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샤이니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빛나는 샤이니입니다! "
그룹명 | SHINee 샤이니 |
前 멤버 | 故 종현 ( 김종현 [金鐘鉉] / 90~17 / 서울특별시 종로구 / AB ) |
멤버 | L 온유 ( 이진기 [李珍基] / 89 / 경기도 광명시 / O ) Key ( 김기범 [金起範] / 91 / 대구광역시 동구 / B ) 민호 ( 최민호 [崔珉豪] / 91 / 인천직할시 남구 / B ) 태민 ( 이태민 [李泰民] / 93 / 서울특별시 도봉구 / B ) |
데뷔 | 2008년 5월 25일 미니 앨범 <누난 너무 예뻐> |
활동기간 | 2008년 5월 25일 ~ 현재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아쿠아 그린 |
팬덤 | SHINee WORLD (샤이니월드) |
SM엔터테인먼트의 4인조 아이돌 보이그룹. SHINee라 쓰고 샤이니라 읽는다. 어리고 귀여운 이미지와 그룹 이름 탓에 '빛돌이'라 불리기도 했으며(현재도 종종 불리는 별명), 데뷔 이전엔 SM 내에서 샤이니란 이름 대신 애기팀으로 불렸다고 한다.
2008년 데뷔 당시부터 큰 인기를 끌었으며 2009년부터 일본 진출을 계획, 2010년 말에는 일본에서 열린 샤이니의 첫 단독콘서트와 EMI Music Japan과의 계약을 잇따라 성공시키며 2011년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SM의 탈SM 프로젝트로 탄생하였으며, 기존에 찾기 힘든 그들만의 음악세계를 보여준다.
SM 특유의 음악인 SMP가 아닌, 네오SMP로 불리운다.
가요계의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그들만의 음악세계를 확립하고, SM에 대한 "아이돌을 너무 SM 스타일로 개조해놓는다" 등의 비판을 피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 SM과는 약간 다른 노선의 그룹으로 탄생되었다.
샤이니가 발표한 앨범들은 평론가들의 칭찬을 잇달아 받아 '평론가의 아이돌'이라는 칭호도 얻었다.
2012년 발표한 미니앨범 '셜록'에는 평론가들이 '샤이니는 한 번도 기대에 못 미치는 노래를 한 적이 없다', '아이돌 댄스곡들 중 가장 풍성하고 짜릿한 결과물이다' 등의 호평을 했다.
대중문화 평론가 이문원은 '샤이니는 기존 가수들과 다른 음악적 행보를 걷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 안티 트렌드다. 이번 앨범은 지금 당장 유럽 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으며 샤이니의 매력을 충분히 보여줬다.'고 평했다.
과거의 누나바라기 동생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고난도의 댄스를 라이브와 함께 무리없이 소화하는 실력있는 그룹의 이미지를 구축한 상태이다.
과거에는 스키니로 남성들의 비호감 이미지가 있었지만 현재는 호감과 관심이 높아졌을 정도로 다양한 관심층을 넓히고 있다. 샤이니만의 세계를 확립해가는 단계에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는 그룹이다.
2013년의 다채로운 활동으로 3세대 아이돌로의 세대교체 바람 속에서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자리를 지킨 그룹이다.
올해 활동으로 좋은 평가와 실적을 거두었으며 많은 연차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아이돌계를 이끌어갈 주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평소 입지가 불안하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2014년 활동을 기점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당대 최고는 아니지만 퀄리티 있는 노래로 오래 갈 것이다가 업계의 평이다.
2013년의 각 평론가들이 뽑은 최고의 앨범들 대부분에 샤이니의 이름이 올랐으며, 조용필과 함께 최고의 가수라고 생각하는 가수라는 설문에서 대중들과 평론가들 모두 인정하는 가수로 선정되었다(평론가가 인정하는 가수와 대중이 인정하는 가수 목록은 차이가 크다).
엄청난 대세를 불러모으거나 팬들이 미친듯이 늘어난 수순은 밟지 않은 그룹인데, 그것이 장점이 되어 자신들만의 위치에서 묵묵히 진화해 나가고 있으며 SM에서는 보기 드문 경로라고 알려진다 .
자회사 선후배 남자아이돌들이 대상을 타기 시작하면 폭주기관차처럼 타는 것에 비하면, 느리지만 계속해서 가열되며 탄탄해지고 있다는 평이다.
2014년 3월에 열린 단독 콘서트의 기자회견에서, 샤이니는 물리적인 문제가 있지 않은 한 5명이서 샤이니를 계속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발언을 하여 샤이니가 5명으로 계속 유지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또 내후년까지가 샤이니에게 아주 중요한 시기일 것이라는 말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샤이니 멤버들 자체도 실력이 계속 늘고 있으며, 세간의 평가가 좋은 가운데에 상당히 독특한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2017년 12월 18일에 종현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이 전해지게되었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The SHINee World | 산소같은 너 (Love Like Oxygen) | 2008년 8월 28일 |
2 | LUCIFER | Lucifer | 2010년 7월 19일 |
3 Chapter I | Dream Girl - The Misconceptions of You | Dream Girl | 2013년 2월 19일 |
3 Chapter II | Why So Serious? - The Misconceptions of Me | Why So Serious? | 2013년 4월 29일 |
4 | Odd | View | 2015년 5월 18일 |
5 | 1 of 1 | 1 of 1 | 2016년 10월 5일 |
6 | The Story of Light EP.1 | 데리러 가(Good Evening) | 2018년 5월 28일 |
The Story of Light EP.2 | I Want You | 2018년 6월 11일 | |
The Story of Light EP.3 | 네가 남겨둔 말 (Our Page) | 2018년 6월 25일 |
정규 앨범 리패키지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Amigo | 아.미.고 (Amigo) | 2008년 10월 24일 |
정규 2집 리패키지 | Hello | Hello | 2010년 9월 30일 |
정규 3집 합본 | The Misconception of Us | 너와 나의 거리(Selene 6.23) | 2013년 8월 9일 |
정규 4집 리패키지 | Married To The Music | Married To The Music | 2015년 8월 3일 |
정규 5집 리패키지 | 1 and 1 | Tell Me What To Do | 2016년 11월 15일 |
정규 6집 합본 | The Story of Light Epilogue | 셀 수 없는 (Countless) | 2018년 9월 10일 |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누난 너무 예뻐 | 누난 너무 예뻐 (Replay) | 2008년 5월 25일 |
2 | Romeo | 줄리엣 (Juliette) | 2009년 5월 18일 |
3 | 2009, Year Of Us | Ring Ding Dong | 2009년 10월 14일 |
4 | Sherlock | Sherlock.셜록 (Clue+Note) | 2012년 3월 19일 |
5 | Everybody | Everybody | 2013년 10월 14일 |
빅뱅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빅! 뱅! "
그룹명 | BIGBANG 빅뱅 |
유닛 | GD&TOP (지디&탑) GD X TAEYANG (지디x태양) |
前 멤버 | 승리 ( 이승현 [李升炫] / 90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 A ) (2006년 8월 19일 ~ 2019년 3월 11일) |
멤버 | T.O.P ( 최승현 [崔勝鉉] / 87 / 서울특별시 송파구 / B ) 태양 ( 동영배 [董永培] / 88 / 경기도 의정부시 / AB ) L G-DRAGON ( 권지용 [權志龍] / 88 / 서울특별시 용산구 / A ) 대성 ( 강대성 [姜大聲] / 89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 O ) |
데뷔 | 2006년 8월 19일 싱글 앨범 [Bigbang] |
활동기간 | 2006년 8월 19일 ~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유니버스 블루 |
팬덤 | VIP |
빅뱅은 2006년에 데뷔한 YG엔터테인먼트 소속의 4인조 보이그룹이다.
2000년대 중후반부터 현재까지 젊은 층의 패션 트렌드와 이후 쏟아져나온 아이돌 그룹 및 대한민국 가요계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그룹이며 지금의 YG를 세운 장본인이며 음악성과 영향력, 트렌드세팅의 측면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고, 오랫동안 활동하며 최정상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아이돌인지라 아이돌계에선 끝판왕 대우를 받고 있었다.
멤버 전원의 특출난 재능과 세련된 음악, 트렌디한 스타일, 각종 예능 및 방송에서의 활약, 세계적인 브랜드들의 러브콜과 협업, 글로벌한 인기 등 여러 요인들이 종합되어 빅뱅의 인기를 만들어왔었다.
빅뱅은 기존의 아이돌들과 차별화되는 면을 많이 가지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재능이 아닌 외모 등으로 가수라는 직업을 갖게 된 무수한 아이돌 속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데뷔, 독보적인 음악성을 가졌다는 점을 꼽을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대중형 아이돌, 탈아이돌로 불리기도 했었다.
또한 남성 그룹은 남자 팬이 많이 없다는 가요계 불변의 명제에 대한 거의 유일한 반례로, 수차례 언급했듯이 출중한 음악인으로서의 면모 때문에 성별을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랑을 받는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으로 들어가서는 멤버들의 지속된 사건사고로 인해 과거의 찬란했던 명성에 흠집이 가고 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음악성
음악성, 대중성이 뛰어난 그룹 중 하나이다. G-DRAGON, TEDDY는 BIGBANG의 거의 전곡에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다른 멤버들도 작사, 작곡에 참여를 하고 있다. Electronic POP, Alternative R&B, Dance POP, Folk/Blues, Future Bass(퓨처 베이스)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스타일을 보여주는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선보이고 있다. 음악성은 이미 10년 동안의 음반으로 확인이 되었고 음반 발매 후 타이틀 곡부터 수록곡까지 모든 곡을 줄세우기를 하는 몇 없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또한 음악에 있어서 BIGBANG은 멤버들 간의 실력적 균형과 조화가 매우 뛰어나고 각자의 색깔이 잘 묻어나는 그룹이다. 대부분의 그룹들은 기교보다는 담백하고 Fresh한 한국식 창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BIGBANG의 목소리와 창법은 전반적으로 R&B 색깔이 강하며 진하고 세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한국식 창법을 구사하는 멤버가 한 명도 없다는 것이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흑인 음악의 Soul과 R&B 보컬을 갖춘 TAEYANG이 노래의 축을 잡으면 록 성향이 강한 DAESUNG의 보컬이 치고 나가는 형태이다. 래퍼 라인인 G-DRAGON은 가늘지만 힙하고 섹시한 목소리로 감칠맛 나는 랩을 하고 T.O.P은 무게감 있고 깊은 목소리로 중후한 랩을 선보인다. 이런 색깔들이 모여 BIGBANG의 음악은 주로 G-DRAGON, TAEYANG을 주축으로 하는 Hip Hop, Electronic, POP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지만 느린 Tempo의 음악은 DAESUNG, TAEYANG의 상반되는 보컬 색깔을 강조하는 쪽으로 파트 분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BIGBANG의 깊고 강하며 진한 음악적 성향은 YG 엔터테인먼트 음악의 핵심이다.)
대중성
보이그룹은 주요 소비층인 여자들에게 호감을 받지만 BIGBANG은 남자들에게도 호감을 받고 있다. BIGBANG 콘서트는 Boy Band이지만 남자들이 많다. 가족 단위로 오기도 한다.
링크, (2014년) 경제 잡지 Forbes(포브스) 선정 Korea's Power Celebrity 40 Rank 2위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을 의미한다.
실력과 관련하여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가요계의 흐름을 바꿨다고 할 수 있는 그야말로 메가 히트곡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다. 또한 BIGBANG의 곡들은 내로라 하는 가수들부터 후배 가수들에게 커버가 되고 있다. 특히 서바이벌 경연프로그램 복면가왕에서는 BIGBANG의 곡이 무려 20번이나 선곡되었다.
그룹 활동 뿐만 아니라 각자 멤버들의 솔로 활동도 대중적 인기와 음악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G-DRAGON과 TAEYANG은 발표한 모든 솔로 앨범들이 한국대중음악상(Korean Music Awards)에서 수상을 하거나 노미네이트가 된 적이 있다. TAEYANG의 EP Hot은 음악전문 웹진 백비트와 소리바다에서 공동 선정한 2000년대 100대 명반 중 79위에 랭크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G-DRAGON은 Heartbreaker, 삐딱하게 (Crooked), TAEYANG은 눈, 코, 입 곡으로 그룹 멤버로서는 드물게 대상을 수상한 가수 중 하나이다.
음원 성적은 과거 2007년부터 활동을 하면 음원 연간 순위 10권 안에 항상 들었다. 거짓말 곡 싸이월드 뮤직 연간 순위 1위, 멜론 연간 순위 15위, 하루 하루 곡은 싸이월드 뮤직 연간 1위, 멜론 연간 2위를 했다. 그 외에 모든 수록곡을 100위 안에 진입시켰다. 과거 2008년까지는 싸이월드 뮤직이 가장 이용자가 많은 음원서비스였었다. 2015년에는 5월부터 2018년 3월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지붕킥을 했었다. 2015년에 A 싱글 1번 트랙 수록곡 뱅뱅뱅 (BANG BANG BANG) 곡은 가온과 멜론 등 모든 음원 사이트 연간 순위 1위, M 싱글 더블 타이틀 곡인 LOSER 곡은 가온 연간 순위 2위, 멜론 순위 6위를 했었고 2015년에 발표한 모든 곡들이 연간 순위 100권 안에 다 진입했다. 심지어 이걸로도 모자라서 2009년 8월 18일에 발표한 G-DRAGON의 정규 1집 앨범 Heartbreaker 앨범의 타이틀 곡인 Heartbreaker 곡은 그 해 멜론 연간 순위 4위를 기록하며 같은 해에 활동한 남자 아이돌 중 최고의 음원 성적을 보여줬고 2014년 6월 3일 0시에 발매했던 태양의 정규 2집 RISE 앨범의 타이틀 곡인 눈, 코, 입 곡으로 멜론 연간차트 3위, 가온 연간차트 2위를 기록하여 같은 해에 활동한 남자 아이돌 중에서는 최고의 음원 성적을 보여줬다. 대한민국 Boy Band(보이그룹)에서는 최초로 연간 순위 1위를 기록한 그룹이다. 과거 2007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 순위 1위를 기록을 했었고 2015년에 멜론 및 가온차트 연간 순위 1위를 다시 기록했었다.
사고 및 논란
상당히 많은 사건사고로 안티가 꽤나 있었다.
연예면이 아니라 사회면에서 더 많이 보이는 아이돌이라고 조롱도 당했던 적이 있었다.
2007년 거짓말 활동 이후, 무개념 팬덤으로 여러 팬덤과 갈등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대중들 사이에서도 안티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2009년에 절정을 이루는데, G-DRAGON의 표절 사건과 성적 공연 문제 등으로 안티들이 대거 양성되고, 뉴스 기사 댓글에는 늘 팬덤과 안티들의 싸움이 계속되었다.
거기에 더해 2011년에 대성이 교통사고를 내고 지디는 대마초 흡입으로 기소유예까지 받으면서 안티들이 순식간에 늘어났던 적이 있었다.
2012년 초 위의 물의를 일으킨 지드래곤과 대성이 SBS <힐링캠프>에 출연하며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두 사건 모두 고의가 아님을 해명하였고 얼마 뒤 ALIVE를 발매하여 당시 거의 모든 음원차트를 휩쓸었고 동시에 위기의 순간에서 다시금 원탑으로 올라섰으며 이후 여러 TV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활동 종료 후 3년간 각자 솔로활동을 하며 대성은 해외에서 솔로로 활동했고, 승리는 국외를 넘나들며 여러 방송에 출연했으며 태양은 정규 1집 발매, 지드래곤은 정규 2집 발매, 탑은 <타짜 2> 등의 작품으로 개인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이어진 2015년의 MADE 활동으로 믿고 듣는 아이돌이라는 타이틀이 붙으면서 호감도가 빠르게 상승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6년까지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갔었다.
2017년 6월 T.O.P이 한서희와 대마초를 흡연한 사실이 밝혀지자, 과거에 있었던 멤버들의 여러 사건들과 더불어 안티들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일부 팬들이 안티로 돌아서서 활동을 하기 때문에 다음 활동은 불분명해진 상태이다.
게다가 멤버들의 사생활이 좋지는 않아서 안티가 많이 늘어났지만, 완전체 활동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3월 13일에 완전체 곡인 꽃길이 공개됐다. 빅뱅의 마지막 정규 앨범인 ‘MADE’ 앨범 작업 당시 빅뱅 멤버들의 군 입대를 염두에 두고 만든 곡이다.
3월 12일 태양에 이어 13일 대성이 군 입대하는 날짜에 공개됐다.
하지만 이 곡 역시 음원차트 올킬과 2주 가량 1위로 롱런, 멜론 역대 아이돌 진입 이용자수 1위를 기록하며 빅뱅의 논란의 역사와 성적은 그다지 상관관계가 없다는 특이점이 또 다시 입증되었다. (이 곡은 데뷔 멤버로 구성된 5인 체제의 마지막 완전체 곡이기도 하다.)
이후 혼자서 군 입대를 하지 않고 있던 전 멤버였었던 승리가 TV 예능에서 유능한 사업가로 스스로 자신을 이미지 메이킹하여 '위대한 승츠비'이라는 별명을 탄생시키며 그룹의 이미지를 어느 정도 회복하고 T.O.P의 대마초 논란도 어느 정도 잠잠해지는 듯 했지만, 2018년 11월 말 승리가 운영하는 사업과 관련된 추악한 초유의 사건들이 연이어 드러났다.
전 멤버였었던 승리는 범죄 영화에나 나올 법한 뒷세계의 온갖 추악한 범죄들과 엮였었다.
결국 전 멤버였었던 승리는 본인의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3월 11일 연예계 은퇴를 선언했었다.
대성도 2019년 7월에 불법 유흥업소 운영 방조 논란이 나서 대중들의 반감이 더 커지게 된 적이 있었다.
여담
- YG 엔터테인먼트를 현재의 자리까지 올라오게 하는데에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
- 팬들이 BIGBANG에 팬심으로 스펠링을 따서 붙여준 의미가 있다. BEST IDOL GROUP BELIEVE AND NEVER GOODBYE으로 최고의 아이돌 그룹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절대 끝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 과거 2011년 4월 8일에 발매한 EP BIGBANG MINI 4의 리패키지 개념인 EP BIGBANG Special Edition 1번 Title Track LOVE SONG 유튜브 뮤직비디오를 업로드를 했었는데 헬리캠(Helicam)을 이용해서 롱테이크(Long take)로 촬영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후부터 롱테이크로 촬영한 뮤직비디오가 늘었다.
- 2011년 11월 13일 방영된 (개최일은 2011년 11월 7일이다.) MTV 유럽 뮤직 어워드(Europe Music Awards, EMA)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석하여 Worldwide Act 상을 수상하였다. 그전까지 숱한 사고로 침체된 팬덤이 다시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과도한 BIGBANG 팬덤의 투표가 지적되었다. 다름 아닌 투표를 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되어있음에도 불구, 쿠키를 삭제해 투표 제한을 풀고 무제한으로 투표를 했기 때문에 상당히 욕을 들은 적이 있다. 이 일로 인하여 외국의 브리트니 스피어스 팬들과 마찰이 생겼다.
- 2012년 2월 29일 발매한 BIGBANG의 ALIVE 앨범이 한국어 앨범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Billboard(빌보드) 메인 차트 진입에 성공하였다. Billboard 200 150위에 랭크되었다. 외국 그룹들이 비교적 더 높은 성적을 기록하는 Billboard의 각종 Billboard Chart에서 강세를 보이는 Boy Band(보이그룹)이다.
- 2012년 5월 5일 MTV 이탈리아 TRL 어워드에서 아시아 가수 최초로 외국 아티스트 부분에서 베스트 팬 상을 수상하였다. Avril Lavigne, One Direction 영국-아일랜드 보이그룹 등 아티스트들을 제치고 수상하였다.
- Fashion(패션) 브랜드들에게 굉장히 인기가 많다. Chrome Hearts, Thom Browne, SAINT LAURENT, MCM, Louis Vuitton 등이다. 심지어 CHANEL까지 물건을 보내준다. 특히 패션에 관심이 많고 영향력이 많은 G-DRAGON이 주 대상이다. (더 자세한 것은 패션지 관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볼 수 있다.)
- 각 아이돌 그룹의 솔로, 유닛 활동을 본격적으로 활성화시킨 그룹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전에 그룹 멤버 솔로 활동은 2003년 신화의 이민우를 시작으로 신혜성, 김동완, 전진, 앤디였었고 유닛 활동의 경우 슈퍼주니어가 2007년에 슈퍼주니어-T 유닛 활동을 먼저 했었다. 과거에 솔로, 유닛 활동은 그룹 해체 후에 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었으나 BIGBANG의 경우에는 2008년 5월 22일 발매했었던 TAEYANG의 EP Hot 솔로 활동을 시작으로 나머지 모두가 솔로, 유닛 활동을 병행해가며 그룹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게다가 개별적인 활동이 모두 어느 정도 성공적인 행보를 보였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솔로, 유닛 활동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이들의 대표적인 솔로 인기곡인 TAEYANG의 눈, 코, 입 곡, G-DRAGON의 삐딱하게 (Crooked) 곡은 웬만한 Boy Band(보이그룹)의 인기곡이 아니면 대적하기가 힘든 편이다. 그룹 활동과 솔로 활동을 병행하면서 양쪽에서 대상급 상을 받아본 대한민국 가수는 G-DRAGON과 TAEYANG 밖에 없다.
- BIGBANG은 포지션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음악 활동에서는 모호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공식 포지션은 'G-DRAGON : 리더, 메인래퍼, 서브보컬 / TAEYANG : 메인보컬, 메인댄서 / T.O.P : 리드래퍼 / DAESUNG : 리드보컬'이다. 래퍼라인인 G-DRAGON과 T.O.P은 노래도 꽤 잘하는 편이여서 IF YOU 곡이나 BAD BOY 곡과 같은 서정적인 노래에서는 보컬로 참여하기도 하고 TAEYANG은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래퍼로 참여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DAESUNG이 BIGBANG 음악의 고음 부분을 주로 담당했다면 이제는 노래의 중심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오히려 기교는 TAEYANG이 부린다. 대체적으로 G-DRAGON이나 T.O.P이 랩으로 곡을 시작하면 DAESUNG이 안정된 가창력으로 곡의 흐름을 단단하게 잡아주고 TAEYANG이 소울풀한 기교를 더하는 식으로 대부분 BIGBANG의 노래가 진행된다.
- 과거 2016년 7월 11일 경제 잡지 Forbes(포브스)에서 선정한 유명인 연간 수입 순위에서 그룹 전체로 54위에 올랐다. (링크) 집계된 연간 수입은 약 520억 원 정도였다. 맴버들 수입을 합친 것이긴 했지만 닥터 드레(Dr. Dre)보다 순위가 높았고 (63위) 1위는 거의 2000억 원에 가까운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였다.
- 멤버가 병역을 모두 이행했다. 2019년 7월 6일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이행중이었던 T.O.P이 소집해제, 2019년 10월 26일 G-DRAGON이 육군 현역 복무 만기제대, 2019년 11월 10일 TAEYANG, DAESUNG이 육군 현역 복무 만기제대를 했다.
- YouTube Creator Awards에서 BIGBANG은 2018년 9월 10일 오전 10시 기준 Diamond Creator Award(Diamond Play Button)를 받았다. (2018년 9월 10일 오전 10시 기준 1000만 명 돌파)
- 무대 위와 아래의 갭 차이가 매우 크다. 사실 BIGBANG은 2006년 데뷔로 현재 아이돌들 중에서는 단연 대선배이지만 대체적으로 어린 나이에 데뷔했기 때문에 나이는 과거 2008년~2010년 시절에 데뷔한 아이돌과 비슷하다. 하지만 이에 불구하고 무대 위에서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압도적 퍼포먼스와 선배미를 보여주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은 무대 아래에서도 강하고 카리스마 넘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BIGBANG은 무대 아래에서는 굉장히 비글미가 넘치고 애교도 많은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멤버들끼리 엄청나게 꽁냥거리는 걸 볼 수 있다. 게다가 멤버들 말투도 나긋나긋하고 선배든 후배든 가리지 않고 90도로 폴더 인사를 하기 때문에 자칫 거만해 보일 수 있는 무대 위 모습과는 달리 미담도 굉장히 많다. 게다가 멤버들이 굉장히 똘끼가 넘치는데 특히 T.O.P가 가장 제정신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G-DRAGON도 전자에 가려져서 그렇지 가끔 허당끼가 있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태양(빅뱅) 또한 조곤조곤 말하지만 할 말을 다 하는 스타일이라 예능에서도 자주 터진다.
- 2020년 이후 기준 TAEYANG을 제외한 BIGBANG 멤버들은 다 서울시 출신이다. G-DRAGON, T.O.P, DAESUNG은 서울시 출신이고 TAEYANG은 경기도 의정부 출신이다. 다만 T.O.P은 중학교, 고등학교를 용인시나 성남시 분당 쪽에서 다녔다.
- 콘서트에 가서 라이브로 보고 음원을 들으면 정말로 심심하다. 라이브를 할 때마다 멤버들이 애드리브(Ad libitum)를 되게 많이 하기 때문이다. 콘서트 라이브 동영상들을 보고 음원이랑 달라서 충격을 먹은 팬들도 존재한다. 게다가 모든 곡을 밴드 버전으로 연주, 리믹스(Remix) 한 것도 한 몫 한다.
- BIGBANG이 YG엔터테인먼트와 3번째 재계약을 했다. 재계약은 지난 2011년과 2015년에 이어 세 번째다. 기획사와 20년 이상 함께 하는 일은 흔치 않은 사례다.
정규 앨범 / 미니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1집 | BIGBANG Vol. 1 | Dirty Cash | 2006년 12월 21일 |
미니 1집 | ALWAYS | 거짓말 | 2007년 8월 16일 |
미니 2집 | HOT ISSUE | 마지막 인사 | 2007년 11월 22일 |
미니 3집 | STAND UP | 하루하루 | 2008년 8월 8일 |
정규 2집 | Remember | 붉은 노을 | 2008년 11월 5일 |
미니 4집 | BIGBANG MINI 4 | TONIGHT | 2011년 2월 24일 |
미니 4집 리패키지 | 빅뱅 스페셜 에디션 | LOVE SONG | 2011년 4월 8일 |
미니 5집 | ALIVE | BLUE BAD BOY FANTASTIC BABY |
2012년 2월 29일 |
미니 5집 리패키지 | STILL ALIVE | MONSTER | 2012년 6월 3일 |
정규 3집 | MADE | 에라 모르겠다 LAST DANCE |
2016년 12월 12일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 BIGBANG | We Belong Together | 2006년 8월 29일 |
싱글 | BIGBANG is VIP | La La La | 2006년 9월 28일 |
싱글 | BIGBANG 03 | Forever With U | 2006년 11월 22일 |
싱글 | M | LOSER BAE BAE |
2015년 5월 1일 |
싱글 | A | 뱅뱅뱅 (BANG BANG BANG) WE LIKE 2 PARTY |
2015년 6월 1일 |
싱글 | D | IF YOU 맨정신 |
2015년 7월 1일 |
싱글 | E | 쩔어 (GD & T.O.P)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 |
2015년 8월 5일 |
디지털 싱글 | 꽃 길 | 꽃 길 | 2018년 3월 8일 |
티아라 프롤로그
그룹명 | T-ARA 티아라 |
데뷔조 | 지애 ( 이지애 / 87 / 2009년 4월 ~ 2009년 7월 ) 지원 ( 양지원 [楊知元] / 88 / 2009년 4월 ~ 2009년 7월 ) |
前 멤버 |
보람 ( 전보람 [全寶藍] / 86 / 2009년 7월 ~ 2017년 5월 )
소연 ( 박소연 [朴昭姸] / 87 / 2009년 7월 ~ 2017년 5월 )
화영 ( 류화영 [柳和榮] / 93 / 2010년 7월 ~ 2012년 7월 ) 아름 ( 이아름 [李雅凜] / 94 / 2012년 7월 ~ 2013년 7월 ) |
멤버 |
L 큐리 ( 이지현 [李智賢] / 86 / 서울특별시 중랑구 / B )
은정 ( 함은정 [咸𤨒晶] / 88 / 서울특별시 노원구 / O )
효민 ( 박선영 [朴宣映] / 89 / 서울특별시 / O ) 지연 ( 박지연 [朴芝姸] / 93 / 서울특별시 강북구 / AB ) |
데뷔 | 2009년 7월 27일 디지털 싱글 <거짓말> |
활동기간 | 2009년 7월 29일 ~ 2017년 12월 31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MBK엔터테인먼트 (2009년 4월 ~ 2017년 12월) |
공식색 | 펄 아이보리 |
팬덤 | QUEEN'S (퀸즈) |
대한민국의 4인조 아이돌 걸그룹. 2009년 7월 29일, MBC ‘라디오 스타’에서 정식으로 데뷔했다.
데뷔 직전, 티아라는 소속사 선배 그룹인 씨야나 다비치처럼 보컬 그룹으로 데뷔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 해 7월에 예정된 포미닛의 데뷔와 애프터스쿨, 소녀시대, 2NE1, 카라의 컴백 등 아이돌 걸그룹 대전에 합류하기 위해 보컬 위주의 걸그룹에서 소녀시대, 원더걸스 같은 아이돌 걸그룹으로 방향을 급 선회했다.
이 때문에 메인보컬이었던 양지원과 이지애가 탈퇴했으며, 소연, 보람, 큐리가 급하게 영입되었다.
이후 양지원은 B2M엔터테인먼트로 옮겨 스피카로 데뷔했고, 이지애는 드림티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기고 주비스의 ‘하나’라는 예명으로 데뷔했다.
티아라의 인기 요인을 꼽자면, 소위 ‘2인자(?) 전략’으로 성공한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유행을 선도하기 위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이미 대중들에게 익숙한 현 트렌드에 본인들의 콘셉트를 맞춰가는 안전한 2인자 자리를 선택하는 것. 그 후 <Bo Peep Bo Peep>은 후크송, <Roly-Poly>, <Lovey-Dovey>는 각각 복고 열풍과 셔플댄스 열풍에 불을 붙였다.
또한 특이하게도, 성공한 노래 이후에 발매된 상반된 분위기의 곡들도 상당히 성공한 편이다.
<Bo Peep Bo Peep> 이후의 <너 때문에 미쳐>, <Roly-Poly> 이후의 <Cry Cry>, <Lovey-Dovey> 이후의 <DAY BY DAY>가 그 예.
이런 다양한 콘셉트의 성공 덕에 <Roly-Poly> 활동 쯤부터는 응원법에 ‘가요계의 카멜레온’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물론 이 2인자 전략은 곡의 퀄리티가 받쳐주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당시 티아라의 전담 작곡가였던 신사동호랭이가 트렌드를 캐치하는 센스는 무시무시했다.
게다가 티아라는 2세대 걸그룹 중 대중친화적 활동을 보여준 가장 대표적인 걸그룹 중 하나였으며, 몇몇 논란이 있었으나 음원 중심으로 크게 성공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티아라의 최고 히트곡으로 평가받는 <Roly-Poly>는 2011년 멜론, 가온차트 연간 음원 순위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며, 당시 네티즌들 사이에서 '소녀시대, 원더걸스의 턱 밑까지 올라왔다.'라는 의견이 나올 정도로 대중적 인지도와 파급력이 굉장히 높았다.
2012년, <Lovey-Dovey>로 ‘뮤직뱅크’ 통산 4주 1위를 달성했고 단독 콘서트까지 열게 되는 등 전성기를 그대로 이어나가며 명실상부한 1군 걸그룹으로 올라섰다.
게다가 소속사에서 전례 없던 공식 팬클럽 이야기까지 나오기 시작했으며, 2012년 7월 14일에 공식 팬클럽 QUEEN'S가 창단되면서 그룹의 전성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당시 대중친화적인 2세대 걸그룹들은 음원 화력이 강한 대신 팬덤 화력이 약해 음반 판매량에서 약세를 보인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티아라는 팬덤 역시 탄탄한 편이었으며 음반 판매량도 낮지 않았다.
사건 이후인 현재시점에서는 역대 걸그룹 음반 판매량 TOP 10에서 1,149,905장으로 6위를 기록했다.
일반적인 걸그룹이 개개인의 캐릭터 구축에 공을 들인다면, 티아라는 극도의 대중친화성을 그룹의 정체성으로 선택했다.
즉 '지연이라는 절대적인 센터를 중심으로, 예쁜 멤버들이 매우 대중적인 노래를 부르는 그룹' 자체가 티아라의 캐릭터이자 아이덴티티였던 것.
한편, 그룹을 둘러싼 많은 멤버 및 리더 교체, 이로 인해 생겨나는 잡음이 해당 전략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열된 걸그룹 시장 속에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며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는 평을 받았다.
가창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멤버들의 사생활 구설수에도 불구하고, MBK엔터테인먼트의 가혹하다 싶을 정도로 빽빽한 스케줄과 이를 묵묵히 수행해내는 티아라 멤버들을 보며 '과거에 실수 좀 했으면 어떠냐, 지금 저렇게 열심히 하는데.'라며 호의적으로 보는 사람이 늘고 있었다.
그러나 2012년 7월 27일,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2 | Temptastic | Yayaya | 2010년 12월 1일 |
3 | 존트라볼타 워너비 | Roly-Poly | 2011년 6월 29일 |
4 | Black Eyes | Cry Cry | 2011년 11월 11일 |
5 | Funky Town | Lovey-Dovey | 2012년 1월 3일 |
6 | DAY BY DAY | DAY BY DAY | 2012년 7월 3일 |
7 | MIRAGE | SEXY LOVE | 2012년 9월 3일 |
8 | Again | 넘버나인 (No.9) 느낌 아니까 |
2013년 10월 10일 |
9 | Again 1977 | 나 어떡해 | 2013년 12월 4일 |
10 | And&End | Sugar Free | 2014년 9월 11일 |
11 | So Good | 완전 미쳤네 | 2015년 8월 4일 |
12 | REMEMBER | TIAMO | 2016년 11월 9일 |
13 | What's my name | 내 이름은 | 2017년 6월 14일 |
기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거짓말 | 거짓말 | 2009년 7월 27일 |
디지털 싱글 | TTL (Time To Love) | TTL (Time To Love) | 2009년 9월 15일 |
디지털 싱글 | TTL Listen 2 | TTL Listen 2 | 2009년 10월 9일 |
정규 1집 | Absolute First Album | Bo Peep Bo Peep 처음처럼 |
2009년 11월 27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Breaking Heart | 너 때문에 미쳐 내가 너무 아파 |
2010년 2월 23일 |
디지털 싱글 | 왜 이러니 | 왜 이러니 | 2010년 11월 23일 |
스페셜 1집 | Roly-Poly in 코파카바나 | Roly-Poly in 코파카바나 | 2011년 8월 2일 |
스페셜 2집 | T-ara Winter | 숨바꼭질 | 2013년 12월 14일 |
포미닛 프롤로그
그룹명 |
4MINUTE 포미닛 |
멤버 |
L 남지현 ( 南智賢 / 90 / 인천광역시 부평구 / A )
허가윤 ( 許嘉允 / 90 / 서울특별시 동작구 / O )
전지윤 ( 田祉潤 / 90 / 경기도 수원시 / B )
김현아 ( 金泫雅 / 92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 O )
권소현 ( 權素賢 / 94 / 서울특별시 성동구 / B ) |
데뷔 | 2009년 6월 18일 디지털 싱글 <Hot Issue> |
활동기간 | 2009년 6월 18일 ~ 2016년 6월 16일 |
소속사 | 큐브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바이올렛 |
팬덤 | 4NIA (포니아) |
포미닛(4MINUTE)은 대한민국의 5인조 아이돌 걸그룹으로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다.
4minute이라는 이름은 순간에 최선을 다한다는 뜻과 보통 노래 한 곡의 시간이 4분 정도이므로 4분 동안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겠다는 뜻을 중의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중학교 3학년 때 원더걸스의 멤버였던 현아가 활동했던 그룹이다.
신인 시절부터 해체직전까지 " 현아 그룹으로" 평가받았다.
2013년 이후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끝내 그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디씨인사이드에서 김현아갤은 지상갤인데 포미닛갤은 지하에 있다. 그래서 '배보다 배꼽이 크다'고 한다.
초창기엔 여러모로 원더걸스 콘셉트을 따라한 듯 보였다. 데뷔 당시에는 의상이나 콘셉트이 2NE1+애프터 스쿨이란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보컬을 맡고 있는 멤버의 스타일이나 만두속성을 가진 멤버나 복고 스타일 등등 애프터스쿨의 하드코어 버전 정도.
대부분의 걸그룹 노래가 "사랑 타령"인데 포미닛은 주로 힙합풍으로 "당당한 자신"이나 "내 주관대로", "내가 짱임" 같은 약간 반항기 있는 콘셉트이 메인이다.
이 점이 2NE1과 겹치는데, Candy pop+Girl's Hiphop의 특성을 뚜렷히 보이며 2NE1에 비하면 좀 더 소녀스러운 이미지가 있다.
처음엔 여러 걸그룹이랑 유사하단 평이 많았지만,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하여 초창기 지적 받던 원더걸스, 애프터스쿨, 2NE1 등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가진다.
앨범 수록곡에 사랑노래가 없는 건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가벼운 느낌을 준다. 일본 발매 싱글 'FIRST'가 대표적인 예.
그러다가 2009년 7월 2일 음악 방송 엠카운트다운 히어로즈 무대에서 원더걸스의 'Tell Me'를 재현했다.
2000년대 후반에 데뷔한 걸그룹중 레인보우와 함께, 탈퇴 멤버나 불화가 잘 없는 팀이었다.
대개 이시기에 데뷔한 걸그룹은 약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탈퇴멤버들이 생기거나 멤버간 불화설이 생기기도 하는데 포미닛은 사실 데뷔당시 "현아 걸그룹"의 이미지 때문에 가장 먼저 불화가 생길 것으로 팬덤 사이에서 예측되기도 했으나 의외로 오랜 기간동안 매년 한번씩은 단체로 앨범을 뽑아내면서 음방에 나와 꾸준하게 활동했었다.
포미닛은 그 비결로 "멤버가 전부 성격이 모나지 않고, 전부 남자 형제만 있어서 소심하게 삐쳐있는 경우가 없으며, 기분나쁘면 그때그때 다 풀고 이야기한다" 라고 언급했다.
현재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었다.
현아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이 제계약하지 않았지만 이 중 전지윤은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아도 같은 소속사였던 이던과 함께 2018년 10월 15일에 큐브와의 인연을 끝냈다.
지상파 음악방송에서는 유일하게 뮤직뱅크에서 1위를 못했다고 한다.
해체
해체 이유는 멤버들이 서로 하고 싶은 것들(연기, 춤, 방송 등)이 달랐고, 그로 인해 의견 차이로 수 개월 동안 고민하다가 회사 내에서는 더 이상 의견 차이로 그룹을 원활히 존속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해체했다고 밝혔다.
재계약 관련 기사가 쏟아지는 6월 13일 현재 세계일보 보도와 스포츠월드 보도에서 그룹 활동 중단과 관련된 이유에 대해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며 완전히 해체됐다.
이는 큐브를 인수했던 IHQ의 입김이 컸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HQ는 2013년 거액을 들여 큐브를 인수했지만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고, CLC가 데뷔한 이상 걸그룹은 CLC에 집중하려고 한 듯.
여기에 포미닛은 거의 "현아와 아이들" 수준의 원맨 그룹화되어서 현아가 가장 큰 수익을 올려 주는 이상, 나머지 멤버와는 재계약이 필요없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아도 2년 후인 2018년 10월 개인사정으로 큐브를 떠났다.
한편, 이후 SNS 인스타그램에서 현아를 제외한 포미닛 멤버들이 현아를 언팔로우했다는 소식이 들려 불화설이 대두되기도 했다.
2016년 8월 경, 현아가 새 솔로 앨범을 들고 나옴과 동시에 인터뷰에서 다소 횡설수설한 모습을 보였다.
문제의 내용이 현재는 해체된 포미닛에 대한 것으로 "다른 포미닛 멤버들, 내가 싫을 것"이라며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였다.
이건 불화설이란 말이 아니라 다른 멤버들은 입장을 낼 수 없는 위치에 있지만 자기가 이렇게 말해서 미안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인터뷰끝나고 주위사람들에게 "인터뷰 하기 싫다고 했잖아"라고 하며 울었다. 아무말도 하기싫은데 억지로 인터뷰를 한 모양.
어쨌든 아육대에 나올 때마다 포미닛이 명장면을 보여 준 양궁도 팀 해체를 선언하면서 포미닛의 퇴장과 함께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2016 설날 아육대 준결승에서 EXID에게 패해 탈락한 것이 마지막이 되고 말았다.전지윤의 연속 4점은 덤
2017년 11월 5일 '미쳐'의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달성하게되었다. 이로써 포미닛은 3대기획사가 아닌 걸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함과 동시에 해체한 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한 그룹이 되었다.
현재 큐브와 재계약하지 않은 나머지 4명 중 현재 전지윤만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는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Hot Issue | Hot Issue | 2009년 6월 15일 |
미니 1집 | Muzik | Muzik What a Girls Wants |
2009년 8월 28일 |
미니 2집 | Hit Your Heart | HUH I My Me Mine |
2010년 5월 19일 |
싱글 1집 | Heart To Heart | Heart To Heart | 2011년 3월 29일 |
정규 1집 | 4Minutes Left | 거울아 거울아 Heart To Heart |
2011년 4월 5일 |
미니 3집 | Volume Up | Volume Up | 2012년 4월 9일 |
미니 4집 | Name Is 4minute | 이름이 뭐예요? | 2013년 4월 26일 |
디지털 싱글 | 물 좋아? | 물 좋아? | 2013년 6월 28일 |
미니 5집 | 4MINUTE WORLD | 오늘 뭐해 | 2014년 3월 17일 |
미니 6집 | Crazy | 미쳐 | 2015년 2월 9일 |
미니 7집 | Act. 7 | 싫어 | 2016년 2월 1일 |
슈퍼주니어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슈퍼주니어입니다! 우린 슈퍼주니~ 어예요! "
그룹명 | SUPER JUNIOR 슈퍼주니어 |
유닛 | K.R.Y · T · M · Happy · D&E |
前 멤버 | 한경 ( 韩庚, Hán Gēng / 84 / 2009년 12월 22일 탈퇴 ) 기범 ( 김기범 [金起範] / 87 / 2015년 8월 20일 탈퇴 ) 강인 ( 김영운 [金永云] / 85 / 2019년 7월 11일 탈퇴 ) |
멤버 | L 이특 ( 박정수 [朴正洙] / 83 / 서울특별시 은평구 / A ) 희철 ( 김희철 [金希澈] / 83 / 강원도 횡성군 / AB ) 예성 ( 김종운 [金鐘雲] / 84 / 충청남도 천안시 / AB ) 신동 ( 신동희 [申東熙] / 85 / 경상북도 문경시 / O ) 은혁 ( 이혁재 [李赫宰] / 86 / 서울특별시 강서구 / O ) 동해 ( 이동해 [李東海] / 86 / 전라남도 목포시 / A ) 시원 ( 최시원 [崔始源] / 87 / 서울특별시 강동구 / B ) 려욱 ( 김려욱 [金厲旭] / 87 / 인천직할시 북구 / O ) 규현 ( 조규현 [曺圭賢] / 88 / 서울특별시 노원구 / A ) |
데뷔 | 2005년 11월 6일 정규 앨범 <Super Junior05> |
활동기간 | 2005년 11월 6일 ~ 현재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산하 LABEL SJ |
공식색 | 펄 사파이어 블루 |
팬덤 | E.L.F. (엘프) |
'아시아의 등용문'이라는 타이틀로 데뷔했다. 첫 데뷔 무대에 1000명이 넘는 팬들이 운집한 이례적인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2005년 11월 6일에 데뷔했다.
데뷔한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현역 아이돌 중에서는 원로급이 되었다.
활동하는 2세대 남자 아이돌 중 국내 뿐 아니라 해외 팬덤의 규모 탑 시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 중화권, 동남아를 아우르는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2012년엔 정규 6집 Sexy, Free & Single을 통해 이례적인 음반 판매량(가온 기준 한 달 판매량 335,744장 -2012 연간 판매량 480,622장- 2014년 기준 509,224장으로 하프밀리언 달성)을 기록했으며, 한 때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최다 수상자이기 했다.
특히 유럽권과 중국, 동남아시아에서의 인기가 대단한데 해외 팬들은 한국의 특정한 가수만 좋아하기보단 K-POP의 문화 자체를 좋아하는 특성에 반해 이례적으로 코어 팬덤이 빠르고 넓게 형성되었다.
특히 월드투어 브랜드 'SUPER SHOW'는 K-POP 가수들 가운데 투어의 규모가 가장 크고 넓다.
월드투어 SUPER SHOW를 통해 아이돌 최초 콘서트의 브랜드화를 이룩했으며 2019년 7월 기준으로 총 140회, 그리고 2018년 11월 30일과 12월 1일에 개최된 SUPER SHOW 7 도쿄 돔 콘서트를 통해 통산 200만명의 누적 관객을 기록했다.
한류의 인기를 해외에서 개척한 그룹이라는 수식어는 과장이 아니다.
'슈퍼주니어'는 단순한 그룹을 뛰어넘은 하나의 브랜드 가치로 성장했다.
동남아권 뿐만 아니라 특히 중화권에서는 임팩트를 가진 가수이다.
한국에서 H.O.T.가 콘서트를 하는 날에는 조퇴 금지령을 내렸던 것처럼 중국에서는 슈퍼주니어가 콘서트를 하는 날에는 도로 통제령을 내렸다.
콘서트 암표 가격의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으며 중화권에서 중화권과 한국의 가수를 통틀어 신인상과 대상을 함께 수상한 최초의 가수다.
일부 한국 가수들도 중화권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신드롬' 으로 부르는 경우는 처음이었고, 시상식은 자국에서 활동하는 중화권 가수들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이다.
2014년 들어서는 중국의 최초 음악 순위제 프로그램인 '방상방'에서 한국인 멤버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유닛 슈퍼주니어-M이 미니앨범 'Swing!'으로 2회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하는 엄청난 기록을 세웠다.(중화권의 국민가수인 조비창을 누르고 이뤄낸 쾌거이다. EXO-L이 '시기가 안 맞아서 그렇지 EXO가 1위를 달성했을 것'이라고 했지만 어떤 투표에서 3시간 만에 100만 표가 차이가 났기 때문에 절대 그렇게 될 수 없다.) 의외로 한국에서는 슈퍼주니어의 아성이 굉장히 축소되고 저평가되고 있다.
심지어 일주일에 해외에서 상을 6개나 받았는데도 기사도 쓰지 않았으며 월드투어의 다양한 신기록은 언플조차 없다.
심지어 4집 <미인아 (BONAMANA)>가 대만에서 100주넘게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도 SM엔터테인먼트에서 전혀 보도기사를 내주지 않아 멤버들이 라디오에서 직접 얘기하고 후속취재한 기자들이 기사를 투고했을 정도.
H.O.T.로 대표되는 1세대 아이돌과 EXO, 레드벨벳으로 대표되는 3세대 아이돌 사이의 간극을 잇는 동방신기와 SS501과 함께 같은 세대를 공유하며 어깨를 나란히 했던 2세대 아이돌의 대표격인 그룹.
대중에게 이미 알려져 있던 시원, 기범, 희철을 주축으로 SM엔터테인먼트에서 연습생 4대천왕중 하나였던 이특, SM공개오디션에서 외모 1위로 각각 선발된 동해, 강인, 성민, 그리고 2004년 친친가요제에서 은상을 수상한 려욱, 2005년 친친가요제에서 동상을 수상한 규현, 중국 현지 오디션으로 치열한 경쟁을 뚫은 한경, 댄스대회에 참가했다 춤실력을 눈여겨본 SM 매니저에 의해 발탁된 신동, 보컬로 SM공개오디션에 합격한 예성, 일찌감치 H.O.T. 장우혁의 뒤를 이을 에이스로 이름을 떨치던 은혁 등 쟁쟁한 능력을 갖춘 멤버들로 구성되었다.
SM엔터테인먼트에서는 현재 NCT와 같은 체제의 로테이션 그룹으로써 슈퍼주니어를 05년에 탄생한 첫 로테이션 그룹 'SuperJunior05'로 작명되었으며 졸업과 입학으로 연기자라인과 가수라인을 내보내고 인원을 충원하는 방식을 목표하였다. 즉, 애당초 연도별로 기수를 매겨 3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팀으로서 기획된 것.
SM엔터테인먼트는 SuperJunior05에 쟁쟁한 실력자 및 이미 대중에 알려진 꽃미남 배우들이 포진해 있었으며 이미 데뷔 전에 팬덤을 보유하고 있던 그룹이었기에 데뷔하자마자 화제성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고 1위를 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실제 SuperJunior05는 2005년 11월 6일 데뷔당일 수천명의 팬들이 SBS 등촌동 공개홀 뒷뜰에 모여들었으며 이들의 응원을 받고 무대를 성공리에 마쳤다.
또한 방송국 뒷뜰에서 간단히 멤버 소개 및 감사인사와 함께 팬들과 단체사진을 찍으며 비공식 깜짝 팬미팅을 하기도 했다. 실제 2005년 11월 6일 SBS 인기가요를 보고 그날부터 팬이 되었다는 입덕 후기가 상당하다.
이미 희철, 기범, 시원이 주축이 되었던 SuperJunior05 데뷔가 일찌감치 알려져 있었고, 독보적인 외모로 단연 눈에 띈 덕분이다.
그러나 10대들의 마음은 사로잡았을지 언정 'Twins (Knock Out)' 라는 정통 SMP 장르의 곡은 사회비판적 가사와 강렬한 기타 사운드가 대중들에게 접근되기 어려웠다.
이에 SuperJunior05의 큰 화제성만큼이나 음악방송 1위를 기대했던 SM엔터테인먼트로서는 1집 타이틀곡인 'Twins (Knock Out)' 활동을 접은 후 SuperJunior05의 리더인 이특에게 후속곡 'Miracle'이 성공하지 못하면 그룹 해체를 다짐하며 배수의 진을 친다.
당시 어린 나이였던 이특은 이러한 회사의 일방적인 통보에 무척 전전긍긍하며 홀로 속앓이 했음에도 이에 대해 12년인 슈퍼TV를 통해서야 비로소 당시 심경을 멤버들에게 털어놓았다.
이후 'Miracle'은 SMP곡인 'Twins (Knock Out)'와 전혀 다르게 SuperJunior05의 밝고 생기발랄한 모습을 뮤비와 무대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Twins (Knock Out)'은 발랄한 곡이지만 중간에 메인댄서들이 댄스브레이크로 완벽한 댄스퍼포를 구사하고, 려욱, 예성, 강인, 성민 등 메인보컬들의 완성도 높은 보컬, 특히 후반부 예성의 고음애드립이 인상적인 곡으로 SuperJunior05 멤버들의 매력과 개성, 가창력과 댄스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SuperJunior05는 음악방송 1위 후보까지 진입하며 아쉽게 2위에 그치지만 대중들에게 'Miracle'과 SuperJunior05가 인식된다.
또한 멤버들 간의 유대, 예능 출연, 충성도 높은 팬층, 해외에서의 폭발적인 인기는 상기한 데뷔 초창기의 불안정했던 시기에서 비롯된 위기의식 또한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만큼 SM엔터테인먼트에서는 SuperJunior05 멤버들의 의견과 팬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2006년 'U' 발표 직전 규현을 마지막 13번째 멤버로 영입함으로서 비로소 정식그룹 '슈퍼주니어'로 명명한다.
이수만 대표는 이후 K-POP 강연에서 '이렇게까지 잘 될 줄 몰랐는데 놀랍다. 처음에는 로테이션 그룹에 불과했는데 너무 열심히 하니 회사에서도 도와주게 되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이는 로테이션 그룹을 그룹 멤버와 팬들이 하나가 되어 정식그룹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이뤄낸 성과를 일견 폄하한 발언으로서 두고두고 비판을 받고 있다.
정식 그룹 전환과 동시에 2006년 6월 2일, 팬클럽 E.L.F.를 창설하였다.
팬클럽명은 영원한 친구의 약자인 Ever Lasting Friends로 16년차에 접어드는 긴 시간 동안 변함없이 슈퍼주니어를 사랑하고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SuperJunior05는 원래는 일본의 로테이션 제도를 한국에 적용한 그룹으로 기획되었으며, 1년마다 멤버 전원을 교체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등용문 같은 그룹이었다.
13인의 다인원이 무대에섰을때 멤버 전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댄스가 장관이다.
슈퍼주니어의 트레이드마크인 칼군무 곡으로는 데뷔곡 'Twins (Knock Out)', 첫 1위를 차지한' U', 정통 SMP로 회귀한 2집 타이틀곡 '돈 돈! (Don't Don)'이 대표적인 칼군무로 꼽힌다.
대표되며 '따로또같이' 안무를 구사한 대표적인 곡으로 슈퍼주니어를 한류제왕으로 굳건히 만들어준 세계적인 댄스곡 'Sorry, Sorry'가 있다.
그러나 강인의 입대를 시작으로 장장 8~9년에 걸쳐 진행되어 왔던 멤버들의 로테이션 활동과 한경의 소송 등으로 13명의 완전체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한경의 소송 이후 중국에서의 행보로 인해 한경의 탈퇴를 인정하게 되면서 13이란 숫자보다는 슈퍼주니어에 집중하자는 이야기도 대두되었으며 팬덤 내에서도 탈퇴한 한경, 기범, 강인, 그리고 결혼을 전후한 논란으로 팬덤 내에서 사실상 제명된 성민의 영향으로 13인 지지, 12인 지지, 11인 지지, 9인 지지로 나뉘어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한 팬덤 내 견해 차로 인한 갈등이 팽배했던 가운데 9집 완전체 활동을 앞두고 한국 팬덤 구성원이 퇴출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여 강인, 성민의 9집 활동 불참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내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강인은 1개월 뒤 자진 탈퇴를 발표하고 슈퍼주니어에서 공식 탈퇴하였다.
2019년 현재는 9명의 멤버 '이특-희철-예성-신동-은혁-동해-시원-려욱-규현'이 슈퍼주니어 활동이 가능한 멤버로 팬덤 내에 기정사실화 되었다.
여담으로 슈퍼주니어 13명의 파트가 전부 있는 곡도 단 3곡밖에 안 된다.
선술한 논란으로 인해 현재 활동 휴지 중인 성민의 경우, 해외 팬덤 구성원이 이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며 활동 재개를 요청하고 있으나 팬덤의 중심축인 한중일 팬덤의 강력한 보이콧 강도를 감안할 때 합류 가능성은 요원해 보인다.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성민의 발언, 태도가 슈퍼주니어 및 팬덤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한중일 팬덤을 중심으로 강력한 퇴출 운동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동방신기 데뷔 후 SM이 연습생 2군을 정리하기 위해 한방에 내보낸 그룹'이라는 설이 한동안 정설에 가깝게 받아들여졌을 정도로 멤버들 하나하나의 면면은 솔로로 데뷔해 대박을 낼 정도의 완전체라고 하긴 어려웠다.
하지만 예능에서 필사적으로 쌓아올린 '친근한 옆집 형/오빠'의 이미지와 함께 멤버들 간의 시너지가 어울려 롱런하는 그룹으로 자리잡았다.
팬들 사이에선 슈퍼주니어에 덜 미친 자는 있어도 안 미친 자는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멤버들도 인정하는(슈퍼주니어의 매니저들이 '이런 신화 같은 놈들!' 이라는 욕을 하며 화를 낸 것은 당사자들도 알고 있는 일화이다.) 현직 가요계 최고의 비글 그룹으로 인정받고 있다.
후배 그룹들 중 비글 그룹으로 인식되는 비투비, 걸그룹 중에서는 EXID 같은 그룹들이 나오지만 여전히 슈퍼주니어 수준의 비글 그룹은 나타나지 않았다.
멤버들과 함께 예능을 하면 희철이 가장 얌전하다. 혼자 하는 예능에서는 완전 또라이 캐릭터지만 슈퍼주니어에선 가장 조용하다.
숙소 침대 외의 장소에서 잠들면 물벼락을 맞은 뒤 "상쾌해요"라고 외쳐야 하는 벌칙을 받는 게임과 데뷔 5년차에 후배의 대기실로 직접 찾아가 90도로 인사하며 신인 가수로 코스프레를 해야 하는 게임 등을 직접 개발해서 놀았던 일화도 유명하다.
휴가를 보내놨더니 타 멤버들을 수영장에 던지면서 본인들끼리 예능을 찍는 등 자타공인 케이팝 최고의 비글미를 자랑한다. 이는 같은 소속사 선배였던 신화의 계보를 연결한다.
각종 예능에선 게스트가 없어도 멤버들끼리 던져놓으면 레전드 영상을 생성하지만 회사는 데뷔 초를 제외하곤 방송국에서 제의가 들어와도(콘서트 축하 쌀 화환, PD SNS의 대놓고 섭외 요청, 멤버들의 인터뷰 내용 근거) 단체예능 출연, 단독 리얼리티 편성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간 아이돌에 출연했을 당시에는 토크 부분만으로 뒤에 코너를 촬영할 필요도 없이 분량을 충분히 뽑았다.
최근 8집 컴백 후 두 번째 출연 때는 반으로 줄어든 멤버 수와 달리 반이나 늘어난 산만함을 보여주었다.
2018년 1월 XtvN에서 슈퍼TV를 론칭하며 드디어 슈퍼주니어 단독 예능이 생겼다.
슈퍼주니어-M의 정식 멤버인 조미를 둘러싼 논쟁은 현재까지도 팬덤 내의 뜨거운 감자이다. 오랜 세월 헨리와 조미가 슈퍼주니어-M으로써 같이 활동해오고 SUPER SHOW 4를 시작으로 점차 콘서트에서의 참여지분도 높아졌으며, 팬덤은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멤버 교체의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확실히 이 기회에 정리할 것인가, 예전과 상황이 달라졌으니 헨리와 조미를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해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기획 당시의 취지에 맞게 MC, 개그, 연기, 뮤지컬 등 여러 방면으로 나가고 있는 멀티플레이 댄스 그룹이다.
멤버 수가 많다는 점을 강점을 살려 최초로 유닛 형태의 활동을 시도하기도 했다.
트로트 유닛을 시도했던 슈퍼주니어-T, 중화권을 노린 슈퍼주니어-M, 보컬에 특화된 유닛인 슈퍼주니어-K.R.Y, 멤버 은혁과 동해가 함께 하는 슈퍼주니어-D&E 행사 전문 유닛 슈퍼주니어-Happy 등 다양한 유닛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기획사가 의도한 바와 달리 스스로 생존하고 발전하는 잡초같은 생명력의 그룹.
15주년인 2020년까지 정상 장기집권 중이다. 다만 5인 시절의 동방신기의 2군으로 기획되었던 초기 콘셉트 때문인지 보이그룹의 1인자나 SM 내 1인자의 이미지보다 2인자의 이미지가 강하다. 이는 H.O.T.와 신화의 관계와도 유사하다.
하지만 SM 매출의 공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맏형라인, 특히 리더 이특의 부재로 인한 2013년에는 앨범을 발매하지 않고 콘서트 투어만 진행했음에도(SM의 현재 매출구성은 음반 10.27%, 음원 9.50%, 출연료 39.40%, 광고 13.88%, 초상 외 26.95% 정도이다.) SM 실적 1위에 올랐다.
백댄서가 필요없는 대형 인원이 한꺼번에 칼같이 움직이다가도 시시각각 변하는 안무 대형이 특징이다.
데뷔곡 'Twins (Knock Out)'부터 'Sexy, Free & Single'까지 절도 있는 군무를 보면 독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여전히 퍼포먼스 탑 시드 그룹이다. 'U' 안무 영상은 실시간 검색어에도 오르며 화제를 낳기도 했다.
신비주의형 아이돌과는 다른 이 전략은 기획사의 의도보다는 멤버들이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생명력을 얻었으나 이미지 소비를 통해 친근하고 쉬운 이미지와 살아남기 위해 예능에서 자극적인 면모로 사건사고 많은 그룹의 이미지에 가볍고 말실수가 잦은 이미지도 덧씌워졌다.
또한 신인 시절 뿐만 아니라 정상에 올라선 지금까지도 그를 이용한 PD와 연출자들의 자극적 프로모션에 희생양이 되고 있다.
데뷔 초기에는 TV를 틀기만 해도 나온다고 할 정도로 미디어 노출이 잦고, 공중파 및 케이블의 예능 및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종횡무진 활약했으나 예능라인 멤버들의 군 입대를 기점으로 미디어 노출도 2012년을 기점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하지만 멤버들이 제대와 소집해제를 하며 다시 미디어 노출이 잦아졌고, 지금도 여전히 출연하는 프로그램마다 명실상부 예능돌과 MC돌의 면모가 드러난다.
메인보컬 3인방(예성, 려욱, 규현) 불후의 명곡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차례로 1위를 석권하며 실력파 보컬로써의 입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특히 예성의 부활 '사랑할 수록', 규현의 김동률 '기억의 습작' , 려욱의 '봉선화 연정'은 주 시청자들뿐만 아니라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며 대중들에게 큰 화제를 낳았다. 또한 복면가왕에도 출연해 자신들의 보컬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Super Junior05 | Twins (Knock Out) | 2005년 12월 5일 |
2 | 돈 돈! (Don't Don) | 돈 돈! (Don't Don) | 2007년 9월 20일 |
3 | Sorry, Sorry | Sorry, Sorry | 2009년 3월 12일 |
4 | 미인아 (BONAMANA) | 미인아 (BONAMANA) | 2010년 5월 13일 |
5 | Mr. Simple | Mr. Simple | 2011년 8월 3일 |
6 | Sexy, Free & Single | Sexy, Free & Single | 2012년 7월 4일 |
7 | MAMACITA (아야야) | MAMACITA (아야야) | 2014년 9월 1일 |
8 | PLAY | Black Suit | 2017년 11월 6일 |
9 | Time_Slip | SUPER Clap | 2019년 10월 14일 |
정규 앨범 리패키지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2 | 돈 돈! (Don't Don) (Repackage) | Marry U (New Ver.) | 2007년 11월 5일 |
3 | 너라고 (It's You) (Repackage) | 너라고 (It's You) | 2009년 5월 14일 |
4 | 미인아 (BONAMANA) (Repackage)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2010년 6월 28일 |
5 | A-CHA | A-CHA | 2011년 9월 19일 |
6 | SPY | SPY | 2012년 8월 5일 |
7 | THIS IS LOVE | THIS IS LOVE (Stage Ver.) | 2014년 10월 23일 |
8 | REPLAY | Lo Siento | 2018년 4월 12일 |
9 | TIMELESS | 2YA2YAO! | 2020년 1월 28일 |
기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 U | U | 2006년 6월 7일 |
10주년 기념 스페셜 앨범 | DEVIL | DEVIL | 2015년 7월 16일 |
10주년 기념 스페셜 앨범 리패키지 | MAGIC | MAGIC | 2015년 9월 16일 |
8집 리패키지 선행 싱글 | Super Duper | Super Duper | 2018년 3월 23일 |
스페셜 미니앨범 선행 싱글 | Animals | Animals | 2018년 9월 27일 |
스페셜 미니앨범 | One More Time | One More Time (Otra Vez) (Feat. REIK) | 2018년 10월 8일 |
'┗옛 보이그룹 > SS501 | 슈퍼주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501 프롤로그 (1) | 2020.05.10 |
---|
SS501 프롤로그
그룹명 | SS501 더블에스501 |
유닛 | Double S 301 (허영생, 김규종, 김형준) |
멤버 |
L 김현중 ( 金賢重 / 86 / 서울특별시 송파구 / B )
허영생 ( 許永生 / 86 / 경기도 광주시 / O )
김규종 ( 金圭鐘 / 87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 A ) 박정민 ( 朴政珉 / 87 / 서울특별시 강남구 / O )
김형준 ( 金亨俊 / 87 / 서울특별시 중구 / O ) |
데뷔 | 2005년 6월 23일 싱글 앨범 <1st SS501> |
활동기간 | 2005년 6월 8일 ~ 2010년 7월 11일 |
소속사 | DSP미디어 |
공식색 | 펄 라이트 그린 |
팬덤 | 트리플 S |
2005년 6월 8일 데뷔한 한국 아이돌 그룹.
공식색은 펄라이트그린, 공식 명칭은 '더블에스 오공일'로, Super Star 다섯(5) 명이 영(0)원히 하나(1)라는 뜻이다.
초기에는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않아 '에스에스 오공일' 이라 부르거나 군대에서는(특히 포병대에서는) '에스에스 오공하나'SS라 부르기도 했다.에스두개 오공일도 있었다
이는 H.O.T.와 함께 하나의 세대 구분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웹툰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 56화에서 관련 에피소드가 나왔는데 해당 화의 댓글에 얘네들 데뷔할때 "안녕하세요 에스에스오공일입니다" 라고 했어요 라는 증언이 쏟아졌다.
아시아 가수 최초로 오리콘 차트 TOP10에 선정되었다.
2014년에 터진 김현중의 여자친구 상습 폭행 혐의와 친자 논란으로 김현중의 이미지는 매우 나빠졌다.
2010년 6월 DSP미디어와의 계약이 만료로 리더인 김현중의 거취에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결국 김현중은 키이스트와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김현중의 타 기획사 이적 결정에 따라 김현중 개인 팬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트리플 내에서는 충격과 혼란이 큰 모양. 겉으로 보기에도 리더 김현중이 다른 멤버들을 버리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계약 만료 이전에는 라디오 스타 등의 방송에서 "몇 억을 주어도 이적하지 않겠다" 는 등의 발언을 하였고 배용준의 기획사와 접촉하였다는 소문을 단순한 루머로 일축시키며 오빠 믿지? 스킬을 시전하였으나 다 거짓이었다.
이후 아무런 입장 발표도 하지 않은 채 LA로 떠나버리고 귀국하여 처음 발표한 소식이 장난스런 키스 드라마 주인공 발탁. 이 덕분에 트리플은 오빠 믿어요vs내 5년 돌려줘 이렇게 두 가지 입장으로 공중분해 되었다.
사실 모 선배 그룹의 해체 과정 당시 있었던 난리 이후로 아이돌계에서 "우리 해체해요" 하고 공식 발표하는 인기 그룹은 거의 없다.
소속사 선배였던 핑클도 공식적으로는 해체되지 않았지만 멤버들이 뿔뿔히 흩어져서 해체로 인식되고 있는 걸 보면... 결론은 사실상의 해체인 셈이다... 김현중과 박정민이 군복무 중인 관계로 2016년에 유닛으로 먼저 컴백했으며, 추후 완전체로 컴백하겠다고 밝혔다.
키이스트에서는 "김현중은 그룹 활동을 계속 하고 싶어한다, 어떤 결정이 내려져도 김현중의 의사를 적극 존중할 생각이고 SS501 활동에도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 는 뜻을 밝혔지만 이후 김현중은 개인 인터뷰에서 "사실상 재결합은 무리" 라고 입장을 밝혔다.
다른 멤버들은 그룹 활동에 대해 섣불리 발언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팬들로부터 많은 원성을 샀다.
한편 박정민이 대만 소니 뮤직과 계약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이에 박정민 측은 제안은 있었지만 아무 곳도 계약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결국 10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CNR 미디어로 이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함으로써 4월 초 대만발 기사로 이미 발표된 차오즈핑과의 경영 계약설이 사실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후 김형준이 에스플러스엔터테인먼트로, 김규종과 허영생이 B2M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아무도 DSP와 재계약하지 않았다.
멤버 박정민과 김형준이 솔로로 컴백하여 활동하였고 허영생도 솔로 컴백했다.
멤버들도 "언젠가는 다시 뭉친다"고 강조하고 있다.
활동 중단 후에도 그룹 때와 마찬가지로 멤버들이 소속사로 인해 쉽게 국내에 컴백하지 못하고 해외를 돌고 있는데, 그 중 박정민의 고생이 유달리 심하다.
첫 개인 소속사에서 앨범을 안 내줘서 사비로 앨범을 발매했더니 수익은 전혀 받지 못했고, 소속사와의 소송으로 인해 여론이 안좋을 것을 우려해서 국내 컴백을 시도조차 못했다.
이후 옮긴 소속사는 자금 사정이 열악해 활동하지 못한 채 금방 나온 뒤에는 중화권과 일본에서 근근이 버텼다.
한국에서 앨범을 발매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일본에서라도 음악 활동을 지속했다고 밝혔다.
김규종은 올해 신경마비로 고생했다고 밝혔으며, 허영생은 데뷔 때부터 함께한 매니저 전 씨깨워줘서 고마워의 그 분 맞다에게 8000여만 원을 횡령당해 통수를 거하게 맞았다.
허영생이 의경 복무할 당시 주말마다 하던 공연에 김규종과 김형준이 함께한 적이 있다.
원래 비밀로 하기로 했으나, 공연일 직전 난데없는 김형준의 스포일러로 대문짝만하게 기사가 뜨더니 실시간 검색어 1위까지 찍는 등 일이 커졌다(...).
원래 사전 예약제라 이미 예약해둔 팬들이 있었으나 이 스포일러로 다 엎어져서 전날 밤부터 경찰청 앞에 입장줄이 세워졌다.
갑작스러운 소식에도 굉장히 많은 팬들이 몰렸는데, 해외팬도 많이 섞여있어 현장에 있던 한국 팬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당일 아침에 경찰청 앞에 늘어선 여자떼(…)에 기함한 경찰을 설득해 결국 명단이 세워졌다.
주말에 날아든 갑작스러운 공연 소식임에도 600명 가까이 입장했지만 자리 부족으로 발길을 돌린 팬들이 무척 많았다.
입장한 사람들도 좌석이 모자라 계단같은 곳까지 꽉꽉 채워 앉았다.
이 때는 입장 시간이 한 시간 가량 앞당겨 졌는데도 입장하느라 공연 시작 시간이 딜레이됐다.
여담으로 이 날 허영생은 실검 1위를 언급하며 아직 안 죽었다고 뿌듯해했다.
스포한 장본인은 일이 이렇게 될 줄 몰랐다고. 셋이 검은 옷을 맞춰 입기로 해놓고 허영생만 붉은 계열의 옷을 입었다. 박정민은 이 때 몸이 아파 함께하지 못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1st SS501 | 경고 | 2005년 6월 22일 |
싱글 2집 | 2nd SS501 | Snow Prince | 2005년 12월 5일 |
정규 1집 | S.T.01 Now | 4Chance | 2006년 11월 10일 |
싱글 3집 | DEJA VU | 데자뷰 | 2008년 3월 13일 |
미니 1집 | Find | Find | 2008년 7월 28일 |
스페셜앨범 | SS501 스페셜앨범 | U R Man | 2008년 11월 24일 |
DRAMA OST | 꽃보다 남자 OST | 내 머리가 나빠서 | 2009년 1월 8일 |
미니 2집 | REBIRTH | Love Like This (네게로) | 2009년 10월 22일 |
미니 3집 | DESTINATIO | Love Ya | 2010년 5월 24일 |
'┗옛 보이그룹 > SS501 | 슈퍼주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주니어 프롤로그 (1) | 2020.05.10 |
---|
2NE1 투애니원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What's up we're 2NE1! "
그룹명 | 2NE1 투애니원 21세기의 New Evolution |
멤버 |
박봄 ( 朴봄 / 84 / 서울특별시 / AB )
산다라박 ( 朴산다라 / 84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A )
L CL ( 이채린 [李彩麟] / 91 / 서울특별시 / A )
공민지 ( 孔旻智 / 94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 O ) |
데뷔 |
2009년 5월 6일 디지털 싱글 <Fire> |
활동기간 | 2009년 5월 17일 ~ 2016년 11월 25일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팬덤 | BLACK JACK (블랙잭) |
2009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YG엔터테인먼트 소속 여성 아이돌 힙합 걸그룹.
CL(리더, 래퍼, 리드보컬), 박봄(메인보컬), 박산다라(보컬, 랩), 공민지(보컬, 랩) 4인조로 활동을 하였다가 2016년 5월 4일 공민지가 탈퇴하여 잠시 3인조가 되었다.
하지만 3인조 활동은 해보지도 못한 채 박봄 탈퇴로 2인조가 된 상태에서 2016년 11월 25일 공식적으로 해체가 발표되었다. 마지막 앨범은 2017년 1월 21일 발매되었고 제목은 "안녕 "이다.
음원 강자 걸그룹 중 한 팀으로 유명했으며, 걸그룹 중 최초로 정규앨범의 모든 수록곡들을 음원 차트에서 줄 세우기한 기록까지 보유하고있다.
그런데 해체를 한지 약 3년만인 2019년 5월 17일에 멤버 완전체가 드디어 뭉쳤다!
재결합을 위해 뭉친 건 아니지만, 2NE1의 데뷔 10주년을 맞아서 뭉쳤고, 10주년 기념으로 4명이 함께 인스타그램 라이브도 하면서 팬덤인 블랙잭과 대중들에게 오랜만에 추억을 가져오며 동시에 "정말 2NE1 재결합을 했으면 좋겠다." 라는 바람도 가지게 했다.
가능성이 없지는 않는데, 멤버들 역시 재결합에 대한 의지가 누구보다 강한 편이다.
일찍 소속사를 옮긴 공민지는 뮤직웍스 측에서 데뷔앨범 이후 별다른 활동을 시켜주지 않아 분쟁소송에 들어갔다.
박봄은 디네이션으로 소속사를 옮겨 솔로 활동 중이고, CL은 YG와 계약이 만료된 후 1인 기획사를 설립하여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산다라박은 활발한 방송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YG와의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박봄과 산다라박이 2019년 들어 이런저런 콜라보를 진행했다.
고정 출연한 컴백전쟁: 퀸덤에서도 2NE1을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이며 재결합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데뷔
투애니원 데뷔 이전에 여자 연습생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YG의 차기 신인 그룹은 '여자 빅뱅'이라는 소문이 제시되었다.
2009년 4월 빅뱅과 함께 한 CYON 광고 및 광고 삽입곡인 롤리팝을 통해 실체를 드러내며 처음 대중에게 얼굴을 보였다.
그리고 롤리팝 음원 성적이 초대박을 쳐서 방송 활동을 일절 하지 않았는데도 각종 음원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화제가 되었고, 심지어는 CM송 최초로 뮤직뱅크에서 K-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한, CYON 홈페이지에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자 사이트가 먹통이 되었고, 나중에 뮤비 다운로드 링크를 다른 서버로 열었다.
2009년 5월 정식 데뷔곡인 디지털 싱글 'Fire'가 각 음원사이트에 공개되었다.
이례적으로 뮤직비디오가 'Space'와 'Street' 2가지 버전으로 나뉘어졌다.
'Street 버전'은 힙합 컨셉이며 'Space 버전'은 말 그대로 우주적인 이미지를 담은 컨셉이다.
하지만 물론 두 뮤비 모두에서 'Lollipop'에서 보여준 패션 센스는 여전했다.
5월 17일 SBS 인기가요를 통해 방송 무대에 데뷔하였다.
컨셉
데뷔 초기부터 “센 언니들”이 컨셉이었다. 그렇기에 여성 걸그룹으로서는 독특하게도 여성 팬과 남성 안티가 많다.
안티가 생긴 주요 원인은 이성에 대한 감정을 노린 기존의 걸그룹 컨셉과 다른 이질적인 스타일, 아이돌 걸그룹치고는 투박한 외모와 YG엔터테인먼트의 과도한 마케팅, 그리고 데뷔 초기 소수 팬들이 타 아이돌을 깎아내리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남초 사이트에서는 2NE1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I Don't Care 활동이 시작되고 나서부터 남성 팬들이 급속도로 늘어났다.
현재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남성들은 이제 2NE1을 까기보다는 높은 퀄리티의 싱글을 꾸준히 발표하는 실력파 넘사벽 여성 그룹으로 인식하고 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Fire | Fire | 2009년 5월 6일 |
미니 1집 | 2NE1 1st Mini Album | I Don't Care | 2009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날 따라 해봐요 | 날 따라 해봐요 | 2010년 2월 9일 |
정규 1집 | To Anyone |
Can't Nobody Go Away 박수쳐 |
2010년 9월 9일 |
디지털 싱글 | Lonely | Lonely | 2011년 5월 12일 |
디지털 싱글 | 내가 제일 잘 나가 | 내가 제일 잘 나가 | 2011년 6월 24일 |
미니 2집 | 2NE1 2nd Mini Album | Ugly | 2011년 7월 28일 |
디지털 싱글 | I Love You | I Love You | 2012년 7월 5일 |
디지털 싱글 | Falling In Love | Falling In Love | 2013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Do You Love Me | Do You Love Me | 2013년 8월 7일 |
디지털 싱글 | 그리워해요 | 그리워해요 | 2013년 11월 21일 |
정규 2집 | CRUSH | COME BACK HOME | 2014년 2월 26일 |
디지털 싱글 | 안녕 | 안녕 | 2017년 1월 21일 |
애프터스쿨 프롤로그
그룹명 |
AFTER SCHOOL |
유닛 |
오렌지캬라멜 (레이나, 나나, 리지) 애프터스쿨 레드 (가희, 정아, 유이, 나나) 애프터스쿨 블루 (주연, 레이나, 리지, 이영) |
퇴학생 |
유소영 (1기) ( 주소영 / 86 / 서울특별시 / AB ) |
졸업생 |
베카 (1~4기) ( 김레베카 / 89 / 미국 하와이 주 / AB )
1L 가희 (1~5기) ( 박지영 / 80 / 대구광역시 / O )
이주연 (1~5기) ( 李周姸 / 87 / 서울특별시 노원구 / AB )
2L 김정아 (1~5기) ( 金廷娥 / 83 /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 O )
유이 (2~5기) ( 김유진 [金幽珍] / 88 /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O )
레이나 (3~5기) ( 오혜린 [吳惠麟] / 89 / 울산광역시 울주군 / B )
리지 (3~5기) ( 박수영 [朴修映] / 9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A )
이영 (4~5기) ( 노이영 / 92 / 강원도 춘천시 / A )
가은 (5기) ( 이가은 [李佳恩] / 94 / 서울특별시 용산구 / AB ) |
멤버 |
나나 (3~5기) ( 임진아 [林珍兒] / 91 / 충청북도 청주시 / A ) |
데뷔 |
2009년 1월 15일 싱글 앨범 <New School Girl> |
활동기간 | 2009년 1월 15일 ~ |
소속사 | 플레디스 |
공식색 | 펄 페리윙클 |
팬덤 | Play Girlz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그룹명은 '방과 후'의 자유 분방함을 표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2009년 1월 15일에 싱글 1집 《New Schoolgirl》을 발매하며 데뷔하였다.
국내에서는 이례적으로 입학과 졸업 등 멤버 변동이 자유로운 시스템으로 화제와 대중성을 잡고 전혀 다른 컨셉의 유닛까지 성공했으나 2015년부터 활동을 멈춘 채 졸업 및 계약 만료 등 멤버들의 사정에 따라 현재는 나나만 남게 되었다.
'한국의 푸시캣 돌스'라는 수식어를 달고 데뷔했으며, 데뷔 전에는 손담비가 그룹에 멤버로 참여한다는 듯한 뉘앙스의 기사로 많은 이들을 낚기도 했다.
이 외에도 확인되는 수식어는 '퍼포먼스 그룹', '최장신 걸그룹', '섹시한 걸그룹', '3S' 등이 있다.
멤버 대부분이 춤을 잘 추고 몸매가 좋다 보니 색기담당이 가능한 점도 특징.
결성 비화를 보면 회사에 소속 연습생이 덜렁 가희와 손담비 두 명뿐인 상황에서 우선 손담비를 솔로 데뷔시킨 뒤 가희와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대표 한성수가 그룹 결성을 위해 멤버들을 모으러 다녔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데뷔 앨범 《New Schoolgirl》 당시 멤버들의 과거를 보면 얼짱 출신에, 엑스트라 연기자에, 다른 팀을 거쳤거나 등등 이래저래 고생을 많이 한 인물들이다.
손담비가 <미쳤어>로 성공하기 전에는, 실패한 솔로들이 종종 그러하듯 애프터스쿨에 영입해 실제 멤버로 활동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컨셉 관리의 실패와 멤버 졸업, 일본활동의 집중 등으로 'Bang!' 때의 전성기를 회복하지 못했다.
2013년 싱글 '첫사랑' 이후로 멤버들이 다수 탈퇴하고 솔로활동에 집중하였으며 유닛활동마저 오렌지 캬라멜이 2014년 '나처럼 해봐요' 이후로 활동을 중단하여 사실상 해체 상태이다.
과할 정도로 소속사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지만 이를 지적할 팬덤마저 남아있지 않은 상태.
플레디스는 이미 세븐틴과 PRISTIN으로 총력전을 옮긴 상황.
그나마 나름 연예계에서 자리를 잘 잡은 다른 멤버들에 비해 하락세인 'Flashback' 당시 졸업한 가희의 빈자리를 채우며 들어온 가은이 거의 5년 동안 컴백을 기다렸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가은이 프로듀스 48에 출연하며 밝힌 내용인데 애프터스쿨은 공식적으로 해체한 것은 아니지만 사장에게서 출연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팀이 사실상 해체라는 것이 밝혀졌다.
멀쩡한 연습생을 데뷔시킨 뒤에 컴백도 안 시켜주고 5년이나 계약으로 묶어놓은 플레디스에 대한 비난 여론이 상당하다.
솔로 활동은 유이가 2016년 MBC 연기대상 후보에 들만큼 결혼계약으로 성공적인 연기로 호평을 받았고, 나나는 굿와이프로 모두의 우려를 깨고 배우 연기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레이나는 산이와의 콜라보레이션 음원인 <달고나>, JTBC 예능 싱포유의 프로젝트 음원인 <징글징글징글벨> 등 음원을 발표하고 노래 대결 프로그램에 나와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리지는 뷰티 프로와 예능 프로에서 끼와 매력을 발산하였다.
이영은 정말 생존신고를 안 하기 때문에 감감무소식이다(...).
가은은 화려하고 능숙한 디제잉 솜씨로 DJ 활동을 하고 있으며 드라마에서 카메오로 캐스팅되었다.
멤버들의 평균신장이 상당히 높다. 거의 170cm 언저리에 가 있으며 이정도로 장신 걸그룹은 나인뮤지스, 여자친구, 소나무, 베이비복스 정도에 불과하다. 핑클의 경우는 이효리 혼자 평균신장을 많이 깎아서 이 걸그룹 대열에 합류하지는 못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New School Girl | AH | 2009년 1월 15일 |
디지털 싱글 | Diva | Diva | 2009년 4월 9일 |
싱글 2집 | 너 때문에 | 너 때문에 | 2009년 11월 25일 |
싱글 3집 | Bang! | Bang! | 2010년 3월 25일 |
정규 1집 | Virgin | Shampoo | 2011년 4월 28일 |
싱글 4집 | RED | 밤 하늘에 | 2011년 7월 20일 |
BLUE | 원더보이 | ||
싱글 5집 | FLASHBACK | FLASHBACK | 2012년 6월 20일 |
싱글 6집 | 첫사랑 | 첫사랑 | 2013년 6월 13일 |
싱글 | 일주일 | 일주일 | 2014년 2월 21일 |
'┣옛 걸그룹 > 애프터스쿨 | 오렌지 캬라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 캬라멜 프롤로그 (0) | 2020.05.18 |
---|
동방신기 프롤로그
그룹명 | TVXQ! 동방신기 東方神起 |
前 멤버 |
영웅재중 ( 김재중 [金在中] / 86 / 충청남도 공주시 / O )
믹키유천 ( 박유천 [朴裕仟] / 86 / 서울특별시 강동구 / O )
시아준수 ( 김준수 [金俊秀] / 86 / 경기도 고양군 지도면 / B ) |
멤버 |
L 유노윤호 ( 정윤호 [鄭允浩] / 86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 A )
최강창민 ( 심창민 [沈昌珉] / 8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O ) |
데뷔 | 2004년 1월 14일 싱글 앨범 <Hug> |
활동기간 | 2003년 12월 26일 ~ 2010년 3월 (5인) 2010년 8월 ~ 현재 (2인)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레드 |
팬덤 | Cassiopeia (카시오페아) |
2003년 12월 26일에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2인조 보이그룹이다.
남자 아이돌 그룹. 신화가 아이돌 그룹의 생명 연장에 이바지하고, 슈퍼주니어, 빅뱅, 소녀시대, 원더걸스가 2세대 아이돌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동방신기는 2세대 아이돌의 시초라 할 수 있다.
YG와 JYP 등지에서 2세대 아이돌 그룹들이 등장하기 전까지 SG워너비와 조영수를 필두로 가요계 트렌드를 R&B 소울 발라드가 잠식시킨 시기에 사실상 비교적 대중적 트렌드를 유지하며 활동한 당대 유일한 댄스 아이돌이었다고 볼 수 있다.
작명 당시에 거창하게 여겨졌던 팀명은 '동방에서 신이 일어나다'는 의미다.
이를 통해 이 그룹 자체가 아시아 음악 시장 제패를 목표로 계획된 프로젝트임을 짐작케 한다.
특히 멤버들의 예명을 4글자로 맞춘 것은 중국 시장을 노리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보아의 성공적인 일본 메이저 시장 진출을 기반으로 기존의 중국 음악시장을 타겟으로 삼고자 했지만 일본 위주의 활동을 펼치게 되어 본래의 기획 의도와는 조금 다른 활동 노선을 걷게 된다.
캐치프레이즈는 We Are T!. 2인조 재편 이후이자 데뷔 9년차에 접어들 쯤에 고안된 인사법으로 팬들과 함께 진행하는 인사법이다.
동방신기의 멤버들이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의 재치 발랄한 캐치프레이즈가 부러워 TONE 투어에서 제안했다.
2015년 12월 19일 기준으로 총 14,143,519장의 누적 판매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대한민국 아이돌 (가수) 그룹으로서는 처음으로 앨범 판매량 총 1000만 장의 위업을 달성했다.
2016년부터 동방신기 멤버 두 명의 평균 연령이 30대가 되었다.
5인 시절
1990년대 중반 댄스 음악의 강세와 아이돌의 등장으로 인해 가요프로에서도 립싱크가 주를 이뤄 아이돌 그룹과 댄스 가수들의 가창력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붙게 되고 이는 자연스레 아이돌 그룹의 한계와 편견으로 굳어져 갔는 데 동방신기 역시 이러한 논란에서 마냥 자유로울 순 없었다.
'Hug' 활동 당시에는 멤버들의 앳된 목소리와 댄스곡이지만 강도가 세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커버가 되었지만 'The Way U Are'를 기점으로 전통 댄스곡 위주의 활동을 벌이게 되면서 가창력 논란은 점차 불거지기 시작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2004년 정규 1집 활동 당시 SBS와 케이블 채널에서는 후속곡을 'Tri-Angle'로 활동했던 반면 립싱크가 불가능했던 KBS와 MBC에서는 스페셜 캐롤 앨범 타이틀곡인 '마법의 성'으로 활동한 점과 2집 활동 당시 MBC 쇼 음악중심 출연 클립을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는 동방신기도 본래 H.O.T와 신화의 계보를 잇는 SMP의 적장자로서 기획된 팀이자 'Hug'를 데뷔곡으로 채택한 것은 동방신기의 자리매김을 위한 일시적인 전략이었음을 시사하는 바이기도 하다.
리드, 메인보컬 역할을 두고 각 개인팬들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영웅재중, 시아준수와 중저음도 매력적이지만 팀내 역할 분담에 의해 대부분 시원한 고음을 담당했던 최강창민, 그리고 탄탄한 중저음으로 동방신기 화음을 뒷받침하고 무대에서 시선강탈을 담당했던 리더 유노윤호, 호흡과 체력은 부족하지만 매력적인 보컬과 미국 출신으로 영어랩을 담당했던 믹키유천.
이렇게 다섯 멤버의 조화가 당시 아이돌 침체기에 이르렀던 가요계에 다시 아이돌붐을 일으키는 2세대 아이돌의 시작점이 되었었다.
5인조 동방신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Hug | Hug (포옹) | 2004년 1월 14일 |
싱글 2집 | The Way U Are | The Way U Are | 2004년 6월 24일 |
정규 1집 | TRI-ANGLE | 믿어요 Tri-Angle (Extended Ver.) (Feat. BoA & The Trax) |
2004년 10월 11일 |
스페셜 앨범 | The Christmas Gift from 東方神起 | 마법의 성 (Magic Castle) | 2004년 12월 6일 |
싱글 4집 | Hi Ya Ya 여름날 | Hi Ya Ya 여름날 | 2005년 6월 22일 |
정규 2집 | Rising Sun | Rising Sun (순수) | 2005년 9월 12일 |
스페셜 싱글 | Show Me Your Love | Show Me Your Love | 2005년 12월 16일 |
싱글 5집 | 동방의 투혼 | 동방의 투혼 | 2006년 6월 2일 |
정규 3집 | "O"-正.反.合. | "O"-正.反.合. | 2006년 9월 29일 |
정규 3집 리패키지 | "O"-정.반.합. | 풍선 (Balloons) (New Ver.) | 2006년 11월 10일 |
번안 싱글 | Purple Line | Purple Line (한국어 버전) | 2008년 1월 16일 |
정규 4집 | MIROTIC | 주문-MIROTIC Love In The Ice |
2008년 9월 25일 |
정규 4집 리패키지 | MIROTIC (SPECIAL EDITION) |
Wrong Number | 2008년 11월 12일 |
2인조 동방신기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5집 | 왜 (Keep Your Head Down) | 왜 (Keep Your Head Down) MAXIMUM |
2011년 1월 5일 |
정규 5집 리패키지 | 왜 (Keep Your Head Down) (Repackage) |
이것만은 알고 가 (Before U Go) | 2011년 3월 14일 |
정규 6집 | Catch Me(동방신기) | Catch Me | 2012년 9월 26일 |
정규 6집 리패키지 | Humanoids | Humanoids | 2012년 11월 26일 |
정규 7집 | TENSE | Something | 2014년 1월 6일 |
정규 7집 리패키지 | 수리수리 (Spellbound) | 수리수리 (Spellbound) | 2014년 2월 27일 |
스페셜 앨범 | RISE AS GOD | 샴페인 (Champagne) (Sung By U-Know) Rise As One (Sung By Max) |
2015년 7월 20일 |
정규 8집 | New Chapter #1: The Chance of Love | 운명 (The Chance of Love) 평행선 (Love Line) |
2018년 3월 28일 |
스페셜 앨범 | New Chapter #2: The Truth of Love | Truth | 2018년 12월 26일 |
'┗옛 보이그룹 > god | 동방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d 지오디 프롤로그 (0) | 2020.05.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