보유한 아이돌 그룹이며, 걸그룹으로선 유일하다.
원더걸스의 최고의 무기는 음원 성적인데 음원 성적은 데뷔 때부터 현재까지 최고 수준으로 음반 점수나 방송 점수가 다른 걸그룹보다 떨어져도 항상 1위 후보에 오르던 이유는 오로지 음원 성적 하나 때문이었다 Tell Me 이후로 음반을 냈다 하면 타이틀곡이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안 한 적이 없고, 미국 활동 도중에 낸 정규 2집 때는 소녀시대와 붙어서 지긴 했으나 애초에 음반과 방송 점수에서 밀려서 진 것이지 음원 성적은 소녀시대보다 꽤 높았다. 2016년에 발매한 싱글 4집 활동 때는 비스트를 꺾고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기록했는데 이 때 원더걸스는 음반 판매 점수, 선호도 점수, 실시간 문자 투표 점수에서 비스트에게 밀리고도 음원 점수 만점으로 비스트를 눌렀다. 이후 인기가요에서도 1위를 기록했는데 이 때 원더걸스의 음원 점수는 최고점인 5500점이었으며 SNS 점수도 3500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성기에서 물러났다는 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성은 여전히 최정상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했듯이 음악 장르가 댄스와 밴드인데 이 점에서 AOA와 비슷하면서 조금 다르다. AOA는 밴드로 먼저 시작한 뒤, 댄스와 병행하다 지금은 댄스 그룹으로 고정된 반면, 원더걸스는 댄스 그룹으로 오랫동안 활동하다 현재 댄스 그룹과 밴드를 병행하고 있다.
또 한가지 눈에 띄는 특징으로는 단순히 활동 성적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도전에 의의를 두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데뷔 때부터 여러 가지로 도전적인 면이 많았는데 SG워너비의 대박으로 미디움 템포 발라드 가수 & 그룹이 대성하게 된 가요계에서 아이돌, 그것도 S.E.S.와 핑클 이후 찾아보기 힘들었던 "걸그룹"으로, 게다가 아이돌 걸그룹으로썬 꺼려질 만한 복고 콘셉트으로 대성공을 거둬 본격 아이돌 제2의 전성기 및 걸그룹 전성 시대를 이끈 것만으로도 엄청난 도전의 성과라 할수 있겠다. 물론 미국 진출 역시 결과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어쨌든 도전정신의 산물이고, 유빈의 언프리티 랩스타 2 출연은 9년차 걸그룹 주력 멤버의 행보로는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였다. 이번 정규 3집 컴백때도 좀 생소할수 있는 밴드+댄스 병행 콘셉트에 도전하며 주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2016년에는 새 앨범 발매를 앞두고 선공개곡 '아름다운 그대에게'를 LP판으로 먼저 발매했는데 LP판은 소속사 사장이 마이너한 취향으로 소문난 인피니트 정도를 제외하면 그 어떤 아이돌 그룹도 한 적이 없다.
데뷔 준비기에는 래퍼 없이 보컬로만 구성하려 했으나, JYP표 곡의 기승전결에는 랩이 필수적이기 때문인지 가창력이 달리는 현아와 소희 중 래퍼에게 요구되는 섹시한 이미지가 충족되는 현아가 랩을 담당하게 된다. 후에 합류한 유빈은 오소녀 시절부터 래퍼 포지션이었기 때문에 바로 래퍼 포지션을 맡았다.
멤버들 대부분이 단발을 경험한 것이 특징. 물론 'Nobody' 때 전부 단발 가발을 썼지만 이것을 제외해도 예은과 소희를 제외하고 전부 단발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다. 선예는 'So Hot'과 'Like This' 활동 때, 유빈은 'Tell Me' & '이 바보' & 'So Hot' 때, 선미는 솔로 활동 '24시간이 모자라' 때, 혜림은 'I Feel You'부터. 심지어 하나의 앨범밖에 활동하지 않은 현아도 당시에는 단발로 활동했다. 예은의 경우 'Wonder Begins'와 'Wonder Party' 앨범 자켓에서 단발을 하고 촬영한 사진이 몇몇 있으나 전부 다 가발이고 활동 자체는 긴 머리로 했었다. 소희는 'Nobody'를 제외하면 단발 가발도 쓴 적이 없다.심지어 원더걸스 활동 내내 늘 앞머리를 깐 장발로 활동했고 연기자로 전업한 지금도 마찬가지다.
반면 다른 걸그룹과 달리 확실하게 없는 것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댄스 담당, 또 하나는 예능 담당이다. 댄스의 경우 데뷔 초에는 현아가 물론 독보적인 댄스 담당이었지만, 현아의 탈퇴 이후에는 그 포지션이 애매해졌다.
정규 3집 때는 아예 프리스타일 장르로 활동하면서 더욱 댄스 담당이 있을 턱이 없을 듯.
그나마 유빈이 텔미 댄스브레이크 때 선예, 소희와 나누어 담당한 적이 있고 예은은 데뷔 전 댄스동아리 회장이었다고 하지만 겨우 고등학교 아마추어 동아리였다.
원걸 데뷔 후에는 현아, 선예, 소희에게 밀려 춤 실력을 보일 일이 없다. 선미와 혜림은 데뷔 때부터 춤 잘 추는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나마 혜림은 유연성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춤을 못 추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문제는 선미인데 몸의 비율이 좋아 위에서 설명한대로 춤선 자체는 예쁘지만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아이돌에 비하면 그렇게 잘 춘다 보기는 어렵다.
2016년 1월에 있던 텐센트 콘서트 Be My Baby에서 유독 어깨춤을 잘 소화하지 못하는 편.
팬들은 멤버들이 춤을 못 춰서 댄스 담당이 아니라 한 사람에게 안무가 집중되는 경우가 줄어들다보니 댄스 담당이 없어졌다고 생각하며 또한 멤버 중에 누가 제일 춤을 잘 추는 가도 의견이 여러 가지로 나뉘어진다. 대체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것은 유빈, 선예, 소희 정도.
예능 담당 역시 아이러니 시절 야생마 캐릭터로 예능 포텐이 보이던 현아가 탈퇴하면서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유독 예능 프로그램에 얼굴을 드러내지 않기로 유명하다. 멤버들이 전반적으로 워낙 예능에 대한 감이 없고, 프로그램에서 강하게 밀고나가는 다른 패널들과 아이돌들에게 밀려 제대로 된 멘트조차 날리질 못한다.
그나마 성격이 다부진 예은이 말을 하긴 하는데, 미국 갔다온 후로 병이라도 생겼나 싶을 정도로 방송 나와서 우는 게 습관.
간신히 뭔가 멘트를 날려봐도 방영되는 분량을 보면 싸그리 편집되고 리액션만 나온다고. 2015년 SNL 코리아에 출연했을 때는 유빈이 스스로 우리는 노잼 그룹으로 유명하다며 그들 스스로 예능에 약하다는 것을 매우 잘 알고 있다.
2011년 활동 중에는 그나마 유빈과 예은, 그리고 조권과 같이 나올 때 한정으로 선예가 그나마 분량을 만드는 편이었다.
조권이 붙어있지 않는 선예는 말은 잘 하는데 웃기지는 못 한다. 선미가 특유의 4차원 캐릭터로 예능에 잘 어울릴 것이라는 평이 많지만, 선미의 4차원은 단순하게 엉뚱한 캐릭터가 아닌 진짜로 정신이 4차원으로 날아가버리는 캐릭터인 까닭에 장담할 수는 없다.
한편 REBOOT활동에서는 혜림이 새로운 예능의 기대주로 떠오르고 있다. 선미와는 정반대로 조용히 원기옥을 모으고 있다가 뜬금없는 타이밍에 한방을 터트리는 스타일이다. 최근에는 남아 있는 네 멤버가 전부 밝은 캐릭터들인지라 전체적으로 예전보다 예능감이 늘었다. 특히 막내 라인인 선미와 혜림의 활약이 매우 도드라지는 편으로 이전의 주요 예능 담당인 예은은 과거에 비해 비교적 조용해지면서 예능 담당은 예은에서 혜림으로 바뀌어가는 추세다.
2015년부터는 리더인 선예가 탈퇴하면서 리더도 없는 그룹이 되었다. 모 인터뷰에 의하면 초반에는 예은이 리더를 잠시 맡았지만 예은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멤버들이 이 달의 반장을 뽑는 것으로 바꿨다고 한다.
단체 안무 때는 아이돌들이 그렇듯이 환상적인 팀워크를 보여주는데 이상하게도 인사할 때 만큼은 전혀 맞추지 못 하는 특징이 있다. 인사할 때마다 파도가 넘실넘실 흘러서 상당히 어수선해 보이는 게 특징. 가끔은 안무 때도 뭔가 안 맞아서 위의 사진처럼 자체 거울 모드가 되기도 한다. 이게 신인 때만 그런 게 아니라 텔쏘노 심지어 현재도 마찬가지라는 것. 팬들도 이 사실을 아주 잘 알고 있어 개그짤로 잘 써먹고 있다. 더 많은 원더걸스의 팀워크를 보고 싶다면 링크 참조.
특이하게도 음악 방송에 출연할 때마다 단체샷에서 항상 구석에 서 있다. 이것 역시 신인 시절부터 현재까지 쭉 유지되고 있는데 팬들은 이 때문에 원걸이 단체샷에서 중앙에 서있으려면 1위 후보로 만들어 강제로 중앙에 서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Be My Baby' 때는 1위를 했더니 앵콜 공연에서 유빈이 실수로 트로피를 밟아서 박살내는 사고(?)를 치기도 했다. 링크
한국 활동과 미국 활동을 병행하고 있었으나 선예의 결혼으로 활동을 잠정 중단했으며, 2012년 연말 가요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지 않았다. 2013년에는 활동을 중단했던 선미가 깜짝 솔로로 등장해 재합류 및 그룹 컴백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오리지널 멤버 3인의 계약기간 만료로 안소희가 BH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
2014년엔 선예가 선교활동을 위해 아이티에서 5년을 머무르기로 공언했고, 예은도 솔로앨범을 발표한지라 이대로 이름만 남은 걸그룹이 될 줄 알았지만 2015년 성공적으로 돌아왔다.
정상급 걸그룹인 것 치고는 멤버 교체가 상당히 많았던 걸그룹. 멤버변화를 기수로 따져도 4기로 나뉜다.
맨 처음 데뷔 당시에는 유빈 자리에 현아가 위치해있었으나 건강상 이유로 탈퇴하였고, 선미의 활동중단 선언 이후로는 혜림이 합류하여 쭉 활동 중에 있다. 2015년엔 선미가 재합류하고, 선예와 소희가 공식적인 탈퇴를 거치면서 4기 시대를 열게 되었다.
유튜브 조회수도 나름 높은데, 유튜브가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이전이었던 2008년도에 업로드됐던 Nobody의 엠카운트다운 라이브 동영상이 약 6400만으로 당시 한국 동영상 1위였다. Be My Baby는 3500만,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Like This도 조회수가 2700만으로 높은 편이다. 무엇보다 정규 3집의 첫번쨰 선미 베이스 티저 조회수는 약 230만이다. Like Money도 1000만을 돌파하였으며, 안무 영상은 800만을 돌파하는 등 유튜브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
워낙 큰 성공을 거둔 걸그룹 아이돌이다 보니, 여러 후배 걸그룹들이 그들을 롤모델로 삼는 경우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걸그룹으로 레이디스 코드가 있다. 한 때는 타이틀곡 'So Wonderful'이 노래 제목이나 콘셉트에서 원더걸스와 상당히 유사하다며 논란이 있기도 했지만 신인 시절부터 원걸을 롤모델로 삼는다는 인터뷰를 꽤 해서 원더걸스 팬덤 사이 내에서도 평가가 좋은 편.
인원 변천사
데뷔 당시 멤버는 89년생 고3이었던 예은, 선예, 92년생 중3이었던 선미, 현아, 소희로 중3 멤버가 3명이라는, 평균나이 만 15세정도의 전무후무한 나이대로 구성돼있었다. 그러다 현아가 건강상의 문제로 정규 1집 준비 중 탈퇴했고, 오소녀 출신의 88년생 유빈이 급하게 합류했다. 이후 선미가 학업 관계로 2010년 2월에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동년 3월에 새 멤버 혜림이 들어왔다. 소희는 2013년 12월에 계약만료로 JYP를 떠난후 2014년 2월 11일에 BH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하였으나, 원더걸스 탈퇴는 하지 않는다 밝혀서 향후 언제든 원더걸스로서 활동할 수 있다고 했었으나... 2015년 7월 20일 자로 결국 소희는 탈퇴 입장을 밝혔다. 선예 역시 같은 날 탈퇴를 하였다. 그리고 활동중단 했었던 선미가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선미가 활동 중지 시절로 나오지 않았을 때는 이른바 '6인걸스라고 해서 원더걸스 완전체로 돌아오길 바라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대중들 사이에서 현아처럼 탈퇴로 인식되어있든간에 선미는 여전히 원더걸스 멤버(탈퇴가 아니고 활동중단)이고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완전히 0%였던 것은 아니기 때문. 혜림이 아리랑TV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팀의 멤버로 Sun, Yenny, Yu-bin, Mimi, Sohee, Lim라고 언급했는데 여기서 Mimi가 바로 선미인 것. 그리고 마침내 선미가 원더걸스 복귀가 확정되면서 드디어 6인걸스를 볼 수 있는 듯 했으나, 같은 날 선예와 소희의 탈퇴가 확정이 되어 결국 6인걸스는 꿈의 라인업으로 남게 되었다.
현 4인 체제는 묘한 특징이 있는데 예은과 혜림은 비교적 높은 톤인 반면, 유빈과 선미는 낮은 톤이다. 또한, 예은과 선미가 보컬 라인이면 유빈과 혜림은 래퍼 라인이며 선미와 혜림은 92년생으로 막내라인, 유빈과 예은이 언니라인을 유지하고 있다.
정규 3집 이전까지 응원법에서는 민선예 박예은 선미짱 안소희 김유빈 우혜림 순서로 불렸다. 정규 3집부터는 박예은 이선미 김유빈 우혜림으로 바뀌었다.
아이러니하게 원조 원더걸스에서 (선예, 현아, 소희, 선미, 예은) 가장 마지막으로 합류했던 예은만이 처음부터 지금까지 함께해온 유일한 멤버다. 마지막 멤버가 원더걸스의 역사이자 전설이 되어버린 케이스.
평가
- JYP 엔터테인먼트 최초의 아이돌 걸그룹
- 최초로 선거 홍보대사가 된 아이돌
- 빌보드 HOT 100을 한국인 최초로 달성한 그룹
- 美 Fuse TV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20선, 일본 아이튠즈 선정 베스트 K-POP 앨범, 빌보드 선정 'The 10 Best K-Pop Albums of 2015' 1위인 |REBOOT를 프로듀싱한 아이돌
- 미국 Fuse TV 20 best albums of 2015 Top 20 안에 든 유일한 한국 가수
- 국민참여재판 및 대법원 아이돌 최초 홍보대사
- 국내 최초로 플래시몹을 뮤직비디오에 시도하여 관련 열풍을 이끈 그룹
- 참여정부에서 유일한 청와대 걸그룹 초청자
- 이명박 정부 최초의 청와대 걸그룹 초청자
- 아이돌 중 최초로 그룹명을 내건 화장품 브랜드 런칭
- 걸그룹 중 최초 국회 대상 수상자
- 걸그룹 중 최초 LP판 발행
- 걸그룹 중 최초로 멤버 전원이 스스로 작사, 작곡한 앨범을 발매
- 걸그룹 최초 리얼리티 프로그램 방영
2세대 아이돌의 신호탄을 알렸다는 점에서 사실상 오늘날 활동하는 모든 아이돌들에게 영향력을 가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음악적으로는 소위 '후크송' 으로 일컬어지는 트렌드를 주도한 그룹이다. 동시대에 활동하던 빅뱅이 주로 신디사이저를 기반으로 한 사우스 힙합과 시부야계에서 영향을 받은 타이틀곡들을 내세우며 크게 흥한 반면, 원더걸스는 아예 반복적인 후렴구를 강조하는 후크송으로 큰 인기를 모았다.
전성기 인기가 너무 압도적이라 2010년 이후엔 상대적으로 인기를 저평가(내지는 후려치기) 당하기도 했는데, 오히려 긴 공백기와 짧은 활동기간에도 불구하고 늘 연간차트 순위권에 든 저력있는 그룹이었다.
수상 내역
2007년
- 《2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Rookie Of The Month (Irony)
- 《10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Song Of The Month (Tell Me)
- 《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노래상 (Tell Me)
- 《제9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 여자그룹부문 신인상
- 《제8회 대한민국 국회 대중문화&미디어 대상》 - 대중가요 부문
- 《제8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 포토제닉상
- 《제22회 골든 디스크》 -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 《제22회 골든 디스크》 - 인기상
- 《2007 KBS 뮤직뱅크 연말결산》 - 올해의 노래 (Tell Me)
2008년
- 《제17회 서울 가요 대상》 - 신인상
- 《제20회 한국PD대상》 - PD가 뽑은 출연자상 가수부문
- 《제5회 한국대중음악상》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상 (Tell Me)
- 《6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Song Of The Month (So Hot)
- 《M.net 20's Choice》 - Hot 클럽뮤직 (So Hot)
- 《9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Song Of The Month (Nobody)
- 《10월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Song Of The Month (Nobody)
- 《골든디스크》 - "명예신인상"
- 《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노래상 (So Hot)
- 《제10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 여자 그룹상
- 《제10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 뮤직비디오 작품상 (Nobody)
- 《제10회 M.net KM Music Festival (MKMF)》 - 올해의 노래상 (Nobody)
- 《제9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 포토제닉상
- 《제25회 코리아 베스트 드레서》 - 가수부문
- 《제23회 골든디스크》 -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 《2008 코리아 패션&디자인어워드》 - 스타일 아이콘상
- 《2008 외신홍보상》 - 가수부분
- 《제1회 니켈로디언 코리아 키즈 초이스 어워드》 - 좋아하는 여자가수상
2009년
- 《2009 아시아 모델 페스티벌 어워즈》 - 아시아 스타상
- 《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디지털 음원상
- 《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대상
-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그룹부문
- 《2009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 해외진출아티스트부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2011년
- 《2011 중국 차이나 모바일 시상식》- 최고 판매 해외 그룹상
- 《제1회 한국패션 100년 어워즈》- 엔터테인먼트 최고의 그룹상
2012년
- 《제1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11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Be My Baby)
2013년
- 《제2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6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Like this)
2014년
- 《일본 제15회 에이젝스 아시아 어워드》- 베스트 여자그룹상
2015년
- 《美 Fuse TV BEST 2015》- 올해의 앨범 20선 그중 유일한 한국 가수
- 《일본 iTunes BEST 2015 》- 베스트 K-Pop 앨범
- 《멜론 다중音격》- 2015 올해의 가요 앨범
- 《빌보드 The 10 Best K-Pop Albums of 2015》- 1위
2016년
- 《中 큐 뮤직 아시아 성전(Ku Music Asian Music Awards)》- 아시아 베스트 퍼포먼스 상
2017년
- 《제6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7월 음원부문 올해의 가수상 (Why So Lonely)
- 《제14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 노래 (Why So Lonely)
인기
데뷔 초기에는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소녀시대와 함께 남성팬의 지지를 양분하고 있었다. 소녀시대가 한국의 걸그룹로서 갖춰야할 기본에 충실한 걸그룹이었다면, 원더걸스는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박진영 특유의 독특한 스타일이 가미된 그룹이었다. 다만 대중적인 인기 자체는 2007-2008시기에는 원더걸스와 소녀시대 사이에는 넘사벽의 차이가 있었다. 애초에 이때는 원더걸스랑 빅뱅이 중심이 되어 가요계 자체의 판도를 아이돌 판으로 바꿔놓던 시기였다.
오랫동안 끊겨 있던 대형 걸그룹의 계보를 이었다. 싱글 1집 아이러니 때만 해도 걸그룹 자체에 별 관심이 없던 시기라 인기는 중박 정도에 그쳤으나, 첫 정규앨범이자 그들의 대표곡인 'Tell Me'의 공전의 대히트로 인하여 당시 '국민 여동생 그룹'으로 불렸을 정도로 국민적인 인기를 누렸다. 아직까지도 "후크송" 하면 이 곡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절정의 인기를 끌었다. 요즘에야 후크송이나 후크송의 요소를 곡 곳곳에 갖추고 있는 곡들이 많지만 당시에는 그런 개념이 거의 전무하다고 볼수 있었다. 따지고 보면 원더걸스가 최초로 후크송이라는 개념을 국내 가요시장에 소개했고, 이후 특히 아이돌 시장에서는 일종의 필수요소가 되었다.
그 인기는 지상파 방송사 메인 뉴스에서 제법 보도됐을 정도다. 'Tell Me'를 마구 따라하는 동영상을 올리는 사람들 덕분에 UCC의 보급과 자리 매김에 일조하기도 했었다. 삼성경제 연구소는 2007년 10대 히트 상품에 원더걸스를 지정하였으며, 원더걸스는 한국 갤럽선정 2007~2008 2년 연속 '올 한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한 가수 선호도 1위', 2007~2008 2년 연속 '올 한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한 가요 선호도 1위'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개성 강한 복고풍 콘셉트, 깜찍한 춤으로 'Tell Me' 무대가 호평을 받자 JYP 엔터테인먼트에서는 박진영이 미국에서 보낸 '텔미 원더걸스 팔찌춤 원격강의' 영상을 다음 티비팟에서 공개하였다. 이 동영상이 큰 인기를 끌면서 'Tell Me' 패러디 열풍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두 번째 싱글 타이틀곡 'So Hot' 역시 발표와 동시에 각종 가요 프로그램에서 1위를 석권, 대대적인 인기몰이를 했다. 같은 해에 'Nobody'를 발표, 다시 한 번 공전의 히트를 쳤다. 이 두 곡으로 2008년은 명실상부한 원더걸스의 해라는 평가를 받는다. 'So Hot'과 'Nobody'는 걸그룹이라는 것, 팬사인회가 한번도 없었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준수한 판매량인 한터 기준 7~8만 장을 기록하며, 음반 판매량도 탄탄한 모습을 보인다. 음반 판매량은 팬덤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팬덤 역시 탄탄함을 보여준다. 실제로 2009년 초 남자 아이돌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단독 콘서트를 국내외에서, 여성 그룹으로서는 핑클 이후 10년만에 열며 탄탄한 팬베이스를 입증하기도 했다. 대중성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넘사벽. 2008년 가요 선호도 1위가 'Nobody', 3위가 'So Hot'이었다. 하이원 서울가요대상에서도 당시 함께 전성기를 달리고 있던 빅뱅과 동방신기를 제치고 여성 그룹 최초 단독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8 MKMF에서도 'Nobody'로 3대 대상 중 하나인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하였다.
더 대단한 것은 이와 같은 엄청난 커리어를 'Tell Me', 'So Hot', 'Nobody' 이 세 곡만으로 이뤄냈다는 것. 'Tell Me'부터 'Nobody'로 이어지는 Retro Trilogy를 팬덤은 '텔소노'라고 부르기도 한다. 텔소노 삼연타 히트에 비견될 만한 파급력을 보여준 연속 히트 퍼레이드는 원더걸스 이후로 아직까지도 등장하지 않고 있다.
2009년 미국 진출을 위해 한국을 떠나자마자 한국에서 오랫동안 멸종되었던 걸그룹이 우후죽순같이 쏟아져나오는 걸그룹 대란이 일어나 많은 팬들은 흩어지게 되었고, 이제는 정상에선 한 발 물러선 모습. 특히 아래 언급되는 선예의 결혼 소식 이후로는 그런 현상이 두드러져 보이는 모습이다.
2009년 3월 28일 첫 단독 콘서트를 마지막으로 국내 활동을 마무리함과 동시에 미국에 진출하였고 조나스 브라더스 콘서트 오프닝 게스트로 전미 투어를 했으며, 'Nobody' 앨범이 발매된 후 한국 최초로 빌보드 HOT 100에 올랐다. 빌보드 메인차트인 HOT 100에 순위를 올린 것은 분명 축하받을 쾌거다.
필리핀에서는 'Nobody' 가사를 모른다고 살인 사건이 났다. 필리핀, 중국, 대만, 홍콩,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권과 동남아권에서의 'Nobody'의 인기는 우리나라에서의 'Tell Me'의 인기과 비견될 정도라고 한다. 유투브에서 'Nobody' 뮤직비디오는 조회수 2700만을 넘어섰고, 라이브 동영상의 경우는 5700만을 넘었다. 당시 한국 가수 중 압도적 1위였다.
2011년 이전까지는 오랜 공백기로 인해 팬덤이 붕괴했었으나, 11월 발표한 신곡 'Be my baby'가 11월 가온차트 음원 탑, 2011년 음원 연간랭킹 탑3 안에 들면서 다시 부활했다. 2012년 상반기 대중 선호도 조사에서 긴 공백기에도 불구하고 여자 가수 부문 3위, 걸그룹으로는 소녀시대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면서 부활을 증명했다.
2008년에 탑까지 찍었던 그룹이기 때문에, 실패로 끝난 미국활동과 팬덤의 와해 이후로도 대중적으로 1군 걸그룹으로 인식하고 있기는 하다. 물론 최전성기 때의 인기는 아닐지라도 아직도 음원 성적은 잘 나오는 편이고 정규 2집 실시간 수록곡 줄세우기 곡의 인지도도 높으니 해체 전까지 1군 걸그룹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채 그룹 커리어를 끝냈다.
미국에서 3년 동안 'Nobody'를 우려먹다가 요즘에는 그나마 원더걸스가 주연으로 등장하는 시트콤 '더 원더걸스'도 하고 있고, 현지에서 시트콤 삽입곡인 'The DJ Is Mine'과 Akon이 피쳐링한 'Like Money'도 발매되었다. 두 곡의 성적은 현지에서 잘나가는 건 아닌 것 같고, 정작 영어곡인데도 국내 차트에서 성적이 중박 이상인 기현상이 일어났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한 활동을 할 예정.
라이벌 소녀시대
2007년에 데뷔해 정반대의 스타일들을 선보였던 두 걸그룹은 늘 라이벌 구도였다. 2007년~2008년에는 원더걸스의 압승이었으나, 2009년부터 소녀시대가 압도적인 팬덤과 함께 대중성을 잡아내 대히트를 거두었고 원더걸스가 미국 진출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라이벌 구도가 굳혀졌다.
사실 2007년에는 두 걸그룹의 라이벌 구도 자체가 생성될 수 없었다. 소녀시대가 <다시 만난 세계>를 발매하며 카라에 이어 데뷔하고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는 동안, 원더걸스는 이미 <Tell Me>로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국민 걸그룹으로 우뚝 올라섰기 때문.
본격적인 라이벌 구도는 2008년 상반기부터 시작되었다. 소녀시대가 정규 1집이 발매된 후 <소녀시대>, <Kissing You>, <Baby Baby>가 연달아 1위를 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것.
'뮤직뱅크'에서 원더걸스가 <Kissing You>를, 소녀시대가 <Tell Me> 무대를 선보여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자신들만의 새로운 해석으로 신선한 모습을 보여줘 두 그룹의 팬덤 모두를 열광시켰다. 본인들 입장에선 "약간 오글거렸다"고 뒤에 밝히긴 했지만, 두 그룹의 멤버들 역시 전반적으로 친한 모습을 보며주며 서로의 팬을 자처하는 등 좋은 라이벌 구도에서 나온 훈훈한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원더걸스가 <So Hot>과 <Nobody>로 연이은 대박을 터뜨리며 입지를 굳혀갈 때 소녀시대는 후속 음반이 나오지 않은 채 오랜 기간 공백기를 가져 궁금증을 자아냈다. 원더걸스가 승승장구하는 동안, 소녀시대는 '곧 해체하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 정도로 두 그룹의 명암이 상반되던 시기였다.
그리고 2009년 1월, 소녀시대가 악재를 딛고 <Gee>를 발매했다. <Gee>는 그야말로 신드롬을 일으키며 각종 차트를 휩쓸었고, 소녀시대는 원더걸스 못지않는 전성기를 갖게 된다. 한편 원더걸스는 2009년 초, 미국 진출을 했다. 가장 중요한 시기에 뜬금없는 해외 진출로 인해 공백기는 길어져만 갔고, 그 때문에 그동안 쌓아올린 인지도와 팬덤이 와해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대망의 2011년, 두 그룹이 동시 컴백을 하면서 그 해 가요계의 최대의 화젯거리로 자리매김했다. 원더걸스가 오랜만의 컴백임에도 불구하고 음원차트에서 소녀시대를 이겼으나, 막강한 팬덤을 지닌 소녀시대가 음반 판매량에 있어 무서운 화력을 보여주었고, 원더걸스의 2배에 이르는 방송 점수로 뮤직뱅크 1위는 소녀시대에게 내어주어야 했다. 훌륭한 퍼포먼스와 노래로 호평을 받으며 좋은 음원 성적으로 활동을 마무리했다는 점이 고무적이지만, 음악 방송 1위를 많이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아쉬울 수밖에 없다.
2015년, 원더걸스의 정규 3집과 소녀시대의 정규 5집 발매 시기가 다시 겹쳤다. 두 그룹 모두 호성적을 보였다. 여담으로 이 활동 시기에 V LIVE 방송에서 두 그룹이 함께(!) 출연해 친분을 과시했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원더걸스가 후크송 & 2세대 아이돌 전성시대를 처음으로 이끌었다는 상징적인 점과 걸그룹 최고의 대중성을 가진 반면, 소녀시대는 걸그룹 전성시대에 탑으로 군림했다는 점과 못지않은 대중성, 강력한 팬덤을 모두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도 원더걸스가 미국 진출을 안 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하면서 원더걸스의 활동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원수 JYP
대중들 사이에서도 라이벌로 꼽히는 만큼 팬덤들 간의 경쟁심은 매우 치열했지만, 정작 멤버들끼리의 사이는 나쁘지 않았다. 당장에 팬들에게도 인정받은 열렬한 태연의 팬인 선미만 봐도 알 수 있으며, 유빈도 태연과 친분이 있음을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했다. 멤버들부터가 선예, 예은과 태연, 제시카, 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가 89년생, 수영이 빠른 90년생으로 동갑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친분이 생기기도 쉬워졌을 것이다.
2017년 원더걸스가 공식적으로 해체함으로써, 원더걸스 VS 소녀시대의 라이벌 구도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KBS '연예가 중계'에서 조사한 '대한민국 세기의 라이벌 TOP 100' 중 4위에 올랐다.
2018년 9월, 선미와 소녀시대의 새 유닛 소녀시대-Oh!GG의 앨범 발매 시기가 겹쳤다. 음반 및 유튜브 조회수는 소녀시대-Oh!GG가 앞섰지만, 음원차트에서 앞서고 방송 활동을 활발하게 한 선미가 대부분의 음악 방송 트로피를 가져갔다.
미국 진출 관련
한창 전성기를 누리던 2009년 초, 갑작스레 미국 진출을 선언한다. 엄청난 인기를 누리던 국내 시장을 뒤로 하고 미지의 영역인 미국 시장에 도전하겠다는 선택에 우려도 많았지만 격려 또한 많았고, 이후 한동안 국내 활동이 잠정 중단된다.
워낙 인기가 많았던 걸그룹이었기에 미국 진출 초기엔 국내 활동이 없음에도 언론의 관심이 상당했다. 초기에는 미국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다소 설레발스러운 기사도 상당히 많았고, 동시에 비가 똑같이 미국에 진출해, 비록 거품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해도월드스타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었기에 이와 비교되며 JYP 전성기의 양대 산맥으로 추앙받기도 했다. 게다가 2009년 중반 일시적이기는 해도 빌보드 차트 TOP 100에서 76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는데, 이 때는 대다수의 언론과 대중들이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성과가 지지부진하면서 언론의 관심도 차츰 식어가기 시작했고, 성과가 없으니 대중들의 시선 또한 차츰 혹시나 했더나 역시나였다는 식으로 바뀌어가기 시작했다. 게다가 한국에서의 활동이 사실상 끊기니 두텁던 팬덤도 차츰 흩어지기 시작했고, 그러는 와중에 소녀시대 등 기존 걸그룹의 약진과 레드오션을 이루며 계속해서 데뷔하는 신인 아이돌들의 행보로 인해 국내에서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졌다. 매년 간간이 앨범을 내며 단기간 활동을 하기는 했으나 그 정도로는 전성기 시절의 팬덤을 유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동시기 JYP 사단 전반에 대한 평가가 혹독하게 바뀌면서 원더걸스의 지지부진한 미국 진출 또한 평가가 갈수록 나빠졌다.
결국 2012년에 이르면 박진영 스스로도 인정할 정도로 미국 진출은 사실상 실패였다는 것이 중론이 되어버렸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더걸스의 국내 무대 복귀는 표류한 듯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매년 앨범을 내기는 했으나 직접적인 활동은 거의 없다시피하여 앨범을 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허다했고, 우후죽순 새 아이돌 그룹들이 쏟아져나오는 가요계에서 그 정도의 활동으론 팬덤을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그나마 제대로 된 활동을 보여주었던 2011년에는 모처럼 만난 라이벌 소녀시대와의 순위 경쟁에서 참패를 거듭하는 등, 위상이 예전같지 않음이 확연해졌다. 실패임이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노선 변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에 팬덤들도 대다수가 등을 돌렸으며, 원더걸스에 대해서는 안티들이 "고인걸스"라는 비하적 별명이 떠돌 정도로 원더걸스나 박진영 둘 다 아예 미국 진출 자체를 놓고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은 현재는 멤버를 스스로도 대놓고 흑역사 취급할 정도로 실패작 취급을 받고 있으며, 섣부른 해외, 특히 미국 진출은 독이 될 수 있다는 선례를 제대로 남겼다. 이 케이스의 중대함 때문인지 방탄소년단, 싸이, BLACKPINK 등이 빌보드 HOT 100에서 각각 1위, 2위, 13위등을 하며 성과를 올린 현재까지도 미국 진출을 당당히 시도하는 가수는 국내에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워졌고, 미국병에 걸렸다던 박진영 본인조차 다시금 회사가 활기를 찾은 2020년까지도 미국 진출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활동에 대한 비판
빌보드 HOT 100을 깬 것은 의미가 있지만, 박진영의 언플이 지나쳐 오히려 역효과만 불러일으키고 있다. 앨범 자체도 옷가게에서 장난감 팔듯이 싸게 판 것이라 인기대로 팔렸다고 보기 힘들고 CD가격을 1달러로 떨이하듯이 했는데, 이런 방식은 사실 미국에서는 굉장히 비난받는 방식이다.
다른 가수들도 매장에서 팔긴 한다. 하지만 원더걸스처럼 무작위로 가격을 깎아서 팔면 누구라도 비난받는다. 가수 레이디 가가는 자신의 앨범 Born this way를 아마존닷컴에서 1달러 미만의 가격으로 팔아 덤핑논란에 휩싸여 여론을 빈축을 산 바 있다. 2012년에는 마돈나 역시 자신의 앨범 MDNA를 자신의 콘서트 티켓에 끼워넣기로 판매해서 논란을 빚은바 있다.
또한 조나스 브라더스의 오프닝 게스트로 같이 투어를 돌 때도 14억 버스, 최고급 대우와 같은 수식어로 보도자료를 돌린 바 있는데 실제로 미국 대우가 좋은 가수들은 전용비행기를 타고 투어를 돌리지 저렇게 버스태워서 투어시키지 않는다. 그 단적인 예로 한창 강남스타일로 인기몰이를 했던 싸이가 무한도전에 출연했을 때 공연 후 멤버들을 잠깐 만나기 위해 전용 헬기를 타고 오는 장면이 나온다.
한 술 더 떠서 조나스 브라더스의 공연을 보러온 오바마 부부를 원더걸스의 유명세 때문에 왔다는 식으로 둔갑하는 언플을 시전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당시 코갤을 비롯한 다양한 커뮤니티. 심지어 팬사이트에서조차 까였을 정도.
그동안 이뤘다던 나름의 성과도 2012년 소녀시대가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에 무혈 입성하고, 싸이는 미국에 앨범 한 장 안 팔고도 강남스타일로 대광풍을 일으키면서 빌보드 차트 2위라는 금자탑을 쌓아 올리며 그야말로 부관참시를 시전했다. 그리고 원더걸스는 자기 음악 홍보하러 미국 라디오에 나왔다가 말춤을 따라하는 본의아닌 굴욕을 맛보고 말았다. 게다가 그 뮤직비디오에는 현아도 있다.
더군다나 원더걸스의 팬덤은 완전히 와해되어 버렸고, 아시아를 주름잡던 것도 완벽하게 과거의 일이 되어 버렸다. 반면 2009년 초 Gee의 발표 이래 국내에서 꾸준히 활동한 소녀시대가 왕좌를 차지한 이후 걸그룹 춘추전국시대 속에서 왕좌를 지켰다는 걸 생각하면, 원더걸스 입장에서는 천추의 한이 될 것이다. 더군다나 소녀시대는 왕좌를 지키며 천조국까지 노리고 있으니 오호, 통재라. 만약 원더걸스가 왕좌에서 물러나지 않았다면, 소녀시대와 왕좌를 놓고 다퉜을지라도 자연스레 생겨나게 된 K팝의 열풍으로 천조국으로 진출을 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결국 성급한 미국 진출로 한 방에 망했어요......
사실 애초에 이런 문단 자체가 박진영의 뻘짓만 없었더라면 만들어지지 않았을 문단.
박진영은 2012년 초에 2011년 까지의 미국 활동에 대해서 그로 인해 JYP가 심각한 금전적 손해를 보고 원더걸스도 국내에서 인기를 잃었다며 실패를 인정했다. 비록 많은 경험을 쌓은 것이 이득이라고 발언하고 그 동안 노력한 성과가 나올 것이라며 2012년을 두고보자고 발언하기는 했으나, 회사마저 심각한 금전적 손해를 보았다고 인정한 것은 명백한 상업적 실패를 시인한 것이다.# 원더걸스는 미국으로 '유학'을 간 것이 아니라 '진출'을 한 것이며, 명백히 상업적인 활동이었는데 결산에서 손해를 보았다면 실패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게다가 미디어 이론에 따라 예측해보아도 애초에 실패가 예정된 진출이었다. 확산이론이라는 미디어 이론에 따르면 특정 상품의 시장 진입 결과를 점치기 위해서는 '초기수용자(early adopter)'가 굉장히 중요하다. 상품의 시장진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원더걸스'라는 이름을 듣고 바로 구매할 초기수용자의 수(혁신계수)와 초기수용자와 교류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모방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람의 수(모방계수)가 커야 한다. 원더걸스는 자신들의 미국시장 초기 수용자층이라 할 수 있는 K-POP 매니아층에서 충분한 인지도를 얻고 있었다.
그러나 애시당초 미국 시장은 '혁신계수'에 해당하는 K-POP 매니아 수가 아시아 시장에 비해 절대적으로 작고 혁신계수가 낮으므로 당연히 모방계수도 낮아진다. 싸이의 미국 진출 성공은 결과적으로 그가 K-POP 매니아가 아니라 YOUTUBE 내의 유머 동영상을 찾아다니는 모든 유저들을 혁신계수로 잡은 셈이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단순하고 우스꽝스러운 말춤의 안무는 모방계수를 극단적으로 높여주는 역할을 했다.)
즉, 미국 내 K-POP 매니아 내지는 전문가들이 몇 번 자기 블로그에 포스팅했다고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 자체가 애초에 성공 가능성이 제로였다는 뜻.
국내 정상급의 인지도를 말아먹으면서까지 미국에서 수십 번의 콘서트, 소규모 공연 등으로 굴러서 벌어들인 음원 수입이 500만원이 채 안된다고 한다. 이 정도면 더이상 감싸주기도 힘든 수준.
음반 목록
구분 | 앨범명 | 활동곡 | 발매일 |
싱글 1집 | The Wonder Begins | Irony 미안한 마음 |
2007년 2월 13일 |
정규 1집 | The Wonder Years | Tell Me 이 바보 |
2007년 9월 2일 |
싱글 2집 | So Hot | So Hot | 2008년 6월 3일 |
싱글 3집 | Nobody: The Wonder Years - Trilogy | Nobody | 2008년 9월 22일 |
미니 1집 | 2 Different Tears | 2 Different Tears | 2010년 5월 16일 |
정규 2집 | Wonder World | Be My Baby Girls Girls |
2011년 11월 7일 |
미니 2집 | Wonder Party | Like This | 2012년 6월 3일 |
정규 3집 | REBOOT | I Feel You | 2015년 8월 3일 |
싱글 4집 | Why So Lonely | 아름다운 그대에게 Why So Lonely |
2016년 7월 5일 |
디지털 싱글 | 그려줘 | 그려줘 | 2017년 2월 10일 |
신화 프롤로그
" 혜성처럼 전진하는 우리는 신화입니다! "
그룹명 |
SHINHWA |
멤버 |
L 에릭 ( 문정혁 [文晸赫] / 79 / 서울특별시 강남구 / B )
이민우 ( 李珉雨 / 79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 A )
김동완 ( 金烔完 / 79 / 서울특별시 강남구 / O )
신혜성 ( 정필교 [鄭弼教] / 79 / 서울특별시 강북구 / A )
전진 ( 박충재 [朴忠裁] / 80 / 서울특별시 강동구 / B )
앤디 ( 이선호 [李先鎬] / 81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O ) |
데뷔 |
1998년 5월 9일 정규 앨범 <해결사> |
활동기간 | 1998년 3월 24일 ~ 현재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1998년 ~ 2003년) 신화컴퍼니 (2011년 ~ 현재) |
공식색 | 주황색 |
팬덤 | 신화창조 |
1998년 3월 24일에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6인조 보이그룹이다.
그룹명은 신화(Mythology)에서 유래되었다.
1998년 SM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하였고, 2004년 굿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였다가 2011년 본인들이 직접 신화컴퍼니를 설립하였다.
데뷔 이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그룹의 해체나 멤버의 탈퇴 및 교체가 없었던 국내 최장수 아이돌 그룹.
2017년 기준으로 13장의 정규앨범과 7장의 비정규앨범을 발표하여 대한민국 댄스 그룹 최다 정규앨범 발매 기록을 수립하였다.
1999년부터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고, 최전성기로 간주되는 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이다.
1990년대 후반에 전성기를 맞았던 H.O.T.와 젝스키스는 1세대 선발주자로, 2000년대 초반에 전성기를 맞았던 신화와 god는 1세대 후발주자로 구분된다.
H.O.T.의 영향으로 신비주의 미소년이 주류이던 1대 아이돌 붐 시장에서 신화는 유일하게 강한 남성미, 탈신비주의, 화려한 댄스 음악 등을 내세우며 차별화에 성공하였다.
1세대 아이돌 그룹의 수명은 3 ~ 5년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신화는 2004년 데뷔 7년차에 가요대상을 수상하며 최전성기를 맞았으며, 지난 20년 동안 1집을 제외한 15개의 모든 활동곡이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두었다.
또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를 열 수 있었던 몇 안되는 국내 가수이며, 첫 단독 콘서트, 10주년 기념 콘서트, 20주년 기념 콘서트를 모두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치렀다.
'따로 또 같이'라는 이름으로 아이돌 개인 활동의 보편화를 이끈 그룹이다.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한 최초의 아이돌 그룹이자 개인활동으로 대박을 친 몇 안되는 아이돌 그룹.
아이돌 그룹 멤버의 개인 활동이 용인되지 않던 시절 일찍이 멤버 개개인이 솔로 음반, 예능,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연예 분야에 도전해 성공을 거두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방송만 틀면 신화 멤버가 나온다는 소리를 들었을 정도로 왕성한 미디어 활동을 보였다.
트렌드에 절대 뒤쳐지지 않으면서도 신화만의 음악적 색깔을 잃지 않는 것이 강점.
신화를 대표하는 장르는 화려한 사운드의 댄스 음악으로, 댄스를 유독 부각했던 1세대 아이돌 그룹 중에서도 퍼포먼스로 가장 유명하다.
퍼포먼스 측면에서 높은 완성도와 이색적인 시도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을 뿐만 아니라, 댄스 음악을 하는 그룹도 장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모범적인 사례이다.
장수
2020년 기준으로 데뷔 22 주년을 맞은 국내 최장수 아이돌 그룹이다.
게다가 데뷔 이후 한 번도 해체나 멤버의 탈퇴 및 교체 없이 끈끈한 의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더더욱 주목받고 있다. 아이돌계의 살아있는 전설.
신화가 데뷔했을 당시 1990년대 후반은 아이돌의 평균 수명이 3~5년에 지나지 않았고 덕분에 5년차 징크스라는 말까지 있었다.
때문에 SM엔터테인먼트 역시 신화를 해체시킨 후 솔로로 계약할 생각이었으나, 신화는 함께 일하던 스텝들을 데리고 다 같이 소속사를 이적하며 그룹을 보존했다.
2000년대 초중반 당시는 매너리즘과 불법 음원 범람, 그리고 소몰이창법 발라드 위주로의 가요계 개편으로 인해 1세대 아이돌들이 지독한 침체기를 겪던 시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화는 아이돌계의 징크스를 깨고 2004년 7집으로 대상을 수상하며 데뷔 7년차에 제 2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7년차에 전성기를 맞기는 커녕 7년차인 아이돌 그룹 자체가 극히 드물었다는걸 생각하면 대단한 일.
신화가 데뷔했을 당시는 아이돌 평균 수명이 짧았기 때문에 신화는 10년도 더 전부터 '장수 아이돌', '중견 아이돌'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었다. 아이돌계 최고참으로 활동한 기간이 아닌 기간보다 더 많은 셈.
한국 아이돌 최초 정규 6집 활동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던 <너의 결혼식> 활동 시절, 신화는 당시 평균나이가 고작 24.5세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나이 때문에 춤출 때 힘들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 정도로 이 당시 아이돌이란 20대 초반 이하의 어린 친구들이 몇 년 바짝 하고 빠지는 직업이었고 20대 중반도 거의 찾기 힘들었다. 서른이 넘은 현역 아이돌들도 많은 지금으로써는 상상하기 힘든 일.
그렇기에 신화는 더더욱 연예계에서 변종으로 여겨졌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군복무로 인한 공백기 4년을 제외하면 그룹 활동을 2년 이상 쉬었던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 평균 앨범 발매 텀은 대략 1년 반 정도다.
한창 빡세게 활동하던 1~6집 시기에는 1년에 한장 꼴로 앨범을 발매했고, SM엔터테인먼트를 나온 이후 7집부터는 그룹활동과 개인활동을 병행하며 앨범 발매의 텀이 길어졌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백기가 2년 이상을 넘어간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심지어 활동이 뜸하다고 원성이 자자했던 시기인 2005년~2008년 조차도 8집은 1년 9개월, 9집은 1년 10개월만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평소와 비교해 그다지 긴 텀도 아니었다.
최근 아이돌 그룹들과 가요계의 동향을 보았을 때 굉장히 이례적인 사례로, 데뷔 20년차 베테랑인 신화가 싱글도 미니앨범도 아닌 정규앨범을 1~2년마다 꼬박꼬박 발매한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행보라고 볼 수 있다.
그만큼 멤버들 모두 무조건 개인 활동보다 그룹 활동을 무조건 우선시한다.
활동부터 음반 제작까지 멤버들이 최종적으로 책임을 지다보니 준비 기간이 길고, 이 때문에 정규 앨범 활동 최소 1년 전에 멤버들끼리 모여 플랜을 짜놓는다.
그룹 활동을 우선하여 플랜을 짠 후 남는 시간에 개인활동 플랜을 짠다고 한다.
배우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에릭과 김동완의 경우 신화 활동에 조금이라도 방해가 될 것 같으면 먼저 들어오는 시나리오는 읽어보지도 않는다고 한다.
다만 <연애의 발견> 시나리오가 들어왔을 때는 에릭이 멤버들에게 '~한 시나리오가 들어왔다'라고 말을 꺼내자 멤버들이 오히려 무조건 하라며 계속 등을 떠밀었고 신화 활동을 예정보다 뒤로 미뤘다고 한다.
신화가 얼마나 오랫동안 활동했는지 설명하자면 H.O.T., 젝스키스 다음으로 데뷔하여 god와 동시기에 활동하였고, 동방신기가 막 데뷔해 신인상을 휩쓸때 가요대상을 받았고, 샤이니와 같은 테이블에 앉아서 골든디스크 본상을 수상을 하였고, EXO를 2013년 MAMA에서 투표로 이겼다.
심지어 이제는 1998년 신화가 데뷔했을 당시 태어난 아이들이 아이돌 후배들이 되었다.
게다가 이 친구들이 2017년 기준으로 성인이 된다. 신화가 데뷔할 때 태어난 아이들도 어느덧 성인이 된 것이다.
심지어 이제는 2002년 신화가 5집을 발표한 해에 태어난 지성(NCT), 사무엘(가수), 유선호 등이 현역 아이돌로 데뷔해서 활동 중이다. 이제는 신화 최전성기에 태어난 아이돌 막내가 활동중이다.
또한 신화가 활동한 시기에만 5개의 정권이 들어섰다. 활동 중 2번째 정권을 맞이하기도 전에 해체하거나, 2번째 정권을 맞이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해체하는 아이돌 그룹들이 많이 있다는걸 생각하면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순서대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1998~2003)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2003~2008) →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이명박 정부(2008~2013) →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박근혜 정부(2013~2017) 이다. 그리고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후보가 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됨으로서 신화는 활동 중 5번째 정권을 맞이하게 되었다.
덤으로 북한에서도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아이돌룸에서도 이것을 언급하며 이제는 통일을 바라본다는 말까지 나왔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활동곡 | 발매일 |
1 | 해결사 | 해결사 / 으쌰!으쌰! / 천일유혼 | 1998년 5월 9일 |
2 | T.O.P(Twinkling of Paradise) | T.O.P(Twinkling of Paradise) / YO! (악동보고서) | 1999년 4월 15일 |
3 | Only One | Only One / All Your Dreams / Wedding March (너의 곁에서 II) | 2000년 5월 27일 |
4 | Hey, Come On! | Hey, Come On! / Wild Eyes | 2001년 6월 28일 |
5 | Perfect Man | Perfect Man / I Pray 4 U | 2002년 3월 29일 |
6 | 너의 결혼식(Wedding) | 너의 결혼식 / 중독 | 2002년 12월 27일 |
7 | Brand New | Angel / Brand New / 열병 (Crazy) / Oh! / 2gether 4ever | 2004년 8월 27일 |
8 | State of the Art | Once In A Lifetime / Throw My Fist / You`re My Everything | 2006년 5월 11일 |
9 | 10th Anniversary - RUN | RUN | 2008년 4월 2일 |
10 | The Return | Venus | 2012년 3월 23일 |
11 | The Classic | This Love | 2013년 5월 16일 |
12 | We | 표적 / Memory | 2015년 2월 26일 |
13 | Unchanging Part 1 - Orange | 오렌지 (Orange) | 2016년 11월 29일 |
Unchanging - TOUCH | TOUCH | 2017년 1월 3일 |
'┗옛 보이그룹 > NRG |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NRG 엔알지 프롤로그 (0) | 2020.05.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