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걸그룹
씨스타 프롤로그
" We the B.E.S.T SISTAR! 안녕하세요! 씨스타입니다! "
그룹명 | SISTAR 씨스타 |
유닛 | SISTAR19 (보라, 효린) |
멤버 | 보라 ( 윤보라 [尹甫羅] / 89 / 서울특별시 / O ) L 효린 ( 김효정 [金孝廷] / 90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B ) 소유 ( 강지현 [姜志賢] / 92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O ) 다솜 ( 김다솜 / 93 / 경기도 광주시 / A ) |
데뷔 | 2010년 6월 3일 싱글 앨범 <Push Push> |
활동기간 | 2010년 6월 3일 ~ 2017년 6월 4일 |
소속사 | 스타쉽엔터테인먼트 |
팬덤 | STAR1 (스타일) |
대한민국의 4인조 걸그룹. 2010년 6월 4일에 데뷔했다. 상업적,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걸그룹 중 하나이자, 멤버 각각의 인지도도 높아 개인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는 그룹이다.
유닛인 '씨스타19'도 걸그룹과 보이그룹의 유닛 중에서 가장 성공했다라는 평을 듣고 있으며 탄탄한 가창력과 섹시미로 여름을 공략해 'Loving U', 'Touch My Body', 'I Swear', 'Shake It' 등을 모두 연속해 성공시켜 서머퀸이라는 칭호를 처음 얻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여름은 씨스타라는 공식이 있을만큼 굉장한 대중성이 있는 그룹이다.
한국 갤럽 선정 올해의 가수로 2012년 6위(20대 4위, 30대 4위), 2013년 7위(20대 1위, 30대 4위), 2014년 3위(20대 2위, 30대 3위, 40대 5위), 2015년 5위(20대 4위, 30대 4위), 2016년 12위를 하였을 정도로 대중적인 가수 선호도가 높다.
노래 또한 대중적 선호도가 좋아서 한국 갤럽 올해의 가요로 2011년 <So Cool>이 5위, 2012년 <나혼자>가 2위, 2015년 <Shake It>이 9위를 하였다.
2017년 6월 7일 ‘SHOW CHAMPION’를 마지막 무대 '론리' 로 음반 활동을 종료하면서, 데뷔한 지 정확히 7년이 되는 날에 대한민국 걸그룹 역사의 한 줄로 남게 되었다.
팬덤명은 ‘스타일(STAR1)’. ‘씨스타는 최고’라는 뜻과 ‘우리는 하나’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여름에 나왔거나 섹시콘셉트을 내세우는 걸그룹들의 롤모델로 꼽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소속 가수가 K.WILL이 전부였던, 소형 중의 소형 소속사에서 데뷔했다.
보통 내리사랑이나 인지도 측면에서 남자 아이돌을 먼저 데뷔시키고 여자 아이돌을 데뷔시키는 방법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그러한 시스템으로 가는데, 스타쉽에서는 여자 아이돌 그룹인 씨스타가 먼저 데뷔했다.
이 당시 대형 기획사 아이돌들을 위주로 대우하였고 그들이 대세였기에 소,중형 기획사 아이돌이 뜨기가 쉽지 않았는데, 씨스타는 데뷔곡 Push Push부터 멜론 연간 50위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한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씨스타를 중소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대형 기획사의 지원 안에서 완벽한 콘셉트트를 만들고 데뷔 자체로 주목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씨스타는 인지도를 알리기 위해 각종 예능에서 열심히 활동했고, 점점 더 성장했다.
그야말로 스타쉽의 소녀가장. 데뷔한 지 어느덧 6년차가 넘은 2016년에 케이윌과 정기고는 스타쉽의 기둥은 씨스타라고 했다. 현재 씨스타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말.매드클라운도 씨스타 하나 보고 스타쉽에 들어온 거면 말 다한거지 뭐.
1년에 1번 이상은 꼭 컴백을 하는 그룹이다.
활동 기간동안 단 한 번도 멤버 간 불화설도 없었고, 탈퇴 멤버나 변경 멤버도 없으며, 스캔들도 기사화된 적이 없다.
털털하고 내숭없는 성격에 직설적으로 말하는 편이지만, 기분 나쁘기보단 유쾌하고 사이다라는 반응이 많은 편이다.
큰 구설수나 사건사고도 없는 편이며, SNS 사건, 사고도 없다.
이런 식으로 자기 관리를 무척 잘 하고 있는 걸그룹도 많지 않으며, 해체까지 어떠한 문제도 없었던 대단한 그룹.
2013년까지는 숙소에서 모두 같이 살았으나, 2014년 이후로는 개인 스케줄들까지 있어서 바빠지다 보니 각자 독립해서 살고 있다고 한다.
데뷔곡부터 해체곡까지 모두 멜론 연간차트에 들어간 걸그룹인 동시에, 2세대 걸그룹중에서 유일하게 해체곡까지 연간차트에 올린 걸그룹이다.
데뷔 이후로 낸 타이틀곡들 중 한 곡도 망한 적이 없다. 그저 '망하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데뷔 년도인 2010년 이후부터 낸 타이틀곡들은 기본 멜론 연간 10위권 안, 못해도 20위 안에는 들며 지금까지 멜론 연간차트 TOP10에 씨스타유닛 포함 총 5곡을 올려놓았다.
또한 '소름끼칠 정도의 음원화력을 보유해서' 웬만한 음원강자 소리를 듣는 가수가 아니면 이 씨스타를 감당하기 불가능한 수준이다.
걸그룹계에선 몇 안 되게 소속사 측에서 전혀 밀지 않는 수록곡들조차도 멜론 연간중위권에 들어간 적이 있는 그룹이기도 하다.
성숙한 건강미라는 팀의 확고한 콘셉트을 가지고 있고 그 분야에서 가히 상징적인 위치에 있을 정도로 한국 대중가요계에 큰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굿바이 싱글인 <Lonely>까지도 발표 다음날 6시부터 줄곧 멜론 1위를 점령하고 있다.
경쟁자들을 생각하면 이게 해체하는 그룹 성적인지 기가 막힐 노릇.
또한 씨스타 멤버인 소유의 OST나 듀엣, 효린의 OST, 정규 1집, 듀엣도 좋은 성적을 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Push Push | Push Push (푸시푸시) | 2010년 6월 3일 |
싱글 2집 | 가식걸 | 가식걸 | 2010년 8월 25일 |
싱글 3집 | 니까짓게 | 니까짓게 | 2010년 12월 3일 |
정규 1집 | So Cool | So Cool (쏘쿨) | 2011년 8월 9일 |
미니 1집 | ALONE | 나혼자 (Alone) | 2012년 4월 12일 |
스페셜 앨범 | Loving U | Loving U (러빙유) | 2012년 6월 28일 |
정규 2집 | Give It To Me | Give It To Me | 2013년 6월 11일 |
미니 2집 | TOUCH N MOVE | Touch My Body | 2014년 7월 21일 |
스페셜 앨범 | SWEET & SOUR | I Swear | 2014년 8월 26일 |
미니 3집 | SHAKE IT | SHAKE IT | 2015년 6월 22일 |
미니 4집 | 沒我愛(몰아애) | I Like That | 2016년 6월 21일 |
디지털 싱글 | LONELY | LONELY | 2017년 5월 31일 |
레인보우 프롤로그
그룹명 | RAINBOW 레인보우 |
유닛 | 레인보우 픽시 (승아, 지숙, 현영) 레인보우 블랙 (우리, 재경, 승아, 현영) |
멤버 | 고우리 ( 高나은 / 88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 A ) 오승아 ( 吳丞芽 / 88 / 서울특별시 송파구 / A ) 김재경 ( 金栽經 / 88 / 서울특별시 마포구 / AB ) 노을 ( 盧을 / 89 / 전라북도 전주시 / A ) 정윤혜 ( 鄭允慧 / 90 / 대전광역시 서구 / A ) 김지숙 ( 金智淑 / 90 / 경기도 수원시 / A ) 조현영 ( 趙賢榮 / 91 / 서울특별시 용산구 / B ) |
데뷔 | 2009년 11월 14일 미니 앨범 <Gossip Girl> |
활동기간 | 2009년 11월 14일 ~ 2016년 11월 12일 |
소속사 | DSP미디어 |
팬덤 | RAINNOUS (레인너스) |
DSP미디어의 대표이사였던 이호연이 뇌졸중으로 쓰러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기획했던 아이돌이다.
즉 DSP미디어가 잘 나가던 시절의 마지막 흔적이 남은 그룹인 것.
멤버 한명 한명 잘 뽑아놓고 데뷔시켰더니, 사장이 뇌졸증으로 쓰러지면서 회사가 기울었다.
이 바닥 걸그룹 덕후들과는 애증의 관계. 뭔가 뜰 듯하면서 뜨질 않는 않는 걸그룹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걸그룹이다.
굉장히 애매한 게 인지도가 없다고 하기에는 어렵고, 그렇다고 확실히 떴다고 보기에도 어렵기 때문이다.
즉 어느 정도 푸쉬도 했고 보여 줄 것도 보여 줬는데 어느 수준 이상으로 뜨질 못한다는 얘기.
이때문인지 안 뜨기로 유명한 나인뮤지스, 달샤벳과 함께 '나달렌'이라고 불린다.
2016년 10월 28일 공식 해체를 선언했다.
전속 계약은 오는 11월 12일에 만료가 되며 DSP 미디어측은 멤버들과 미래에 대한 대화를 수차례 나누었으나 멤버 전원 재계약에 동의를 하지 않기로 결정하게 되어 레인보우도 7년차 징크스를 넘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아무래도 멤버들의 나이 평균대가 해체 기준으로 20대 후반이고 이미 걸그룹 세대 교체가 확연히 되었기에 롱런하기 힘들 것이라는 평이었지만, 장수한 걸그룹인데도 불구하고 아이돌로써 성공적인 커리어로 평가되는 음악 방송 1위의 부재가 있어 레인보우의 해체가 더욱 아쉬움이 클 수 밖에 없다.
다만 시간이 많이 흘렀고 멤버들도 이젠 아이돌로써 활동하기엔 적지 않은 나이라는 것을 알기에 순위에 대한 욕심도 없어진 것으로 보이고, 트러블로 해체되는 경우가 아니라 서로 우애를 돈독히 유지하며 각자의 길을 나선다는 의미에서 많은 네티즌들도 수고와 격려의 메세지로 멤버들을 응원하는 편이 많다.
2016년 11월 레인보우가 해체하자마자 멤버들은 마지막을 함께하기 위해 방콕으로 이별여행을 다녀왔고, 그 후 각자 자기 살 길을 찾아 떠났다.
해체 후 멤버들이 전부 DSP미디어를 떠났다.
여담으로 지숙은 계속 음악을 하겠다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고 얼마 뒤 솔로앨범이 발매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후 2019년 10월 24일 10주년 기념으로 재결합을 선언하였으며, 11월 14일 《Over The Rainbow》를 발매와 동시에 17일 팬미팅과 각종 단체 예능 등 그룹 활동을 재개하였다.
정리
"레인보우라는 걸그룹을 아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서, 정말로 연예계에 관심이 없거나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이 아니면 "모른다" 고 대답할 사람은 몇 없을 만큼 인지도는 있는 그룹이지만 2016년 기준으로 이제 데뷔 7년차에 들어가는 그룹인데 딱 떠올릴 만한 대표곡도 A 이외에는 마땅히 없으며, 멤버 개개인의 인지도도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헬게이트나 다름없는 한국의 대중음악 경쟁 구도에서 이름도 모른 채 해체해버리는 아이돌 가수들이 얼마나 많은데, 그래도 레인보우 정도로 이름을 알렸다면 1위를 못해서 완벽한 성공은 못했더라도 절대로 실패한 것은 아니다."같은 반론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논리를 주장하는 측도 절대로 DSP가 일을 잘 했다는 평가를 내리지는 않는다.
레인보우는 능력치도 출중하고 훨씬 잘 될 수 있었지만 기획력이 뒷받침되어주지 못해 1위를 못했다는 것을 한탄하면서 아쉬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레인보우는 "소속사를 잘 못 만나서 불운한 케이스"라고 얘기한다.
결국, 특별하게 두각을 드러내거나 하는 분야도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대중들의 인지도도 "알기는 안다" 정도로 그친다.
그렇다고 보여준 것이 적거나 시간이 없었다고 여길 만한 데뷔연차도 아니다. 해체 직전까지 여러모로 모호한 위치에 있는 그룹이었다.
실질적으로 알려진 것보다는 공극율이 높은 걸그룹으로 활동기간이 7년이라지만 공백기간 총합이 무려 3년에 달한다.
일본에서 활동한 기간까지 공백기간으로 포함한다면 레인보우가 실제로 활동한 기간의 날짜 총합은 절반도 채 안 되는 수준이다. 이들이 속칭 '가내수공업돌'이라 불리면서 부업에 몰두하고 특히 지숙이 파워블로거까지 달성하는 경지에 도달했는데 당연히 레인보우 멤버들의 입장에서는 절대로 자랑거리가 아니다.
활동을 못하는 상황에서 아무것도 안 하고 시간만 낭비할 수는 없으니까 뭐라도 해보려고 노력하는 눈물겨운 발악을 한 것이다. 얼마나 기획사가 활동을 안 시켜줬으면 가내수공업돌이 되어버렸는지를 잘 생각해보자.
사실, 이 정도로 방치하는 아이돌은 레인보우와 에이젝스 정도밖에 없다.
자사 아이돌 관리가 허술하기로 악명높은 TS엔터테인먼트조차 소나무가 활동을 안할 때는 수민을 '말랑말랑 도우랑'이라는 어린이 프로그램 MC를 시켜줬고 자체 인터넷 드라마 더 미라클까지 촬영하는 등 가수로 활동을 못하게 되면 다른 방법으로라도 방송에는 출연시켜주려고 노력했다. 스타제국 역시 마찬가지다.
이 기획사 역시 멤버들만 뽑아놓고 아무 활동도 안 시키고 그냥 방치하기로 유명한 소속사다.
그러나 스타제국은 적어도 데뷔 초창기에는 제국의아이들의 멤버인 황광희를 예능 프로그램에다 많이 출연시켜 예능 쪽으로 많이 밀어주기도 했다.
하지만, 그놈의 DSP미디어는 레인보우에게 아무 것도 안 시켜줬다. 그래서 가내수공업돌이 된 것이다.
게다가 발표한 앨범 중 정규앨범은 1집 밖에 없으며, 나머지는 미니앨범이라 미니앨범만 내고 해체하게 되었으며, 기획력도 엉망이라 각 앨범의 주제를 불명확하게 잡아서 팬들은 "이게 대체 뭐하는 애들인지 모르겠다."라고 느껴지게 만든 게 큰 패착 중 하나일 것이다.
즉, 확실하지 않은 컨셉으로 충분히 매력적인 멤버들의 매력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했다. 레인보우 블랙 활동에서는 윤상과 김이나를 쓰고도 곡 퀄리티가 기대에 미치지 못해 팬을 비롯한 리스너들에게 까인 건 덤.
사실 '레인보우 = 무지개'라는 팀명을 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듯, 본래 소속사에서는 멤버들을 무지개의 일곱색깔에 비유해 어떤 컨셉과 음악이든 매우 자연스럽게 소화하는 만능 걸그룹을 표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아이돌 특히 걸그룹의 세계에서 여러가지 컨셉을 소화한다는 말은 그 반대로 눈에 확 뜨일만큼 확고한 컨셉이 없다는 얘기와 같다.
확고한 컨셉이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컨셉을 오가기만 하면 그에 따라 팬덤이 요동치고 그만큼 팬덤이 축소되기 마련인데 이런 현상은 팬덤을 대상으로 음악을 소비하는 아이돌 그룹에게는 정말 치명타다.
그런데 레인보우는 컨셉을 매 컴백마다 바꿨다.
이러면 팬덤 화력이 모이기는 커녕 그룹 자체의 브랜드 이미지조차 오락가락하기 때문에 대중픽도 기대하기 힘들어져 1위하기가 더더욱 힘들어진다.
정말 컨셉을 바꿔서 성공하려면 오렌지캬라멜처럼 전혀 예상치 못한 컨셉으로 팬덤의 허를 제대로 찌르던지, 아니면 비슷하게 다양한 컨셉을 성공적으로 소화한 전성기 시절의 티아라의 사례처럼 매 앨범마다 컨셉을 바꿔도 컴백 시기의 트렌드를 정확히 읽어 대중들에게 임팩트를 강하게 줄 만한 노래를 내던지 해야 했건만 레인보우는 그렇게 하지도 못했다.
결국 그룹의 이미지와 정체성이 모호한 상태에서 오락가락한 컨셉 때문에 팬덤이 제대로 모이기도 힘들었고 게다가 곡 퀄리티까지도 들쑥날쑥하는 바람에 대중픽을 받기에도 매우 힘든, 그야말로 답이 없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또 하나의 예시를 들자면, 대표적으로 에이핑크는 섹시컨셉이 흔했던 2011년 데뷔 2020년 현재까지 9년 동안 단 한 번도 섹시컨셉으로 활동한 적이 없는 그룹이다.
물론 2018년 컴백 당시 컨셉이 확 바뀌기는 했지만, 궁극적으로 에이핑크는 청순컨셉, 가사 문구를 통한 팬들에게 진심을 전달하는 그룹이다.
이러한 것들이 커리어 내내 유지되었기에 컨셉을 바꿨음에도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말이 쉽지, 5-6년 넘게 이어진 컨셉을 한 번에 바꾸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타 팬들이 같은 컨셉에 지루함을 느껴 컨셉 변화를 요청하는 피드백이 들어와도 컨셉을 쉽사리 바꾸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레인보우는 그러한 컨셉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았고, 컨셉이 있더라도 매 활동마다 컨셉이 뒤집혔으며 결정적으로 스토리텔링이 없었다.
즉 컨셉을 명확하게 어필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 역시 레인보우의 앞날을 더욱 어두워지게 했던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요약하자면, 컨셉이 확고하지 못하고 활동의 질적 수준 역시 좋지 못하다.
어느 활동에 따라 컨셉 편차가 너무 심한 것이다. 카라가 일본에서 엔화를 잔뜩 쥐어오자 여기에 맛들려서 아직 자리도 못 잡은 레인보우를 에이젝스와 함께 일본으로 투입했다가 완전히 자리를 못 잡도록 했으며, 컨셉은 섹시-큐트-엣지를 왔다갔다하는 등 일관성도 없으며 유닛은 유닛대로 오렌지캬라멜을 따라하느라 완전히 망해버렸다.
이것 때문에 성공한 걸그룹이라고 보기 힘들게 된 것이다. 한 마디로, 그룹의 컨셉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안무도 2013년 SUNSHINE 활동시의 보도자료에서 포인트안무와 따라하기 쉽다는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또한 웬만한 걸그룹이면 한 번쯤 음악방송에서 하는 댄스브레이크도 거의 없었다.
보통 한 그룹이 쇠퇴하거나 심각한 하락세를 걷는 경우는 해당 그룹에서 특정 멤버의 스캔들, 사고 및 구설수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들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레인보우 같은 경우에는 개개인의 재능은 꽤 좋은 편이었고, 무엇보다 부정적인 스캔들이나 구설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소속사가 지나칠 정도로 방치하면서 멤버들의 개성 발휘를 막아버리는 부작용을 초래한 것이 결정적인 원인인데 당연히 지나친 공백기가 문제였다.
하다 못해, 그 공백기 동안이라도 솔로 앨범과 같은 유닛 활동을 부여하고 단독콘서트나 리얼리티, 소속사 측에서 다양한 개인 활동으로 어떤 측면에서라도 멤버들에게 기회를 부여하는것이 순리지만, DSP에게 그런 노력도 전혀 찾아볼 수 없었고, 결국에는 그룹상 이름만 간신히 유지한 채 이런저런 삽질 끝에 회생불가 수준의 상황에 몰려 멤버와 회사, 팬 모두가 이 그룹을 포기하는 지경까지 갔다.
멤버들도 그룹활동 말기에는 아예 그룹활동보다는 연기, 예능 등 개인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충분한 역량이 있었는데도 1위도 한 번 못 해보고 해체해버린 비운의 걸그룹으로 남게 되었다.
이 이후 DSP미디어는 에이프릴, KARD의 활동에서 음악, 콘서트, V LIVE 등의 팬 컨텐츠, 팬서비스 등을 보강하고 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미니 1집 | Gossip girl | Gossip girl Not Your Girl |
2009년 11월 12일 |
디지털 싱글 | A | A | 2010년 8월 12일 |
디지털 싱글 | Mach | Mach | 2010년 10월 20일 |
미니 2집 | So女 | To Me (내게로)... | 2011년 4월 7일 |
미니 2집 리패키지 | Sweet Dream | Sweet Dream | 2011년 6월 22일 |
정규 1집 Part.1 | Rainbow Syndrome | Tell me Tell me | 2013년 2월 13일 |
정규 1집 Part.2 | Rainbow Syndrome Part 2 | SUNSHINE | 2013년 6월 4일 |
미니 3집 | INNOCENT | Black Swan | 2015년 2월 23일 |
미니 4집 | Prism | Whoo | 2016년 2월 15일 |
디지털 싱글 | Over the Rainbow | Aurora | 2019년 11월 8일 |
시크릿 프롤로그
그룹명 | Secret 시크릿 |
멤버 | L 전효성 ( 全烋星 / 89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B ) 징거 ( 정하나 / 90 / 경기도 양주시 / A ) 송지은 ( 宋枝恩 / 90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O ) 한선화 ( 韓善花 / 90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 B ) (2016년 9월 26일 탈퇴) |
데뷔 | 2009년 10월 13일 디지털 싱글 <I Want You Back> |
활동기간 | 2009년 10월 13일 ~ 2016년 9월 26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TS엔터테인먼트 |
팬덤 | SECRET TIME (시크릿 타임) |
TS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걸그룹으로 2009년 4인조로 데뷔했다가 2016년 9월 26일을 기점으로 한선화가 탈퇴해 3인조 걸그룹이 되었고, 2018년 2월 28일 송지은이 인스타그램에 팀을 떠난다고 밝혔다.
걸그룹 홍수 속에서 애프터스쿨과 함께 일찍부터 인기를 끌었지만 인기는 오래가지 못했던 걸그룹이다.
물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꾸준히 연간곡 순위에 곡들을 집어 넣은 만큼 확실히 커리어 자체는 대단한 그룹.
키가 작은 대표적인 걸그룹으로 통했다. 하지만 실제 키는 작지 않았는데 2012년 엄청난 다이어트 이전 몸매가 친근한 편이라 그런 평가를 많이 들었다.
유독 남자들한테 인기가 많았던 걸그룹으로 이유는 매우 간단하게 전효성의 글래머러스한 몸매 덕분이다.
걸스데이처럼 아이돌 걸그룹중에서도 다양한 이미지를 소화해낼수 있다는것이 장점으로 꼽혔다.
<MAGIC>, <MADONNA>의 섹시하고 카리스마있는 이미지, <샤이 보이>, <별빛달빛>의 귀엽고 발랄한 이미지까지 모두 소화가능, 이는 곡 선택의 폭이 넓어짐과 동시에 여러 매력으로 다양한 팬을 끌어 모을수 있다는 강점이 된다.
인기의 중심축인 한선화가 걸그룹 중에서도 독보적인 예능감으로 무명임에도 불구하고 청춘불패에 캐스팅되어 두각을 드러냈고 전효성이 가요계에서 거의 독보적으로 베이글녀라는 기믹을 탑재하고 있던 덕분이다.
팀명은 말 그대로 '비밀'이라는 뜻인데, 뭔가 구질구질한 뜻 끼워맞추기 조차 없어 영세기획사 답게 초반에 약간 성의없이 지었다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2011년 이후 전성기에 비에피를 밀어주려는 티레기의 어이 없는 짓거리로 9개월 가까이를 해외에서 뺑뺑이 쳐지며 팬덤을 굳혀야 할 시기에 희생당했다.
그럼에도 이후에 포이즌 톡댓 유후등으로 흥행에는 성공 하지만 교통사고등 여러 악재가 겹치며 예전처럼 1위를 하거나 하지는 못했다.
아이돌 음악에 브라스밴드의 사운드를 적극 활용한 부분에서는 가히 혁명가, 선구자적인 그룹이다라 말할 수 있다.
시크릿의 데뷔 당시에는 남녀 그룹을 가릴 것 없이 대부분 아이돌들이 오토튠과 일렉트로닉 사운드로 기계음 전쟁을 치르던 시기였고, 시크릿 그 자신도 당시 트렌드에 편승해 데뷔곡이었던 <I want you back>을 일렉트로닉 스타일로 만들었지만 거의 주목조차 받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밴드사운드로는 큰 기대를 받을 수 없었던 당시의 분위기 속에도 불구하고, 시크릿은 첫번째 미니앨범 <Secret Time>에서 싱글 1집<I Want You Back>에서 추구했던 스타일을 완전히 뒤집어엎는 모험을 감행했으며 결국엔 이러한 스타일의 음악도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덕에 여타 그룹들과 차별화되는 "브라스돌"이라는 이름의 개성을 얻는 동시에 팀의 음악적 아이덴터티를 새로이 획득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음악적 성과는 이전까지 큰 관심을 끌지 못했던 브라스밴드 사운드가 이후 아이돌 그룹의 음악에 차용되는 것에 적극적이도록 만든 측면이 있는데, 아이돌 세계의 과도한 기계음 경쟁이 주춤한 2013년에 등장한 AOA, 레이디스 코드, 나인뮤지스 등의 신예들이 그들의 타이틀 곡을 아예 브라스밴드 스타일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시크릿이 후배들에게 미친 선구적 영향은 무시할 만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18년 2월 28일 멤버 '전효성, 송지은'이 소속사와 법적 공방 중에 있음을 밝혔다.
회사 측에서는 사실을 인정 했지만 해체는 아니라고 밝혔다.
문제는 멤버였던 전효성, 송지은이 직접 팀을 떠났다고 이실직고했기 때문에, 시크릿은 사실상 와해되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I Want You Back | I Want You Back | 2009년 10월 13일 |
미니 1집 | Secret Time | Magic | 2010년 4월 6일 |
미니 2집 | Madonna | Madonna | 2010년 8월 12일 |
싱글 1집 | Shy Boy | Shy Boy | 2011년 1월 6일 |
싱글 2집 | 별빛달빛 | 별빛달빛 | 2011년 6월 1일 |
정규 1집 | Moving In Secret | 사랑은 MOVE | 2011년 10월 18일 |
미니 3집 | Poison | Poison | 2012년 9월 13일 |
디지털 싱글 | TALK THAT | TALK THAT | 2012년 12월 4일 |
미니 4집 | Letter From Secret | YooHoo | 2013년 4월 30일 |
싱글 3집 | Gift From Secret | I Do I Do | 2013년 12월 9일 |
미니 5집 | SECRET SUMMER | I`m In Love | 2014년 8월 11일 |
에프엑스 프롤로그
" f(x)입니다, 안녕하세요! "
그룹명 | f(x) 에프엑스 |
前 멤버 | 故 설리 ( 최진리 [崔眞理] / 94~1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O ) (2015년 8월 7일 탈퇴) |
멤버 | L 빅토리아 ( 쑹첸 [宋茜] / 87 / 산둥성 칭다오 시 / A ) 엠버 ( Amber Josephine Liu / 92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B ) 루나 ( 박선영 [朴善英] / 93 / 경상북도 문경시 / A ) 크리스탈 ( 정수정 [鄭秀晶] / 94 /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 A ) |
데뷔 | 2009년 9월 5일 디지털 싱글 <LA chA TA> |
활동기간 | 2009년 9월 5일 ~ 현재 (2015년 설리의 탈퇴 후 기약 없는 공백기) |
소속사 | SM 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라이트 페리윙클 |
팬덤 | me(you) |
f(x)는 2009년 9월 5일에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4인조 다국적 걸그룹이다.
'함수식'을 뜻하는 수학 기호 'f(x)' 형태로 그룹 명을 독특하게 표기하였다.
x의 값에 따라 결과가 변하는 수식처럼 멤버들의 다양한 매력과 컨셉을 바탕으로 아시아에서 다채로운 활동을 펼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여성을 상징하는 피사물로 쓰이는 flower의 f와 여성 염색체를 뜻하는 XX의 x를 통해 '여성을 연상시키는 꽃'처럼 아시아를 대표하는 핫 아이콘으로 성장해 최고의 아시아 팝 댄스 그룹이 되겠다는 포부도 표현했다.
소속사 선배인 소녀시대 만큼이나 데뷔조 연습생이 많았으나 최종적으로 빅토리아와 엠버, 루나와 크리스탈, 설리가 뽑혀 5인조 걸그룹으로 데뷔하여 2009년 9월 5일부터 2015년 8월 7일까지 활동하였으나 설리가 배우로서의 전문적인 지향을 위해 팀을 탈퇴하여 4인조 걸그룹으로 재편된 후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실험적인 음악+ 특이한 가사가 특징이다. 종종 괴상한 가사라고 비난 받지만 이는 SM이 의도적으로 설정한 것으로 강하게 시작하는 부분에는 분절적인 받침을 넣고 곡의 흐름에 따라 모음이나 받침 있는 음절을 적절히 배치하여, 발음이 가져오는 음악적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f(x)의 멤버 구성 자체가 다국적이고 '아시아 팝 댄스 그룹'이란 목표아래 기획된 만큼, 외국인들에게 어려운 '의미 중심' 가사보다는 '재밌고 특이한 표현, 대화 형식 전개'로 컨셉과 퍼포먼스를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개성으로 인정할까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지만 특이한 가사가 f(x)의 가장 큰 차별화 요인이었던 건 틀림없다.
이전엔 주로 가사로 독특함을 표현했다면, 2014년 이후로는 실험적인 음악장르의 선두주자로 K-POP에서 활약하는 중이다. 작곡은 외국 작곡가(팀)의 비중이 매우 높다.
일례로 정규 4집 4 Walls는 10곡 중 8곡이 외국 작곡가들이 만든 곡이며, 2곡은 외국 작곡가들과 국내 작곡가가 협업한 곡이다. 팝계의 최신 트렌드를 담아 사운드가 세련됐다는 평가를 받으며 해외 매체에서도 평가가 좋다.
2019년 9월 1일 엠버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종료되었음을 알렸다.
2019년 9월 5일 빅토리아는 자신의 웨이보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협업관계는 계속해서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SM의 언론보도를 통해 루나의 계약도 종료되었음이 알려졌고, 멤버 중 크리스탈의 계약기간만이 아직 남아있다고 한다.
2019년 10월 14일 설리의 사망으로 5인조의 모습은 영원히 볼 수 없게 되었지만, 설리는 사망 4년 전 이미 탈퇴했기 때문에 f(x)의 향후 활동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규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정규 1집 | 피노키오 | 피노키오 (Danger) | 2011년 4월 20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Hot Summer | Hot Summer | 2011년 6월 14일 |
정규 2집 | Pink Tape | 첫 사랑니 (Rum Pum Pum Pum) | 2013년 7월 29일 |
정규 3집 | Red Light | Red Light | 2014년 7월 7일 |
정규 4집 | 4 Walls | 4 Walls | 2015년 10월 27일 |
기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LA chA TA | 라차타 (LA chA TA) | 2009년 9월 1일 |
싱글 | Chu~♡ | Chu~♡ | 2009년 11월 4일 |
미니 1집 | NU ABO | NU 예삐오 (NU ABO) | 2010년 5월 4일 |
미니 2집 | Electric Shock | Electric Shock | 2012년 6월 10일 |
디지털 싱글 | 12시 25분 | 12시 25분 (Wish List) | 2015년 12월 15일 |
디지털 싱글 | All Mine | All Mine | 2016년 7월 22일 |
티아라 프롤로그
그룹명 | T-ARA 티아라 |
데뷔조 | 지애 ( 이지애 / 87 / 2009년 4월 ~ 2009년 7월 ) 지원 ( 양지원 [楊知元] / 88 / 2009년 4월 ~ 2009년 7월 ) |
前 멤버 |
보람 ( 전보람 [全寶藍] / 86 / 2009년 7월 ~ 2017년 5월 )
소연 ( 박소연 [朴昭姸] / 87 / 2009년 7월 ~ 2017년 5월 )
화영 ( 류화영 [柳和榮] / 93 / 2010년 7월 ~ 2012년 7월 ) 아름 ( 이아름 [李雅凜] / 94 / 2012년 7월 ~ 2013년 7월 ) |
멤버 |
L 큐리 ( 이지현 [李智賢] / 86 / 서울특별시 중랑구 / B )
은정 ( 함은정 [咸𤨒晶] / 88 / 서울특별시 노원구 / O )
효민 ( 박선영 [朴宣映] / 89 / 서울특별시 / O ) 지연 ( 박지연 [朴芝姸] / 93 / 서울특별시 강북구 / AB ) |
데뷔 | 2009년 7월 27일 디지털 싱글 <거짓말> |
활동기간 | 2009년 7월 29일 ~ 2017년 12월 31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MBK엔터테인먼트 (2009년 4월 ~ 2017년 12월) |
공식색 | 펄 아이보리 |
팬덤 | QUEEN'S (퀸즈) |
대한민국의 4인조 아이돌 걸그룹. 2009년 7월 29일, MBC ‘라디오 스타’에서 정식으로 데뷔했다.
데뷔 직전, 티아라는 소속사 선배 그룹인 씨야나 다비치처럼 보컬 그룹으로 데뷔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 해 7월에 예정된 포미닛의 데뷔와 애프터스쿨, 소녀시대, 2NE1, 카라의 컴백 등 아이돌 걸그룹 대전에 합류하기 위해 보컬 위주의 걸그룹에서 소녀시대, 원더걸스 같은 아이돌 걸그룹으로 방향을 급 선회했다.
이 때문에 메인보컬이었던 양지원과 이지애가 탈퇴했으며, 소연, 보람, 큐리가 급하게 영입되었다.
이후 양지원은 B2M엔터테인먼트로 옮겨 스피카로 데뷔했고, 이지애는 드림티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기고 주비스의 ‘하나’라는 예명으로 데뷔했다.
티아라의 인기 요인을 꼽자면, 소위 ‘2인자(?) 전략’으로 성공한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유행을 선도하기 위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이미 대중들에게 익숙한 현 트렌드에 본인들의 콘셉트를 맞춰가는 안전한 2인자 자리를 선택하는 것. 그 후 <Bo Peep Bo Peep>은 후크송, <Roly-Poly>, <Lovey-Dovey>는 각각 복고 열풍과 셔플댄스 열풍에 불을 붙였다.
또한 특이하게도, 성공한 노래 이후에 발매된 상반된 분위기의 곡들도 상당히 성공한 편이다.
<Bo Peep Bo Peep> 이후의 <너 때문에 미쳐>, <Roly-Poly> 이후의 <Cry Cry>, <Lovey-Dovey> 이후의 <DAY BY DAY>가 그 예.
이런 다양한 콘셉트의 성공 덕에 <Roly-Poly> 활동 쯤부터는 응원법에 ‘가요계의 카멜레온’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물론 이 2인자 전략은 곡의 퀄리티가 받쳐주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당시 티아라의 전담 작곡가였던 신사동호랭이가 트렌드를 캐치하는 센스는 무시무시했다.
게다가 티아라는 2세대 걸그룹 중 대중친화적 활동을 보여준 가장 대표적인 걸그룹 중 하나였으며, 몇몇 논란이 있었으나 음원 중심으로 크게 성공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티아라의 최고 히트곡으로 평가받는 <Roly-Poly>는 2011년 멜론, 가온차트 연간 음원 순위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며, 당시 네티즌들 사이에서 '소녀시대, 원더걸스의 턱 밑까지 올라왔다.'라는 의견이 나올 정도로 대중적 인지도와 파급력이 굉장히 높았다.
2012년, <Lovey-Dovey>로 ‘뮤직뱅크’ 통산 4주 1위를 달성했고 단독 콘서트까지 열게 되는 등 전성기를 그대로 이어나가며 명실상부한 1군 걸그룹으로 올라섰다.
게다가 소속사에서 전례 없던 공식 팬클럽 이야기까지 나오기 시작했으며, 2012년 7월 14일에 공식 팬클럽 QUEEN'S가 창단되면서 그룹의 전성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당시 대중친화적인 2세대 걸그룹들은 음원 화력이 강한 대신 팬덤 화력이 약해 음반 판매량에서 약세를 보인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티아라는 팬덤 역시 탄탄한 편이었으며 음반 판매량도 낮지 않았다.
사건 이후인 현재시점에서는 역대 걸그룹 음반 판매량 TOP 10에서 1,149,905장으로 6위를 기록했다.
일반적인 걸그룹이 개개인의 캐릭터 구축에 공을 들인다면, 티아라는 극도의 대중친화성을 그룹의 정체성으로 선택했다.
즉 '지연이라는 절대적인 센터를 중심으로, 예쁜 멤버들이 매우 대중적인 노래를 부르는 그룹' 자체가 티아라의 캐릭터이자 아이덴티티였던 것.
한편, 그룹을 둘러싼 많은 멤버 및 리더 교체, 이로 인해 생겨나는 잡음이 해당 전략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열된 걸그룹 시장 속에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며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는 평을 받았다.
가창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멤버들의 사생활 구설수에도 불구하고, MBK엔터테인먼트의 가혹하다 싶을 정도로 빽빽한 스케줄과 이를 묵묵히 수행해내는 티아라 멤버들을 보며 '과거에 실수 좀 했으면 어떠냐, 지금 저렇게 열심히 하는데.'라며 호의적으로 보는 사람이 늘고 있었다.
그러나 2012년 7월 27일,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미니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2 | Temptastic | Yayaya | 2010년 12월 1일 |
3 | 존트라볼타 워너비 | Roly-Poly | 2011년 6월 29일 |
4 | Black Eyes | Cry Cry | 2011년 11월 11일 |
5 | Funky Town | Lovey-Dovey | 2012년 1월 3일 |
6 | DAY BY DAY | DAY BY DAY | 2012년 7월 3일 |
7 | MIRAGE | SEXY LOVE | 2012년 9월 3일 |
8 | Again | 넘버나인 (No.9) 느낌 아니까 |
2013년 10월 10일 |
9 | Again 1977 | 나 어떡해 | 2013년 12월 4일 |
10 | And&End | Sugar Free | 2014년 9월 11일 |
11 | So Good | 완전 미쳤네 | 2015년 8월 4일 |
12 | REMEMBER | TIAMO | 2016년 11월 9일 |
13 | What's my name | 내 이름은 | 2017년 6월 14일 |
기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거짓말 | 거짓말 | 2009년 7월 27일 |
디지털 싱글 | TTL (Time To Love) | TTL (Time To Love) | 2009년 9월 15일 |
디지털 싱글 | TTL Listen 2 | TTL Listen 2 | 2009년 10월 9일 |
정규 1집 | Absolute First Album | Bo Peep Bo Peep 처음처럼 |
2009년 11월 27일 |
정규 1집 리패키지 | Breaking Heart | 너 때문에 미쳐 내가 너무 아파 |
2010년 2월 23일 |
디지털 싱글 | 왜 이러니 | 왜 이러니 | 2010년 11월 23일 |
스페셜 1집 | Roly-Poly in 코파카바나 | Roly-Poly in 코파카바나 | 2011년 8월 2일 |
스페셜 2집 | T-ara Winter | 숨바꼭질 | 2013년 12월 14일 |
포미닛 프롤로그
그룹명 |
4MINUTE 포미닛 |
멤버 |
L 남지현 ( 南智賢 / 90 / 인천광역시 부평구 / A )
허가윤 ( 許嘉允 / 90 / 서울특별시 동작구 / O )
전지윤 ( 田祉潤 / 90 / 경기도 수원시 / B )
김현아 ( 金泫雅 / 92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 O )
권소현 ( 權素賢 / 94 / 서울특별시 성동구 / B ) |
데뷔 | 2009년 6월 18일 디지털 싱글 <Hot Issue> |
활동기간 | 2009년 6월 18일 ~ 2016년 6월 16일 |
소속사 | 큐브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펄 바이올렛 |
팬덤 | 4NIA (포니아) |
포미닛(4MINUTE)은 대한민국의 5인조 아이돌 걸그룹으로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다.
4minute이라는 이름은 순간에 최선을 다한다는 뜻과 보통 노래 한 곡의 시간이 4분 정도이므로 4분 동안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겠다는 뜻을 중의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중학교 3학년 때 원더걸스의 멤버였던 현아가 활동했던 그룹이다.
신인 시절부터 해체직전까지 " 현아 그룹으로" 평가받았다.
2013년 이후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끝내 그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디씨인사이드에서 김현아갤은 지상갤인데 포미닛갤은 지하에 있다. 그래서 '배보다 배꼽이 크다'고 한다.
초창기엔 여러모로 원더걸스 콘셉트을 따라한 듯 보였다. 데뷔 당시에는 의상이나 콘셉트이 2NE1+애프터 스쿨이란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보컬을 맡고 있는 멤버의 스타일이나 만두속성을 가진 멤버나 복고 스타일 등등 애프터스쿨의 하드코어 버전 정도.
대부분의 걸그룹 노래가 "사랑 타령"인데 포미닛은 주로 힙합풍으로 "당당한 자신"이나 "내 주관대로", "내가 짱임" 같은 약간 반항기 있는 콘셉트이 메인이다.
이 점이 2NE1과 겹치는데, Candy pop+Girl's Hiphop의 특성을 뚜렷히 보이며 2NE1에 비하면 좀 더 소녀스러운 이미지가 있다.
처음엔 여러 걸그룹이랑 유사하단 평이 많았지만,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하여 초창기 지적 받던 원더걸스, 애프터스쿨, 2NE1 등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가진다.
앨범 수록곡에 사랑노래가 없는 건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가벼운 느낌을 준다. 일본 발매 싱글 'FIRST'가 대표적인 예.
그러다가 2009년 7월 2일 음악 방송 엠카운트다운 히어로즈 무대에서 원더걸스의 'Tell Me'를 재현했다.
2000년대 후반에 데뷔한 걸그룹중 레인보우와 함께, 탈퇴 멤버나 불화가 잘 없는 팀이었다.
대개 이시기에 데뷔한 걸그룹은 약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탈퇴멤버들이 생기거나 멤버간 불화설이 생기기도 하는데 포미닛은 사실 데뷔당시 "현아 걸그룹"의 이미지 때문에 가장 먼저 불화가 생길 것으로 팬덤 사이에서 예측되기도 했으나 의외로 오랜 기간동안 매년 한번씩은 단체로 앨범을 뽑아내면서 음방에 나와 꾸준하게 활동했었다.
포미닛은 그 비결로 "멤버가 전부 성격이 모나지 않고, 전부 남자 형제만 있어서 소심하게 삐쳐있는 경우가 없으며, 기분나쁘면 그때그때 다 풀고 이야기한다" 라고 언급했다.
현재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었다.
현아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이 제계약하지 않았지만 이 중 전지윤은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아도 같은 소속사였던 이던과 함께 2018년 10월 15일에 큐브와의 인연을 끝냈다.
지상파 음악방송에서는 유일하게 뮤직뱅크에서 1위를 못했다고 한다.
해체
해체 이유는 멤버들이 서로 하고 싶은 것들(연기, 춤, 방송 등)이 달랐고, 그로 인해 의견 차이로 수 개월 동안 고민하다가 회사 내에서는 더 이상 의견 차이로 그룹을 원활히 존속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해체했다고 밝혔다.
재계약 관련 기사가 쏟아지는 6월 13일 현재 세계일보 보도와 스포츠월드 보도에서 그룹 활동 중단과 관련된 이유에 대해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며 완전히 해체됐다.
이는 큐브를 인수했던 IHQ의 입김이 컸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HQ는 2013년 거액을 들여 큐브를 인수했지만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고, CLC가 데뷔한 이상 걸그룹은 CLC에 집중하려고 한 듯.
여기에 포미닛은 거의 "현아와 아이들" 수준의 원맨 그룹화되어서 현아가 가장 큰 수익을 올려 주는 이상, 나머지 멤버와는 재계약이 필요없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아도 2년 후인 2018년 10월 개인사정으로 큐브를 떠났다.
한편, 이후 SNS 인스타그램에서 현아를 제외한 포미닛 멤버들이 현아를 언팔로우했다는 소식이 들려 불화설이 대두되기도 했다.
2016년 8월 경, 현아가 새 솔로 앨범을 들고 나옴과 동시에 인터뷰에서 다소 횡설수설한 모습을 보였다.
문제의 내용이 현재는 해체된 포미닛에 대한 것으로 "다른 포미닛 멤버들, 내가 싫을 것"이라며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였다.
이건 불화설이란 말이 아니라 다른 멤버들은 입장을 낼 수 없는 위치에 있지만 자기가 이렇게 말해서 미안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인터뷰끝나고 주위사람들에게 "인터뷰 하기 싫다고 했잖아"라고 하며 울었다. 아무말도 하기싫은데 억지로 인터뷰를 한 모양.
어쨌든 아육대에 나올 때마다 포미닛이 명장면을 보여 준 양궁도 팀 해체를 선언하면서 포미닛의 퇴장과 함께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2016 설날 아육대 준결승에서 EXID에게 패해 탈락한 것이 마지막이 되고 말았다.전지윤의 연속 4점은 덤
2017년 11월 5일 '미쳐'의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달성하게되었다. 이로써 포미닛은 3대기획사가 아닌 걸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함과 동시에 해체한 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한 그룹이 되었다.
현재 큐브와 재계약하지 않은 나머지 4명 중 현재 전지윤만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는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Hot Issue | Hot Issue | 2009년 6월 15일 |
미니 1집 | Muzik | Muzik What a Girls Wants |
2009년 8월 28일 |
미니 2집 | Hit Your Heart | HUH I My Me Mine |
2010년 5월 19일 |
싱글 1집 | Heart To Heart | Heart To Heart | 2011년 3월 29일 |
정규 1집 | 4Minutes Left | 거울아 거울아 Heart To Heart |
2011년 4월 5일 |
미니 3집 | Volume Up | Volume Up | 2012년 4월 9일 |
미니 4집 | Name Is 4minute | 이름이 뭐예요? | 2013년 4월 26일 |
디지털 싱글 | 물 좋아? | 물 좋아? | 2013년 6월 28일 |
미니 5집 | 4MINUTE WORLD | 오늘 뭐해 | 2014년 3월 17일 |
미니 6집 | Crazy | 미쳐 | 2015년 2월 9일 |
미니 7집 | Act. 7 | 싫어 | 2016년 2월 1일 |
2NE1 투애니원 프롤로그
" 안녕하세요. What's up we're 2NE1! "
그룹명 | 2NE1 투애니원 21세기의 New Evolution |
멤버 |
박봄 ( 朴봄 / 84 / 서울특별시 / AB )
산다라박 ( 朴산다라 / 84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A )
L CL ( 이채린 [李彩麟] / 91 / 서울특별시 / A )
공민지 ( 孔旻智 / 94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 O ) |
데뷔 |
2009년 5월 6일 디지털 싱글 <Fire> |
활동기간 | 2009년 5월 17일 ~ 2016년 11월 25일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팬덤 | BLACK JACK (블랙잭) |
2009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YG엔터테인먼트 소속 여성 아이돌 힙합 걸그룹.
CL(리더, 래퍼, 리드보컬), 박봄(메인보컬), 박산다라(보컬, 랩), 공민지(보컬, 랩) 4인조로 활동을 하였다가 2016년 5월 4일 공민지가 탈퇴하여 잠시 3인조가 되었다.
하지만 3인조 활동은 해보지도 못한 채 박봄 탈퇴로 2인조가 된 상태에서 2016년 11월 25일 공식적으로 해체가 발표되었다. 마지막 앨범은 2017년 1월 21일 발매되었고 제목은 "안녕 "이다.
음원 강자 걸그룹 중 한 팀으로 유명했으며, 걸그룹 중 최초로 정규앨범의 모든 수록곡들을 음원 차트에서 줄 세우기한 기록까지 보유하고있다.
그런데 해체를 한지 약 3년만인 2019년 5월 17일에 멤버 완전체가 드디어 뭉쳤다!
재결합을 위해 뭉친 건 아니지만, 2NE1의 데뷔 10주년을 맞아서 뭉쳤고, 10주년 기념으로 4명이 함께 인스타그램 라이브도 하면서 팬덤인 블랙잭과 대중들에게 오랜만에 추억을 가져오며 동시에 "정말 2NE1 재결합을 했으면 좋겠다." 라는 바람도 가지게 했다.
가능성이 없지는 않는데, 멤버들 역시 재결합에 대한 의지가 누구보다 강한 편이다.
일찍 소속사를 옮긴 공민지는 뮤직웍스 측에서 데뷔앨범 이후 별다른 활동을 시켜주지 않아 분쟁소송에 들어갔다.
박봄은 디네이션으로 소속사를 옮겨 솔로 활동 중이고, CL은 YG와 계약이 만료된 후 1인 기획사를 설립하여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산다라박은 활발한 방송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YG와의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박봄과 산다라박이 2019년 들어 이런저런 콜라보를 진행했다.
고정 출연한 컴백전쟁: 퀸덤에서도 2NE1을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이며 재결합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데뷔
투애니원 데뷔 이전에 여자 연습생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YG의 차기 신인 그룹은 '여자 빅뱅'이라는 소문이 제시되었다.
2009년 4월 빅뱅과 함께 한 CYON 광고 및 광고 삽입곡인 롤리팝을 통해 실체를 드러내며 처음 대중에게 얼굴을 보였다.
그리고 롤리팝 음원 성적이 초대박을 쳐서 방송 활동을 일절 하지 않았는데도 각종 음원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화제가 되었고, 심지어는 CM송 최초로 뮤직뱅크에서 K-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한, CYON 홈페이지에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자 사이트가 먹통이 되었고, 나중에 뮤비 다운로드 링크를 다른 서버로 열었다.
2009년 5월 정식 데뷔곡인 디지털 싱글 'Fire'가 각 음원사이트에 공개되었다.
이례적으로 뮤직비디오가 'Space'와 'Street' 2가지 버전으로 나뉘어졌다.
'Street 버전'은 힙합 컨셉이며 'Space 버전'은 말 그대로 우주적인 이미지를 담은 컨셉이다.
하지만 물론 두 뮤비 모두에서 'Lollipop'에서 보여준 패션 센스는 여전했다.
5월 17일 SBS 인기가요를 통해 방송 무대에 데뷔하였다.
컨셉
데뷔 초기부터 “센 언니들”이 컨셉이었다. 그렇기에 여성 걸그룹으로서는 독특하게도 여성 팬과 남성 안티가 많다.
안티가 생긴 주요 원인은 이성에 대한 감정을 노린 기존의 걸그룹 컨셉과 다른 이질적인 스타일, 아이돌 걸그룹치고는 투박한 외모와 YG엔터테인먼트의 과도한 마케팅, 그리고 데뷔 초기 소수 팬들이 타 아이돌을 깎아내리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남초 사이트에서는 2NE1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I Don't Care 활동이 시작되고 나서부터 남성 팬들이 급속도로 늘어났다.
현재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남성들은 이제 2NE1을 까기보다는 높은 퀄리티의 싱글을 꾸준히 발표하는 실력파 넘사벽 여성 그룹으로 인식하고 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디지털 싱글 | Fire | Fire | 2009년 5월 6일 |
미니 1집 | 2NE1 1st Mini Album | I Don't Care | 2009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날 따라 해봐요 | 날 따라 해봐요 | 2010년 2월 9일 |
정규 1집 | To Anyone |
Can't Nobody Go Away 박수쳐 |
2010년 9월 9일 |
디지털 싱글 | Lonely | Lonely | 2011년 5월 12일 |
디지털 싱글 | 내가 제일 잘 나가 | 내가 제일 잘 나가 | 2011년 6월 24일 |
미니 2집 | 2NE1 2nd Mini Album | Ugly | 2011년 7월 28일 |
디지털 싱글 | I Love You | I Love You | 2012년 7월 5일 |
디지털 싱글 | Falling In Love | Falling In Love | 2013년 7월 8일 |
디지털 싱글 | Do You Love Me | Do You Love Me | 2013년 8월 7일 |
디지털 싱글 | 그리워해요 | 그리워해요 | 2013년 11월 21일 |
정규 2집 | CRUSH | COME BACK HOME | 2014년 2월 26일 |
디지털 싱글 | 안녕 | 안녕 | 2017년 1월 21일 |
애프터스쿨 프롤로그
그룹명 |
AFTER SCHOOL |
유닛 |
오렌지캬라멜 (레이나, 나나, 리지) 애프터스쿨 레드 (가희, 정아, 유이, 나나) 애프터스쿨 블루 (주연, 레이나, 리지, 이영) |
퇴학생 |
유소영 (1기) ( 주소영 / 86 / 서울특별시 / AB ) |
졸업생 |
베카 (1~4기) ( 김레베카 / 89 / 미국 하와이 주 / AB )
1L 가희 (1~5기) ( 박지영 / 80 / 대구광역시 / O )
이주연 (1~5기) ( 李周姸 / 87 / 서울특별시 노원구 / AB )
2L 김정아 (1~5기) ( 金廷娥 / 83 / 경기도 옹진군 송림면 / O )
유이 (2~5기) ( 김유진 [金幽珍] / 88 /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O )
레이나 (3~5기) ( 오혜린 [吳惠麟] / 89 / 울산광역시 울주군 / B )
리지 (3~5기) ( 박수영 [朴修映] / 9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A )
이영 (4~5기) ( 노이영 / 92 / 강원도 춘천시 / A )
가은 (5기) ( 이가은 [李佳恩] / 94 / 서울특별시 용산구 / AB ) |
멤버 |
나나 (3~5기) ( 임진아 [林珍兒] / 91 / 충청북도 청주시 / A ) |
데뷔 |
2009년 1월 15일 싱글 앨범 <New School Girl> |
활동기간 | 2009년 1월 15일 ~ |
소속사 | 플레디스 |
공식색 | 펄 페리윙클 |
팬덤 | Play Girlz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그룹명은 '방과 후'의 자유 분방함을 표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2009년 1월 15일에 싱글 1집 《New Schoolgirl》을 발매하며 데뷔하였다.
국내에서는 이례적으로 입학과 졸업 등 멤버 변동이 자유로운 시스템으로 화제와 대중성을 잡고 전혀 다른 컨셉의 유닛까지 성공했으나 2015년부터 활동을 멈춘 채 졸업 및 계약 만료 등 멤버들의 사정에 따라 현재는 나나만 남게 되었다.
'한국의 푸시캣 돌스'라는 수식어를 달고 데뷔했으며, 데뷔 전에는 손담비가 그룹에 멤버로 참여한다는 듯한 뉘앙스의 기사로 많은 이들을 낚기도 했다.
이 외에도 확인되는 수식어는 '퍼포먼스 그룹', '최장신 걸그룹', '섹시한 걸그룹', '3S' 등이 있다.
멤버 대부분이 춤을 잘 추고 몸매가 좋다 보니 색기담당이 가능한 점도 특징.
결성 비화를 보면 회사에 소속 연습생이 덜렁 가희와 손담비 두 명뿐인 상황에서 우선 손담비를 솔로 데뷔시킨 뒤 가희와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대표 한성수가 그룹 결성을 위해 멤버들을 모으러 다녔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데뷔 앨범 《New Schoolgirl》 당시 멤버들의 과거를 보면 얼짱 출신에, 엑스트라 연기자에, 다른 팀을 거쳤거나 등등 이래저래 고생을 많이 한 인물들이다.
손담비가 <미쳤어>로 성공하기 전에는, 실패한 솔로들이 종종 그러하듯 애프터스쿨에 영입해 실제 멤버로 활동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컨셉 관리의 실패와 멤버 졸업, 일본활동의 집중 등으로 'Bang!' 때의 전성기를 회복하지 못했다.
2013년 싱글 '첫사랑' 이후로 멤버들이 다수 탈퇴하고 솔로활동에 집중하였으며 유닛활동마저 오렌지 캬라멜이 2014년 '나처럼 해봐요' 이후로 활동을 중단하여 사실상 해체 상태이다.
과할 정도로 소속사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지만 이를 지적할 팬덤마저 남아있지 않은 상태.
플레디스는 이미 세븐틴과 PRISTIN으로 총력전을 옮긴 상황.
그나마 나름 연예계에서 자리를 잘 잡은 다른 멤버들에 비해 하락세인 'Flashback' 당시 졸업한 가희의 빈자리를 채우며 들어온 가은이 거의 5년 동안 컴백을 기다렸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가은이 프로듀스 48에 출연하며 밝힌 내용인데 애프터스쿨은 공식적으로 해체한 것은 아니지만 사장에게서 출연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팀이 사실상 해체라는 것이 밝혀졌다.
멀쩡한 연습생을 데뷔시킨 뒤에 컴백도 안 시켜주고 5년이나 계약으로 묶어놓은 플레디스에 대한 비난 여론이 상당하다.
솔로 활동은 유이가 2016년 MBC 연기대상 후보에 들만큼 결혼계약으로 성공적인 연기로 호평을 받았고, 나나는 굿와이프로 모두의 우려를 깨고 배우 연기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레이나는 산이와의 콜라보레이션 음원인 <달고나>, JTBC 예능 싱포유의 프로젝트 음원인 <징글징글징글벨> 등 음원을 발표하고 노래 대결 프로그램에 나와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리지는 뷰티 프로와 예능 프로에서 끼와 매력을 발산하였다.
이영은 정말 생존신고를 안 하기 때문에 감감무소식이다(...).
가은은 화려하고 능숙한 디제잉 솜씨로 DJ 활동을 하고 있으며 드라마에서 카메오로 캐스팅되었다.
멤버들의 평균신장이 상당히 높다. 거의 170cm 언저리에 가 있으며 이정도로 장신 걸그룹은 나인뮤지스, 여자친구, 소나무, 베이비복스 정도에 불과하다. 핑클의 경우는 이효리 혼자 평균신장을 많이 깎아서 이 걸그룹 대열에 합류하지는 못했다.
앨범 목록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New School Girl | AH | 2009년 1월 15일 |
디지털 싱글 | Diva | Diva | 2009년 4월 9일 |
싱글 2집 | 너 때문에 | 너 때문에 | 2009년 11월 25일 |
싱글 3집 | Bang! | Bang! | 2010년 3월 25일 |
정규 1집 | Virgin | Shampoo | 2011년 4월 28일 |
싱글 4집 | RED | 밤 하늘에 | 2011년 7월 20일 |
BLUE | 원더보이 | ||
싱글 5집 | FLASHBACK | FLASHBACK | 2012년 6월 20일 |
싱글 6집 | 첫사랑 | 첫사랑 | 2013년 6월 13일 |
싱글 | 일주일 | 일주일 | 2014년 2월 21일 |
'┣옛 걸그룹 > 애프터스쿨 | 오렌지 캬라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 캬라멜 프롤로그 (0) | 2020.05.18 |
---|
소녀시대 프롤로그
지금은 소녀시대, 앞으로도 소녀시대, 영원히 소녀시대!
그룹명 |
Girls' Generation / SNSD 少女時代 |
유닛 |
소녀시대 - 태티서 소녀시대 - Oh!GG |
前 멤버 |
제시카 ( 정수연 [鄭秀姸] / 89 / 2014년 9월 30일 탈퇴 ) |
멤버 |
L 태연 ( 김태연 [金太軟] / 89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A ) ( 이순규 [李純揆] / 89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B ) ( 황미영 [黃美永] / 89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O ) ( 김효연 [金孝淵] / 89 / 인천광역시 남동구 / AB )
( 권유리 [權俞利] / 89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AB )
( 최수영 [崔秀榮] / 9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 O ) ( 임윤아 [林潤妸] / 9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 / B ) ( 서주현 [徐朱玄] / 91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 A ) |
데뷔 |
2007년 8월 3일 싱글 앨범 <다시 만난 세계> |
활동기간 |
2007년 8월 5일 ~ 2017년 10월 9일 (공식적인 해체 X)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공식색 | 파스텔 로즈 |
팬덤 | S♡NE (소원) |
‘소녀시대’라는 이름은 ‘소녀들이 평정할 시대가 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데뷔 전에는 멤버들 모두 세련되고 멋진 이름을 예상했었는데, 당시에는 다소 촌스러워 보이는 한국어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울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SM에서 소녀시대를 만들 때 세운 목표가 국내에서는 모든 연령대에게 관심을 끌 수 있고 이를 넘어 해외까지 공략할 수 있는, 일명 ‘범아시아적 그룹’이었기 때문에 SM 입장에서는 매우 고심해서 지은 것이었다고.
현재는 멤버들도 영어나 라틴어 이름이 대다수인 아이돌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한국어 팀명이란 것을 장점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름에 대한 자부심도 크게 느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그룹명을 줄여서 흔히 ‘소시’라고 부르기도 하고, 한 음절로 ‘솟’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솟’은 다소 어감이 좋지 않아 잘 불리지 않지만, ‘소시’는 언론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자주 사용될 정도로 대중들에게 익숙한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공식 영어명은 ‘Girls' Generation’으로, 외국 언론에 소개될 때에는 이 이름으로 소개되지만 실제 해외팬들은 인터넷상에서 소녀시대의 첫 자음을 딴 이니셜 ‘SNSD’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한다.
당장 유튜브 같은 곳에서도 ‘SNSD’가 표준에 가까울 정도.
일본에서는 ‘少女時代’라 쓰고 '쇼죠지다이(しょうじょじだい)'로 읽는 것이 공식적인 표현이지만, 국내 발음을 따라서 ‘소뇨시데(ソニョシデ)’라고 읽거나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사람도 많다.
중국에서도 중국어 발음으로 ‘샤오뉘스따이’라 발음하지만, 팬들은 한국어로 ‘소녀시대’쏘뇨쒸대라 불러주는 경향이 있다.
한자 문화권을 포함한 해외팬들도 원래 그룹명의 발음이 ‘So Nyeo Shi Dae’인 것을 잘 아는데다, 특히 영문명인 ‘Girls' Generation’은 살짝 번역어 느낌이 나서 어색해한다고 한다.
인기
아시아에서 K-POP 열풍을 이끈 2세대 걸그룹 끝판왕이며, 그만큼 많은 후배 걸그룹들의 롤모델로 꼽히고 있다.
특히 ‘국민 걸그룹’이라는 칭호에 걸맞는 압도적인 대중성과 인지도, 보이그룹 팬덤과 비견될 만한 대형 팬덤까지 고루 갖추며 최고의 걸그룹 이미지를 공고히 했다.
이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멤버들의 캐릭터도 확고하고 서로 간의 관계도 잘 어울려 팬질하기가 좋은 조합이라고. 듀나는 “소녀시대가 군대나 태릉선수촌이 아닌 기숙학원 판타지로 비춰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 때문인지 데뷔 초 코어팬 중엔 2D 관련 서브컬쳐 팬질 유경험자들이 많았으며, 특히 일본 아이돌 팬질 하다가 소녀시대 팬으로 전업한 케이스들이 매우 많았다.
인지도 역시 전설이라 소위 '삼촌팬'의 개념을 만든 대표적인 걸그룹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팬덤 문화의 주를 이루는 여성팬들도 굉장히 많다. 군통령의 대표적인 걸그룹이기도 했다.
<Oh!> 티저 영상을 네이버에서 단독 공개하자, 포털사이트에 접속자가 너무 몰려 네이버 서버가 터진 적도 있다.
이에 '소녀시대는 하나의 그룹 그 이상의 이미지'라는 평가를 받기도. 대한민국 브랜드 위원회에서도 유재석, 김연아, 소녀시대를 한국 브랜드 가치 TOP 3로 두기도 했다.
또한 시사저널에서 2년 연속 연예계 1위, 5년 연속 랭크인을 했는데, 25년 정도 된 시사저널에 소녀시대를 제외한 아이돌이 순위권에 들어간 것은 예전에 딱 한 번 1세대 아이돌인 god, 그것도 10위 정도다.
2016년을 기준으로, 한국갤럽 10년 연속 올해의 가수 TOP 5 안에 들기도 했다. 또한 류현진과 공동으로 한국관광공사의 대한민국 홍보대사에 위촉되거나, 소치 폐막식 때 전 세계로 송출되는 평창 올림픽 홍보 영상에 한류 대표로 아이돌 중에서는 유일하게 등장하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이돌로 흔하게 인식되었다.
일본에서는 카라와 함께 K-POP 아이돌 열풍을 일으켰으며, <GENIE>에서의 각선미 비주얼로 ‘미각 그룹’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본 활동을 통해 오리콘 차트 1위, ‘뮤직 스테이션’ 및 ‘NHK 홍백가합전’ 출연, 6개 도시 투어로 전 세계 걸그룹 역대 투어 매출 4위, K-POP 걸그룹 최초 앨범 판매량 밀리언셀러 등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어모았고, 특히 2014년에는 단독 콘서트로 평일임에도 불구 도쿄 돔 매진을 이루어내며 높은 대중성과 팬덤 화력을 입증시켰다.
완전체 공백기가 이어지는 현재에도 라인에서 진행한 ‘일본인 62만명이 가장 좋아하는 여자 아이돌’ 순위 중 종합 8위를 차지하는 등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미국에서 쌓은 인기와 성과 또한 상당하다. 2011년에는 K-POP 가수 최초로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전속계약을 체결하고 미국에 진출해 유명 토크쇼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고, <The Boys>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2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는 유닛 그룹 소녀시대-태티서의 <Twinkle>이 2010년대 아이돌 최초로 빌보드 200 차트 110위에 올랐다.
2013년에는 <I GOT A BOY>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에 오름과 함께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노래에 랭크되었고, 2014년에는 <Mr.Mr.>가 타임지가 선정한 베스트 송 25 올랐다.
그 외에 <Lion Heart>, <Holiday Night>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
현재까지도 이와 관련된 성과로 빌보드에서 소녀시대에 대한 언급이 잦은 편이다.
해외팬 또한 굉장히 많다. 현재까지 유튜브 조회수 1억뷰를 돌파한 뮤직비디오가 2019년 기준으로 8개이며, <Oh!>가 5번째로 1억뷰를 기록하면서 2016년 12월 14일 기준 아이돌 최초로 5개의 1억뷰 뮤직비디오를 보유한 그룹이 되었다.
거기에 유닛 그룹 소녀시대-Oh!GG의 <몰랐니>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태연의 <I> 뮤직비디오도 1억 8000만뷰를 돌파했다.
소녀시대의 대표적인 해외 팬클럽인 소시파이드는 북미 지역에서 최초로 결성된 한국 가수 팬클럽으로, 소녀시대가 해외에서 K-POP 인기의 시작을 알렸다는 대표적 예시라고 볼 수 있다.
걸그룹은 보통 앨범 판매량은 바닥인 대신 음원이 잘 팔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 소녀시대는 발라드 시대 이후 앨범시장이 지나가고 음원시장에 돌입했던 2010년대 초반에도 연간 앨범 판매량으로 밀리언셀러가 되는 얼마 되지 않는 걸그룹들 중 하나다.
10여년간의 화력이 쌓인 만큼 누적된 기록 또한 엄청난데, 2018년 기준으로 국내외 앨범 누적 판매량이 약 570만장 이상이다.
이 정도 판매량은 역대 걸그룹 중 2위, 전체 아이돌을 통틀어서도 손꼽히는 수준이다. 음악 방송 1위 또한 총 100관왕, 유닛, 솔로 활동에서의 1위를 합치면 142관왕이라는 독보적인 기록을 자랑한다.
정규 앨범
집수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1 | 소녀시대 | 소녀시대 Kissing You |
2007년 11월 1일 |
1집 리패키지 | Baby Baby | Baby Baby | 2008년 3월 13일 |
2 | Oh! | Oh! | 2010년 1월 28일 |
2집 리패키지 | Run Devil Run | Run Devil Run | 2010년 3월 22일 |
3집 The Boys ver. | The Boys | The Boys | 2011년 10월 19일 |
3집 MR.TAXI ver. | MR.TAXI | Mr.Taxi The Boys(English ver.) |
2011년 12월 8일 |
4 | I GOT A BOY | I GOT A BOY Dancing Queen |
2013년 1월 1일 |
5 | Lion Heart | Lion Heart You Think Party |
2015년 8월 18일 |
6 | Holiday Night | All Night Holiday |
2017년 8월 4일 |
미니 앨범 / 싱글 앨범
구분 | 앨범명 | 타이틀곡 | 발매일 |
싱글 1집 | 다시 만난 세계 | 다시 만난 세계 | 2007년 8월 3일 |
미니 1집 | Gee | Gee 힘 내! |
2009년 1월 5일 |
미니 2집 | 소원을 말해봐 | 소원을 말해봐 Etude |
2009년 6월 25일 |
미니 3집 | 훗(Hoot) | 훗(Hoot) | 2010년 10월 25일 |
정규 4집 선행 싱글 | Dancing Queen | Dancing Queen | 2012년 12월 21일 |
미니 4집 | Mr.Mr. | Mr.Mr. | 2014년 2월 24일 |
번안 싱글 | Catch Me If You Can | Catch Me If You Can | 2015년 4월 10일 |
정규 5집 선행 싱글 | Party | Party | 2015년 7월 7일 |
9주년 기념 디지털 싱글 |
그 여름(0805) | 그 여름(0805) | 2016년 8월 5일 |
'┣옛 걸그룹 > 소녀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녀시대 일본 프롤로그 (0) | 2020.06.21 |
---|